PGR21.com
- tvN '더 지니어스' 관련 게시글을 위한 임시 게시판입니다.
- 방송 기간 한정 임시로 운영됩니다. (선거, 올림픽, 월드컵 게시판과 같음)
Date 2014/02/09 15:06:10
Name 베네딕트컴버배치
File #1 제목_없음_1.jpg (276.8 KB), Download : 39
Subject [기타] 임요환은 전패우승보다 무승진출이 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엔하위키 미러에서 TOP 3의 10회전까지의 전적을 퍼와서 계산해봤습니다.

[데스매치회피]는 탈락자도 아니고 탈락자가 데스매치 파트너로 지목할 수도 없는 메인매치
* [우승]은 생명의 징표를 (직접) 받은 경우
* [라운드진출]은 탈락자도 데스매치 지목 가능 대상도 아닌 경우

[데스매치후보]는 탈락자이거나 데스매치 상대로 지목될 가능성이 있는 플레이어
* [최하위]는 메인매치를 최하위로 종료한 데스매치 당사자
* [지목]은 탈락자에게 지목당한 경우
* [면제]는 두 개 이상의 생명의 징표를 가진 우승자가 살려주거나 불멸의 징표로 살아난 경우

이를 보면 시즌1의 김경란과 시즌2의 이상민의 데스매치회피 전적이 좋고
시즌1의 홍진호와 시즌2의 임요환이 라운드진출:데스매치후보 전적만 보면 5:5로 같습니다.
홍진호는 3번의 우승으로 라운드 진출을 한게 강점이고
데스매치 후보가 된 경우를 보면  둘은 메인매치 최하위 성적을 각각 3 번, 4 번으로 마감했습니다.
좀 더 봐줘서 라운드진출도 승리조건이라고 봐주면 좀 더 포장이 잘 되겠지만, 그걸 용인하는 분들은 적을거라고 생각해서...

그래서 제 생각은 임요환은 전패우승, 전패진출보다는 (메인매치) 무승 진출이라는 말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베네딕트컴버배치
14/02/09 15:06
수정 아이콘
그림을 만져도 안커지네요. 첨부파일을 받으시면 원본 크기로 보실 수 있습니다.
Rorschach
14/02/09 15:10
수정 아이콘
사실 이 말이 맞긴 한데, 알아도 우승을 한다면 아마 전패우승이라고 불릴 듯 합니다. 전승준우승과 라임(?) 딱 맞거든요;;
14/02/09 15:14
수정 아이콘
사실 임요환은 3회 왕게임은 결과적으로는 패배한게 아니죠

결국 무릎꿇어 생징을 받은 셈이니
구밀복검
14/02/09 15:15
수정 아이콘
전패우승 vs 전패준우승 어떤 게 더 임팩트가 클까요.
14/02/09 15:23
수정 아이콘
그냥 입에 잘 감기는 단어인지라...크크
키스도사
14/02/09 15:25
수정 아이콘
사실 이 말이 맞긴 한데, 알아도 우승을 한다면 아마 전패우승이라고 불릴 듯 합니다. 전승준, 전패준과 라임(?) 딱 맞거든요;;(2)
14/02/09 16:05
수정 아이콘
메인매치에서 우승 하지 못하는 것을 패배했다고 보는 건데
틀린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Polar Ice
14/02/09 16:18
수정 아이콘
뭐 이게 맞는 말이긴 한데 사실 전패우승과 다름 없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