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9/30 12:26:14
Name Croove
Subject [정치] 직선제 이후 역대 대선 후보별 득표 결과
제13대 대통령 선거 : 1987년 12월 16일
당선 : 노태우(민주정의당) 8,282,738표(36.64%)
낙선 : 김영상(통일민주당) 6,337,581표(28.08%)
낙선 : 김대중(평화민주당) 6,113,375표(27.04%)
UoqhB9P.jpg


제14대 대통령 선거 : 1992년 12월 18일
당선 : 김영삼(민주자유당) 9,977,332표(42.0%)
낙선 : 김대중(민주당) 8.041,284표(33.8%)
낙선 : 정주영(통일국민당) 3,880,067표(16.3%)
wLINOK7.jpg


제15대 대통령 선거 : 1997년 12월 18일
당선 : 김대중(새정치국민회의) 10,326,275표(40.3%)
낙선 : 이회창(한나라당) 9,935,718표(38.7%)
낙선 : 이인제(국민신당) 4,925,591표(19.2%)
dpwIKfl.jpg


제16대 대통령 선거 : 2002년 12월 19일
당선 : 노무현(새천년민주당) 12,014,277표(48.9%)
낙선 : 이회창(한나라당) 11,443,297표(46.6%)
LflLrkt.jpg


제17대 대통령 선거 : 2007년 12월 19일
당선 : 이명박(한나라당) 11,492,389표(48.7%)
낙선 : 정동영(대통합민주신당) 6,174,681표(26.1%)
낙선 : 이회창(무소속) 3,559,963표(15.1%)
x5wDXjH.jpg


제18대 대통령 선거 : 2012년 12월 19일
당선 : 박근혜(새누리당) 15,773,128표(51.6%)
낙선 : 문재인(민주통합당) 14,692,632표(48.0%)
DkRhPFS.jpg


제19대 대통령 선거 : 2017년 5월 9일
당선 : 문재인(더불어민주당) 13,423,800표(41.1%)
낙선 : 홍준표(자유한국당) 7,852,859표(24.0%)
낙선 : 안철수(국민의당) 6,998,342표(21.4%)
vgk0sb2.jpg


제20대 대통령 선거 : 2022년 3월 9일
당선 : 윤석열(국민의힘) 16,394,815표(48.6%)
낙선 : 이재명(더불어민주당) 16,147,738표(47.8%)
443PvL0.jpg

그래프는 유튜브 "데이터다람쥐" 채널 영상을 캡쳐 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강인
23/09/30 12:34
수정 아이콘
노무현vs.이회창
박근혜vs.문재인
윤석열vs.이재명
제3후보 없이 치뤄진 영혼의 맞다이를 보면
우리나라 정치 지형은 진짜 반반인듯요
반반무마니
닉네임을바꾸다
23/09/30 12:37
수정 아이콘
3후보가 안나온 상황이기때문에 반반으로 갈리는...
양자구도면 반반 아니면 한쪽이 찍어누른 케이스밖에 없을터라...
뭐 우리나라에서 선거상에서 3후보라해도 양쪽 중 하나에서 떨어저나온거라...그게 그거지만요
23/09/30 12:41
수정 아이콘
별다른 이슈(?) 없이 선거에서 맞다이가 이루어 졌다고 가정 했을때
수도권, 전남, 전북, 광주 vs 부산, 대구,울산, 경북, 경남, 강원 << 여기가 또이또이(?) 되고
인천, 충청도의 표심에서 결정이 나는거 같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3/09/30 12:43
수정 아이콘
인천을 따로 떼내서 말씀하셨으면 수도권대신 서울경기가 명확하지 않나...흠?
인천도 수도권으로 보통 치니까...
23/09/30 12:50
수정 아이콘
아. 생각 해보니까 그렇군요;
고향이 인천이다 보니 머리속에 독립 객체로 인식되어 있습니다 흐흐;;;
23/09/30 12:52
수정 아이콘
이인제가 당시 보수 성향인걸 감안하면 김대중 이회창이 반반으로 맞다이 했다고 보긴 어렵지요?

정동영 vs 이명박(+이회창)까지 종합해서 보면

고정 지지층은 보수계열이 더 많(았)다고 봅니다
도들도들
23/09/30 18:0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정치지형이 리얼 반반구도가 된 것은 박근혜-문재인부터지요. 노무현은 보수의 이인제와 단일화 빅이벤트를 통해 겨우 반반구도를 이끌어낸 거라 기존의 보수 우위 구도 자체를 선거전술로 흔들었던 선거에 해당하고요.
톤업선크림
23/09/30 23:07
수정 아이콘
이게 맞아요 2012 이전까진 보수가 확실히 우위였는데 2012 총선-대선 거치면서 진보가 반반으로 따라왔죠
살다보니별일이
23/09/30 13:00
수정 아이콘
득표율을 떠나서 18대 대선은 외국인이 보면 등록된 정당이 두개 밖에 없는 줄 알겠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3/09/30 13:08
수정 아이콘
뭐 우리도 미국은 공화 민주밖에 없다 생각할거니까 그게 그거죠...(다 원외여서 그렇지...다른 정당은 있긴 있으니까...)
더치커피
23/09/30 13:12
수정 아이콘
18대 대선이 정말 영혼의 한타였네요
밀리어
23/09/30 13:24
수정 아이콘
19대는 2,3위 박빙이었던게 뭔가 13대 재현되는 느낌이네요
라멜로
23/09/30 14: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90년대 후반 들어오면서부터는 누가 나와도 대통령이 됐을 이명박 문재인 당선 투표 정도만 빼면
몇% 차이의 접전이 많죠
우리나라 정치지형에 중도층이 없다거나 중도층이 필요없다거나 말하는 사람들은 극우 극좌라고 보면 됩니다
또리토스
23/09/30 14:33
수정 아이콘
정동영 픽이 젤 멍청한 한수라고 봅니다...
아이힌트
23/10/03 12:51
수정 아이콘
정동영은 경선으로 된 후보입니다. 19대에 홍준표가 멍청한 수가 아니듯 당시에는 어쩔수 없는 선택이었죠
환경미화
23/09/30 14:21
수정 아이콘
17대는 정말 어쩔수없이 원사이드 였던 대선이었던걸로..
코우사카 호노카
23/09/30 14:47
수정 아이콘
당 이름참 열심히 바뀌네요 크크
23/09/30 15:10
수정 아이콘
헌법에 따르면 단독출마의 경우 유권자 총수의 1/3 이상을 득표해야 당선될 수 있죠. 근데 노태우와 김대중은 1/3 득표 못함. 두 분이 전임자와 후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순(?)했던 것이 우연이 아님.
DownTeamisDown
23/09/30 15:28
수정 아이콘
선거인의 1/3이면 이명박과 문재인도 못넘었습니다.
그리고 낙선자중에 1/3을 넘긴사람이 둘있는데 문재인과 이재명이죠.
문재인은 낙선할때는 1/3을 넘겼는데 당선될때는 1/3이 안되었어요.
구도가 일방적이면 1/3이 안되는 경향도 있는것 같습니다.
23/09/30 20:56
수정 아이콘
제가 정보의 업데이트가 늦었나봐요ㅜ
23/09/30 17:05
수정 아이콘
여론조사가 발달하면서.. 3자가 나오기 더 힘들어지는 거 같아요.
각자 최선의 후보보다는 최악의 후보를 피하고 싶어하는 게 요즘 정서 같아서요.

결선 투표를 도입하는 게 정치지형 다양화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3/09/30 17:11
수정 아이콘
뭐 사실 결선투표제가 다양성에 도움이 될지는...흠
DownTeamisDown
23/09/30 19:59
수정 아이콘
도움이 되긴합니다. 1차에서는 사표우려를 안하고 찍을거니까요.
물론 비용대비 효과가 있냐 이건 한번더 생각해볼 문제고요
다람쥐룰루
23/09/30 17:58
수정 아이콘
네거티브가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3자가 나오기 더더욱 힘들어지죠
결선투표가 나쁘지 않은게 박근혜만 50프로가 넘고 나머지는 다 최고득표자가 50프로가 안넘었네요
리얼월드
23/09/30 18:34
수정 아이콘
선거인수가 계속 늘어나는군요
갈수록 최대득표자 나오겠네요
망고베리
23/09/30 19:43
수정 아이콘
저출산: 어림없지!
인증됨
23/09/30 18:35
수정 아이콘
imf사태 만들고도 이길뻔했던게 레전드
인제옹 불멸의 커리어 이회창 막았도르
톰슨가젤연탄구이
23/09/30 19:33
수정 아이콘
13대 투표율 89.2퍼...
다리기
23/09/30 20:35
수정 아이콘
이회창 아들 그거 안 터진 평행세계가 궁금하긴 하네요.
노무현이 그 다음에 대통령 하고 그랬으면 한국 정치가 지금보단 나았으려나..
용노사빨리책써라
23/10/01 18:53
수정 아이콘
이회창이 그때 이겼으면 지금까지 한나라당 독주체제 갔을거라고 확신합니다
다른 정당 밀어주려 해도 도저히 못이길만큼 조직력 개판됐을거라서요
23/09/30 20:54
수정 아이콘
IMF라는 대형사건과 대한민국에서 제일 민감한 주제인 자녀 병역문제를 묶어서 겪었음에도 신승이었네요..
코기토
23/09/30 21:19
수정 아이콘
한나라당은 IMF로 나라 말아먹고도 JP와 연합한 DJ와 초박빙 승부를 했다.
보수의 궤멸적 타격을 가져온 박 탄핵 이후 홍준표와 문재인 차이보다
이명박 정동영 차이가 더 크다. 더구나 이회창까지 나왔는데도.
놀랍네요.
카레맛똥
23/10/01 01:01
수정 아이콘
MB랑 정동영은 진짜 아직도 기억나는게 뭔 개표한지 한두시간도 안지난거 같은데 당선 유력이 떠서 크크
세상을보고올게
23/10/01 08:24
수정 아이콘
사실 개표전부터 당선유력
DownTeamisDown
23/10/01 11:00
수정 아이콘
그이후에 비슷했던게 문재인 홍준표였고요
신성로마제국
23/10/01 18:58
수정 아이콘
이인제가 참 대단한 역할 하긴 했네요
샤한샤
23/10/02 22:28
수정 아이콘
와...... 이명박이 진짜 엄청나긴 하네요
이회창이 정동영 표 가져가진 않았을텐데 15% 날리고도 저 득표율 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0084 [일반] 감기는 치료제가 없습니다 [112] 아기호랑이11737 23/10/18 11737 51
100083 [일반] 은유가 우리를 구원하리라 [17] mmOmm7090 23/10/18 7090 22
100081 [일반] 불황의 늪 - 버티거나 포기하거나, 2023 자영업 생존기 [22] 챨스6441 23/10/18 6441 3
100080 [일반] 나이 40 넘어서 건강관리를 해야겠다고 마음 먹은 이유 [39] realwealth10493 23/10/18 10493 30
100079 [일반] 컴퓨터가 감기 걸린 것 같을 때 CR2032 배터리 처방을...... [14] 카페알파6699 23/10/18 6699 4
100078 [일반] 처음으로 10km 달린 이야기(부제: 천천히 달리니 즐거워졌다.) [58] 사람되고싶다6725 23/10/17 6725 16
100077 [일반] 저출생 시대, 2~30년뒤 노인은 어떤 대우를 받을까요? [76] 푸끆이11601 23/10/17 11601 5
100076 [일반] 권경애 “사건 알려져 충격, 유가족의 손해배상 기각돼야” [53] GOAT11106 23/10/17 11106 4
100075 [일반] 5년(17-21)간 감기로 인한 건보부담 3.2조원 [41] VictoryFood8759 23/10/17 8759 15
100074 [정치] 유승민 “12월에 당 떠날지 남을지 선택…신당 창당은 최후 수단” [153] Davi4ever14105 23/10/17 14105 0
100072 [일반] 바이탈과 레지던트를 하며 얻은 것 [12] 헤이즐넛커피7629 23/10/17 7629 25
100071 [일반] 의지박약 고도비만 환자의 찌질한 건강 찾기 미완의 우여곡절 여정 [57] realwealth7866 23/10/17 7866 13
100070 [정치] 구로구와 광명시사이의 지역갈등 [8] 강가딘9502 23/10/17 9502 0
100069 [정치] 의대 증원이 답이 되려면 필요한 것들 (2) [139] 여왕의심복13087 23/10/17 13087 0
100068 [일반] “질 나쁜 애는 아닌 것 같아”…판사가 성폭행범 두둔? [40] infinitefrontier12075 23/10/17 12075 4
100067 [일반] 진짜와 가짜 [23] 림림9141 23/10/17 9141 29
100066 [정치] 의대정원 확대 관련하여 - 의대교육의 문제 [212] J10279 23/10/17 10279 0
100065 [정치] '경기북도'는 싫다는 김포시…"차라리 서울로 편입시켜 달라" [74] 강가딘12569 23/10/16 12569 0
100064 [일반]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된다 [16] 악질10886 23/10/16 10886 7
100063 [일반] 주말에 명량, 한산 뒤늦게 본 후기 [6] 겨울삼각형10040 23/10/16 10040 2
100062 [정치] 의대 정원 확대가 정답이 될 수 있을까?(1) [453] 여왕의심복18539 23/10/16 18539 0
100060 [정치] 안철수, 윤리위에 이준석 제명 요구…"총선 때도 내부총질할 것" [338] Davi4ever22714 23/10/16 22714 0
100059 [일반] 내가 찾은 인생의 의미 [22] realwealth8429 23/10/16 8429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