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기사, 정보, 대진표 및 결과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은 [게임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6/01/19 12:30:21
Name 톰가죽침대
Link #1 http://sports.news.naver.com/esports/news/read.nhn?oid=442&aid=0000029712
Subject [LOL] 라이엇, 지역별 프리시즌 파워랭킹 2016 발표
롤드컵에 이어 라이엇의 파워랭킹이 다시한번 찾아왔습니다만....

대체 무슨 기준으로 이렇게 등급을 매긴건지 이해가 안되네요.

KT가 A등급인데 LGD랑 EDG가 S등급인것도 이상하고

지역내 강함을 기준으로 등급을 정한거라고 해도 북미는 S등급이 없는데다가 LGD랑 EDG가 중국내에서 S등급인것도 영...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레니안
16/01/19 12:39
수정 아이콘
파워랭킹은 그저 라이엇 마케팅수단일 뿐이죠. 크크
저 신경쓰여요
16/01/19 12:53
수정 아이콘
A 등급 받은 kt가 LGD, EDG 상대로 질 거라는 생각은 요만큼도 안 드는데 말이죠
16/01/19 12:55
수정 아이콘
오늘도 까이는 중국리그 크크
도도갓
16/01/19 12:58
수정 아이콘
lck빼고 타 리그에 s등급이 있을리가..
하민수민유민아빠
16/01/19 13:05
수정 아이콘
선수 이름값보고 등급을 매겼나보네요.
Jace Beleren
16/01/19 13:06
수정 아이콘
리그 내 상대적 등급 아닌가요? 그래도 이상하지만 그게 아니라면 쓰레기 수준의 순위
16/01/19 13:12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받아들였습니다. 만약 라이엇이 매긴 저 등급이 지역내 상대적인 기준이 아닌 절대적 경기력을 의미한다면 할말 없...
16/01/19 13:10
수정 아이콘
통합랭킹이 아니라 지역별 랭킹이니까 LCK A등급이 타지역의 S등급보다 전력이 못하다는 식으로 해석해서 받아들일 이야긴 아니지 않을까요? 그저 각 리그 내에서의 전력 등급을 매긴 것이라고 보고, 북미에 A가 없는 것은 S등급이라고 할 정도로 지역 내에서 막강한 우위를 점하는 팀은 없다는 의미로 이해했습니다.
16/01/19 13:15
수정 아이콘
저도 이렇게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Jace Beleren
16/01/19 13:13
수정 아이콘
논외 - SKT1
S - KT, 락스
A - QG, RNG, 롱주

이렇게 빼고 나머지는 다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함. 에버가 아테나 안나갔으면 A급 정도
16/01/19 13:18
수정 아이콘
H2K도 A에 넣어줄만하지 않나요.
16/01/19 13:22
수정 아이콘
아직 해외리그는 챙겨보지 못해서 뭐라 말 못하겠지만, 지금 SKT는 아웃라이어급의 절대강자는 아닌 것 같습니다. 최근 경기결과만 놓고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LCK 팀들의 전력향상도 있는데다가 듀크가 슼의 운영이나 팀파이팅에 녹아들이에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해보이는 것도 있고. 그리고 페이커와 뱅의 컨디션은 좋지만 벵기와 울프의 폼이 어느 정도 흔들리는 느낌이라... 확실히 전력보강을 했다는 것을 증명하면서 기세를 타고 있는 KT와 락스에게는 현재 전력면에서는 딱히 우위라고 보긴 어렵고 롱주와도 장담을 못하는 수준이 아닌가 그렇게 생각이 들더군요.

SKT, KT, Rox
롱주
진에어
삼성, 스베누
아프리카
CJ, e-엠파이어
이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16/01/19 14:17
수정 아이콘
NRG겠죠..?
Jace Beleren
16/01/19 15:16
수정 아이콘
NRG와 RNG가 둘 다 있습니다.
16/01/19 16:30
수정 아이콘
오 그럼 정말로 알렉스 이치의 RNG를 A급으로 보시는건가요? A급이라고 해서 NRG의 오타인줄 알았는데

아아 중국 RNG를 말하시는거군요. 이해했습니다
트릴비
16/01/19 13:25
수정 아이콘
원문은 http://www.lolesports.com/en_US/articles/preseason-power-rankings-2016 입니다.

1. 시즌 제대로 시작하기 전에 매긴 랭킹입니다. 1월 14일 오전에 나온 기사입니다.
2. 지역별로 다른 사람이 작성했습니다. 참고로 각 지역에 대해서 지역별 해설자들이 랭킹 작성에 참여했습니다. [LCK의 경우엔 도아와 몬테, 파파스미시도 패널로 참여한 랭킹]입니다.

말 그대로 시즌 시작 전에 각 지역 LCS 해설자들이 리그 내 순위 매긴겁니다. 국뽕 좋지만 전후사정없이 너무 까내릴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게롤트
16/01/19 13:31
수정 아이콘
선수 이동이 많았던 스토브 리그였는데 그 선수들이 다 적응한 서머 시즌 쯤에 많은 윤곽이 드러나지 않을까 싶네요.
16/01/19 13:38
수정 아이콘
중국 S인 EDG와 LGD가 1주차에 승이 없다는게 신기하군요.
16/01/19 14:24
수정 아이콘
저 나름대로 랭킹을 매긴다면(중국팀들은 제외할게요.. 안봐서;;)

S급 : SK
A급 : ROX, KT, 롱주
A- 급 : H2K, IMT, 프나틱, NRG,
B급 : 진에어, 삼성, 스베누, 오리겐

정도 일거 같네요.
16/01/19 15:06
수정 아이콘
NRG가 아니라 RNG 맞는데요? Royal Never Give Up의 약자로 알고 있습니다. NRG는 할 수 있어~(...)
Jace Beleren
16/01/19 15:16
수정 아이콘
NRG와 RNG가 둘 다 있습니다.
16/01/19 15:20
수정 아이콘
헐... NRG라는 팀도 있나요?? 그랬군요. 잘 모르면서 되레 지적한거라 민망하네요. 크크
16/01/19 15:24
수정 아이콘
북미에 NRG esports라는 팀이 있죠. 임팩트 갱맘이 있는 팀입니다.
여담이지만 북미에 RNG를 약자로 쓰는 팀이 또 하나 있긴 합니다. Renegades라고 몬테가 구단주로 있는 팀이죠. 방송에서 REN으로 표기하는걸로 바꾼 것 같긴 하지만;
16/01/19 16:53
수정 아이콘
아 북미팀이었군요. 그리고 어녕이가 NRG로 갔었다니... 크크
16/01/19 15:20
수정 아이콘
NRG는 새로 생긴 북미팀입니다. 중국팀 제외하셨다고 하니 NRG가 맞는거 같네요
16/01/19 16:30
수정 아이콘
NRG는 북미에요
16/01/19 15:11
수정 아이콘
지금 각 지역 팀들을 종합해서 파워랭킹을 상정하는건 사실 추측일 뿐 아무 의미가 없죠. 그래서 라이엇이 지역내 랭킹을 내놓은 판단은 좋다고 봅니다. 그래도 순위놀이는 항상 재미있기 한번 동참해 보자면, LCK의 경우 탑4 정도까지는 지금 당장 롤드컵 열었을 때 외국 팀에 의해서 탈락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저번 시즌 프나틱이 서양 최강팀이었는데 지금 신흥 강팀들은 어느정도 시즌5 프나틱에 비해 너프됐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이모탈의 前프나틱 제외 나머지 세 맴버를 보면 포벨터/와일드터틀/아드리안 인데 페비븐/레클레스/옐로스타가 훨씬 강하게 느껴지고, H2K가 정말 강해보이지만 18-0으로 엑소더스 이전의 EU LCS를 박살내던 시즌5 프나틱보다는 덜하다고 봅니다. 중국의 경우는 롤드컵-IEM을 거치면서 실망의 연속입니다. IEM에서 4일 연습한 TSM에 발리는 LGD(이럴거면 왜 뽑아달라고 했는지;)와 디그니타스한테 질뻔한 QG를 보면 현재는 갈길이 멀다고 봅니다. 물론 재능풀로 봤을 때 잠재력은 있는 지역이라 언제든 치고 올라올 수는 있겠지만요. 사실 IEM/MSI는 지역의 강약을 판단하기에 정말 좋지 않은 포맷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포맷이 바뀌거나(팀을 더 많이 뽑아거나 경기수를 늘리거나) 국제대회가 더 생기지 않는한 단 시일 내에 지역간 우열의 정도를 확인하는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결국 이번에도 롤드컵까지 가봐야 알겠죠.
아저게안죽네
16/01/19 17:28
수정 아이콘
플래시 울브즈나 ahq까지 s급인 걸 보니 지역별 상대적 등급 같습니다.
16/01/19 18:20
수정 아이콘
지역별이라고 되있네요
일단 kt가 타지역s보다 약하다 이런뜻으로 해석할 필욘 없어 보입니다.
동급생
16/01/19 18:57
수정 아이콘
이런 랭킹 하나에 일희일비하는 것도 종특이라고 봐야 되는지...
WizKhalifa
16/01/19 20:24
수정 아이콘
일희일비하는사람도 없는데 누구 들으라고 이런 댓글을 쓰시는지? 종특이라는 단어까지 써가면서 크크크크
제 눈에는 라이엇이 제공한 컨텐츠를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소비하는 사람들 밖에 안보이는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325 [LOL] LGD, 웨이보 통해 '마린' 장경환 한국 복귀 발표 [59] 민소녀8264 16/12/03 8264
13213 [LOL] ROX 타이거즈, 2016 LoL KeSPA Cup 트로피의 주인공 되다! 보도자료3044 16/11/19 3044
13193 [LOL] 2016 LoL KeSPA Cup, 부산 지스타 현장에서 우승컵 주인공 가린다! [2] 보도자료2469 16/11/16 2469
13142 [LOL] 2016 LoL KeSPA Cup, e스포츠 팬들 만날 준비 마쳤다! 내일 개막 [6] 보도자료3940 16/11/08 3940
13113 [LOL] 2016 LoL KeSPA Cup, 12강 대진 완성… 개막전 ESC-CJ 성사 [31] 보도자료4239 16/11/02 4239
13099 [LOL] 삼성 노트북-인텔 인사이드 2016 LoL 직장인 토너먼트 서머 2차, 우승팀 기부금 전달 보도자료1727 16/10/31 1727
12931 [LOL] 2016 LoL KeSPA Cup 참가 14개팀 확정, 11월 2일부터 티켓 판매 [9] 보도자료2795 16/10/06 2795
12885 [LOL] 삼성 노트북-인텔 인사이드 2016 LoL 직장인 토너먼트 서머 2차 본선, 2일 개최 보도자료1368 16/09/30 1368
12831 [LOL] 국내 유일 LoL 단기 토너먼트! 2016 LoL KeSPA Cup, 11월 9일 개막 [8] 보도자료2216 16/09/21 2216
11883 [LOL] 라이엇 게임즈, 워싱턴 D.C에 위치한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 활용사업 지원 [8] 보도자료2375 16/04/26 2375
11763 [LOL] 조이럭의 롤상만사 -LCS 플레이오프 및 LGD 마린,임프 근황 [1] JoyLuck3638 16/04/07 3638
11411 [LOL] 2015-16 LoL 직장인 토너먼트 윈터 2차 우승 삼성전자 팀, 기부금 전달 [1] 보도자료1565 16/02/17 1565
11358 [LOL] 2월 2일자 리그오브레전드 파워랭킹 [8] SkinnerRules3858 16/02/06 3858
11298 [LOL] 2015-16 LoL 직장인 토너먼트 2차 대회, 31일 4강 및 결승 진행 [1] 보도자료1852 16/01/28 1852
11272 [LOL] LGD '마린 효과' 또 못 봤다…3전 전패 A조 최하위 [21] 이호철7207 16/01/24 7207
11241 [LOL] 라이엇, 지역별 프리시즌 파워랭킹 2016 발표 [31] 톰가죽침대3973 16/01/19 3973
11198 [LOL] 인터뷰 - 푸른 눈의 한국인 '몬테 크리스토'가 말하는 LCK 전망은? [10] 철혈대공3603 16/01/13 3603
10994 [LOL] 윈터 시즌 마무리하는 축제! 2015 LoL 클랜배틀 윈터 결선 12일 진행 [3] 보도자료1934 15/12/11 1934
10987 [LOL] 'LGD 전격 이적' 마린 장경환, 모든 걸 내려놓다 [17] 철혈대공6227 15/12/10 6227
10986 [LOL] 마린' 장경환, LGD에 새둥지 틀어 '임프' 구승빈과 한솥밥 [5] 철혈대공3594 15/12/10 3594
10972 [LOL] '에이콘' 천주, LGD와 재계약... 코치 업무도 일부 분담 [7] RookieKid3111 15/12/09 3111
10935 [LOL] '마린' 장경환, 사상 최고액으로 中 LGD게이밍과 계약 '임박' [28] 리오넬 호날두7023 15/12/05 7023
10871 [LOL] 각국 프로리그 이적상황 [16] 인크래더블 문도4737 15/11/30 47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