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8/11 01:18:13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180617057
Subject [일반] <콘크리트 유토피아> - 물음을 밀고 나가는 뚝심.(노스포)

이번 여름 한국영화 '빅4'로 불렸던 영화 중 마지막 주자,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보고왔습니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갈까요.


그러니까, 이 영화의 물음이 굉장히 '신선'하냐라는 질문에는 확실히 '아닐 것 같다'고 표현하는 게 적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니까 재난+군상극+흔들리는 군중의 이야기는 꽤 많이 구현되어 왔다고 보는 게 옳을 것 같아요. 예를 들면 <미스트>가 있을 것이고, 게임으로 가도 <페이퍼, 플리즈> 같은 작품이 있을 것 같거든요. 더 명확하게는 <프로스트펑크>를 떠올리시는 분이 더 많을 것 같네요. 다만, 이 영화를 좋게 생각하는 지점은 그 구현에 있습니다.


박평식 평론가가 이런 평을 남겼죠. '자갈을 삼키다.' 아주 간단하게, 이 영화는 감정적 부분을 상당히 잘라내고, 굉장히 건조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블랙 코미디 내지 아주 배배꼬인 코미디 정도는 치고, 생각보다 분위기가 되게 암울하거나 암담한 영화는 아니라고 할 수 있지만, 동시에, 굉장히 '차가운 영화'라고 생각해요. 그러니까, 꽤나 '뜨거운' 영화들이 많이 만들어지는 우리나라에서 나름 '냉담'하고 '건조'한 영화, 그것도 꽤 괜찮은 퀄리티로 구현되었다는 점에서 이 영화를 좋게 생각하고 싶습니다.


영화 플롯의 반전이 아주 섬세하거나 혹은 충격적이진 않아요. 솔직하게 말해서, 중간에 대놓고 패를 보여주기도 하고, 눈치가 빠르신 분들은 그보다 훨씬 이전에 눈치챌만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다만, 이 반전에 따라와서 결국 '무엇이 공동체를 위했던 일이냐'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꽤 영화가 날카롭게 물어보는 영화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이 영화가 아쉬운 점이 없진 않습니다. 이런 류의 디스토피아, 재난, 군상극에서 결국 중요한 건 어떤 선이 있고, 그 선을 넘어서서 생존하느냐 혹은 선을 끝까지 지켜내느냐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는데, 영화에서 선에 가까운 쪽으로 그려지는 캐릭터는 딱히 그 선을 넘어가는 느낌이 안들어요. 그러니까, 영화의 내용이 꽤 전형적인 선과 악의 이야기로 그려지는 점이 아쉽습니다. (물론, 감독님의 인터뷰에서는 그 캐릭터의 행동 중 선을 넘은 행동이 있다고 하지만, 그걸 그렇다고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영화를 군상극으로 이해할 수도 있지만, 영화의 핵심 인물은 포스터에 나와있는 세 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극의 중심이 되는 이병헌 배우의 연기를 비롯해서, 모든 배우들의 연기가 되게 좋더라구요. 역시 압권은 이병헌 배우긴 하지만. 결국 이 이야기를 선과 악, 혹은 그 회색지대의 이야기라고 한다면, 한 캐릭터가 좀 지나치게 튀고, 또 한 캐릭터는 동기가 조금은 애매합니다. 그러니까, 어찌보면 이 영화에서 가장 다양한 감정을 한 캐릭터에게 몰아넣는 느낌이기도 해요. 결국 전반적인 연기력이 좋다보니 잘 소화해 내지만, 각본이 조금은 편한 대로 진행되는 느낌도 없잖아 있습니다.


이런 저런 불만들을 이야기하긴 했지만, 꽤 강렬한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시각적으로나, 혹은 음향적으로도 꽤 괜찮은 (일단 대사가 잘 들려요!)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동시에, 이게 흥행이 될까 싶으면서도, 이게 흥행이 됐으면 좋겠다 싶기도 한 영화기도 하구요. 차가운 농담과 냉소. 적어도 저는 이런 작품이 구현되어 좋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ioi(아이오아이)
23/08/11 03:21
수정 아이콘
영화에 대해서는 안 봐서 모르겠는데,
올라오는 리뷰만 보면 감독이든, 이병헌이든 홍보 다니면서, 헤결 때 박찬욱 감독이 한 것처럼
시네필들만 좋아할 영화 아니구요. 어두운 영화 아니구요. 차가운 영화 아니구요. 이러면서 녹음기 돌려야 하는 수준
aDayInTheLife
23/08/11 07:07
수정 아이콘
다만, 이게 여름용 영화냐… 는 잘 모르겠어요 크크크
Capernaum
23/08/11 04:36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저는 중반까지 좋다가 아쉬웠어요..

뭔가 엉성함이 후반부에 많이 느껴져서 급하게 끝내는

느낌도 있고 쓸데없이 늘어지는 곳도 있었고..

무엇보다 마지막에 큰 한방을 때릴 수 있었는데
( 그게 한방이라면 할 말이 없고요.. )

메세지를 크게 줄 수 있는 소재와 결말로 관객을

충분히 못일어나게 할 수 있을 법한데

봉준호 감독이었다면.. 나홍진 감독이었다면..

하는 결말에 대한 아쉬움이 컸네요
aDayInTheLife
23/08/11 07:08
수정 아이콘
조금은 소소한 결말이긴 하죠. 다만 너무 극적으로 갔어도 수습이 되었을까 싶긴 해요.
No.99 AaronJudge
23/08/11 07:29
수정 아이콘
기생충은…쇼킹했죠 정말
23/08/11 15:26
수정 아이콘
비맞으면서 집으로 내려가는 장면에서 처참한 감정이 저한테도 다 전달이 되어서 압도당했는데, 그 다음날 사건이 더 충격적이었죠 어떻게 더 임팩트를 줄 수 있었는지 놀랍습니다
No.99 AaronJudge
23/08/11 07:29
수정 아이콘
차가운 영화…갠적으로 빅쇼트나 남한산성 같은 영화들을 좋아해서 한번 볼까 싶네요
이게 좀 답답하고 고구마먹은 느낌 난다 해서 더워 죽겠는데 사람들이 볼까..? 흥행이 잘 되려나..? 싶긴 한데 일단 작품성 하나는 확실히 잡은것같긴해요
aDayInTheLife
23/08/11 07:41
수정 아이콘
냉담하고 비꼬는 개그… 저는 작가 커트 보네것 느낌이 좀 나더라구요. 혹은 세계대전Z의 느낌이나.
23/08/11 07:44
수정 아이콘
저도 본문에 공감합니다

아쉬운점이 없는건 아니지만 그걸 감안해도 꽤 괜찮은 작품이었습니다

한국인들이 가지는 아파트에 대한- 이건 진짜 한국인들만 아는- 정서가 더 와닿더군요

똑같은 재난 영화라도 이부분이 가장 특장점이었어요

그나저나 여름 빅4중에서 제일 별로던 밀수는 대흥행하고 좋았던 더문은 망햇는데 과연 이것은..
aDayInTheLife
23/08/11 07:57
수정 아이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만찐두빵
23/08/11 08:06
수정 아이콘
한국인들은 공감할 수 있는 그런 작품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전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물론 지적하신 부분들인 디스토피아 스토리 구조를 그대로 따라가는 점이나 후반부에서 좀 더 잔혹해져야 하는 플롯구조였다고 보는데 이건 흥행때문에 타협한거로 보여지더군요. 18세 였으면 아마 대부분의 아쉬움들이 해소되었을거 같은데 이건 진짜 어쩔수없는거라.... 아쉬운 부분이 있었지만 정말 수작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흥행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런 작품들이 흥행해야 한국영화도 여러 시도를 하고 발전할 수 있을거 같아요
aDayInTheLife
23/08/11 08:07
수정 아이콘
그 공감대 형성이 되게 좋더라구요. 오프닝이 되게 좋았습니다. 그런 점에서…
만찐두빵
23/08/11 08:08
수정 아이콘
오프닝은 진짜 dp 오프닝 느낌 나더라구요 진짜 잘만들었죠.... 개인적으로 재난물로써 재난의 액션 또한 굉장히 훌륭했다고 봅니다. 길었던 해운대나 백두산의 재난이나 리액션에 중점을 맞춘 엑시트와 달리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재난씬은 짧지만 강렬했어요
이쥴레이
23/08/11 08:37
수정 아이콘
다음주 보러 갈 예정이기는 한데, 차갑고 건조하다는 이야기들이 많네요.
남한산성과 비슷한 암울하고 차갑고 건조한 이야기 같네요. 기대 됩니다.
aDayInTheLife
23/08/11 11:29
수정 아이콘
남한산성보단 더 가볍고 완성도도 조금은 아쉬워요. 블랙 코미디 냄새가 더 나기도 하구요.
페스티
23/08/11 09:04
수정 아이콘
오늘 볼까 싶네요. 노스포 리뷰 감사합니다
aDayInTheLife
23/08/11 11:29
수정 아이콘
재밌게 보세요!
멸천도
23/08/11 09:1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제가 본 영화중에 제일 차가웠던 영화가 남한산성이었는데 그거보다는 나은가요??
23/08/11 09:19
수정 아이콘
콘유는 그래도 중간중간 웃포가 많아서요
남한산성만큼 그 정도로 차갑지는 않습니다

대신 남한산성만큼의 완성도도 아니구요
aDayInTheLife
23/08/11 11:29
수정 아이콘
냉소가 적절하지 않나 싶어요. 다만 그만큼의 완성도는 아니구요.
23/08/12 16:45
수정 아이콘
남한산성이 진짜 차갑고 냉정해서 너무 좋았는데 ㅠ
23/08/11 09:34
수정 아이콘
콘유 >> 비공식 >> 밀수 >>>>>>>>>>>>>>>>>>>>>>>>> 더문

현재까지 개인적인 올 여름 텐트폴 영화 등급

다만 콘유는 여러번 보기엔 그냥 마음이 약간 불편한 고런 느낌
aDayInTheLife
23/08/11 11:33
수정 아이콘
저는 기생충이 진짜진짜 불편해서 아직 두 번을 못봤어요 크크크
덴드로븀
23/08/11 09:49
수정 아이콘
오늘 보러갑니다. 그래서 몇점 주실겁니까!
aDayInTheLife
23/08/11 11:33
수정 아이콘
저는 3.5 줬습니다(키노라이츠앱…)
덴드로븀
23/08/11 11:34
수정 아이콘
저도 3~3.5 예상하고 보러 갑니다 흐흐
아이폰12PRO
23/08/11 09:53
수정 아이콘
오 재밌을거 같아요 봐야겠어요
aDayInTheLife
23/08/11 11:33
수정 아이콘
재밌게 보세요!
efilefilefil
23/08/11 09:55
수정 아이콘
차갑고 건조하다는 의견에 동의가 되네요, 근데 이병헌은 엄청 뜨겁게 연기한다고 느꼈어요
이병헌만 뜨거워서 이질적이다 라는게 아니라 평소에 느꼈던 이병헌 연기보다 훨씬 타오르는 연기랄까..
aDayInTheLife
23/08/11 11:34
수정 아이콘
나머지 캐릭터들이 좀 정적이다보니 유독 튀긴 합니다. 그 감정에 거리를 두면서 유효한 지점이 있다고 생각하지만요.
efilefilefil
23/08/11 11:43
수정 아이콘
제가 느낀건 영화속에서 튄다 이런게 아니라, 이병헌이 맡아서 연기했던 캐릭중에 가장 열혈..?의 느낌이라고 할까요
표정과 눈빛으로 절제된 감정으로 보여주는 역할이 많았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에 이병헌 연기는 막 내지르는 스타일이라고 해야되나
그런게 좀 느껴졌어요!
웃어른공격
23/08/11 11:51
수정 아이콘
아직 안보긴했는데 영화소개프로그램에서

잠깐본 복숭아통조림 씬이 오글거려서

이거 보지말까 쪽으로 기울고있었는디..

다시 고민해보겠습니다...
aDayInTheLife
23/08/11 11:52
수정 아이콘
막 되게 오글거리진 않아요. 어떤 장면인지는 모르겠으나 감이 오는 장면은 있긴 한데…
안철수
23/08/11 15:38
수정 아이콘
극한상황에서의 인간군상을 그렸는데
15금 받으려고 그랬는지 살인.강간.섹스는 없고
영화 내용은 흥행에 안어울리는 숨막히는 건조함

기생충이 작품성 상업성 줄타기를 기가 막히게 했는데
콘크리트는 정반대로 못했다는 생각
aDayInTheLife
23/08/11 15:46
수정 아이콘
뭐 가장 강렬한 욕구들에 대해서 다루는 순간 19금이고 아무리 그래도 그건 좀… 이라고 말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해요. 제작사나 투자사 같은데서.
기생충이라는 작품은 봉준호라는 이름 석자 걸고 찍을 수 있었다는 생각이라 크크
저는 이 정도도 꽤 많이 나갔다고 생각해요. 특히나 그 건조함에서 더더욱이요.
카푸스틴
23/08/11 16:15
수정 아이콘
연기가 좋은데도 캐릭터 하나하나는 너무 안사는 느낌이었습니다.
주인공 3명의 캐릭터만 살릴거면 굳이 인간군상을 보여줄 필요가 있었나도 싶고...
aDayInTheLife
23/08/11 18:30
수정 아이콘
군상극을 표방한데 비해 꽤 단순하긴 하죠. 전반적 구도가… 그 캐릭터 자체도 되게 사는 느낌은 아니긴 했구요.
붕어싸만코
23/08/11 20:12
수정 아이콘
오늘 연차 쓴 김에 조조로 보고왔는데
만원이 아깝진 않았던 영화 였습니다.
aDayInTheLife
23/08/11 20:23
수정 아이콘
다행이네요. 흐흐
김매니져
23/08/11 21:47
수정 아이콘
군더더기 없는 초반 오프닝에서 기대치 최고였지만 중반부터 급격히 상투적인 영화가 되버려서 살짝 아쉬워요.
절대 완성도가 떨어지는 영화는 아니지만 흥행이 힘들어 보이는 것도 아쉽고...
aDayInTheLife
23/08/12 05:43
수정 아이콘
한끝이 오묘하더라구요. 줄타기가 애매..
23/08/11 22:34
수정 아이콘
박보영 캐릭이 전반적으로 답답하긴 했어도 어느정도 양면적인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이병헌의 사상이 옳은지 박보영의 사상이 옳은지 얘기할 부분이 있었다고 생각하는데, ‘진짜 유토피아는 여기였나’싶은 마지막 장면에서 “살아있으 살아야죠” 대사가 오히려 영화가 답을 정해주고자 하는 느낌이어서 별로였네요.
또한 초반 몇몇 장면(처음 모임 가진 장면)에서 대사가 자연스럽지 않고 전개를 위해 작위적으로 굴러간다는 느낌이 들었고, 중반 이후부터는 스토리 전개가 늘어진다고 느꼈네요.
다만 이런 텐트폴 영화 중에 전형적인 흥행공식을 따르지 않는 스토리에, 생각할 거리도 나름대로 던져주는 영화는 별로 없다고 생각해서 잘 됐으면 좋겠네요. 위에서는 아쉬운 점만 적었지만, 몇몇 연출이나 시퀀스는 느낌있었어요. 감독도 젊은 분이던데, 앞으로 더 흥행도 하고 해서 자기 색깔이 잘 나타나는 작품을 찍었으면 합니다.
aDayInTheLife
23/08/12 05:44
수정 아이콘
엄태화 감독이죠. 잉투기 찍었고 상업+대자본은 이번이 처음으로 알고 있고, 엄태구 배우(택시 운전사 육군 상사 역..) 형이고….
Lazymind
23/08/11 23:41
수정 아이콘
원래 기획단계에서는 이런 영화가 아니었을것같은데(중반이후~결말까지)
차라리 OTT에서 8부작정도 드라마로 나왔으면 더 좋았을듯
aDayInTheLife
23/08/12 05:45
수정 아이콘
그랬으면 너무 음울하고 힘든 영화가 되었지 않았을까..
관지림
23/08/12 09:09
수정 아이콘
이병헌 연기는 튀어 보이고
영화는 뭔가 있어보일려는 척만 하고
종반 이후엔 내용이 산으로 가고..
기대하고 봤는데 올해 최악이었네요..( 기대감 대비)
aDayInTheLife
23/08/12 09:52
수정 아이콘
아쉬움이 크셨나보네요. 흐흐
관지림
23/08/12 11:42
수정 아이콘
댓글을 쓰고보니 너무 감적적으로 적었네요..
기대감이커서인지 제 기준으로 혹평 한거 같은데 (제가 뭐라고 크크)
빼고 보면 극장에서 볼만한 영화이긴 합니다.
aDayInTheLife
23/08/12 11:52
수정 아이콘
아뇨 크크크 감상이야 뭐 다 다를 수 있는 거고 누군가의 인생영화도 누군가에겐 똥영화일 수 (극단적 예시...)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크크크
덴드로븀
23/08/12 16:05
수정 아이콘
보고왔는데 3.5 까지 주기엔 손이 영 안가서 별3개 주고 갑니다. 크크

초중반 흐름은 괜찮았는데 이후에 흐름이 이게 최선이었나...싶어지는 부분들이 너무 많아서
이병헌 연기로만 다 해결하기엔 좀 부족하지 않았나 싶네요

그래도 엄태화 감독의 다음 작품이 기대가 됩니다.
aDayInTheLife
23/08/12 16:42
수정 아이콘
흐흐흐 저는 좋은게 좋은거야에 영화를 좋아하지만 좀 고르는 편이라..
잉투기도 만족스러웠는데 이거도 좋더라구요. 동생 굴리는 솜씨(?)도 괜찮고 크크
23/08/12 23:27
수정 아이콘
저는 굉장히 만족스러웠습니다. 기생충만큼이나. 마지막부분은 상투적이긴하나 보통 사람들이었다는 박보영의 대사로 촌스러워지는걸 피했다고 봐요. 이병헌의 집주인으로서의 마지막 대사나 할머니가 이병헌을 위하는듯한 행동같은 디테일도 좋았고 전체적인 카메라구도나 편집점등도 감독이 영잘알이 아닌가 싶었네요. 전 4.5점입니다.
aDayInTheLife
23/08/12 23:56
수정 아이콘
굉장히 좋게 보셨네요! 상투적이지만 현실적이고 씁쓸하지만 달콤하기도 합니다. 유토피아라는 제목에 끌릴 듯 안 끌리는 그 거리감을 잘 담아낸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번아웃증후군
23/08/13 00:53
수정 아이콘
자갈을 삼킨다는 평에 좀 긴장하며 봤었는데 생각보다는 말랑말랑하더라구요.
초반-중반-클라이막스-결말 사이의 이음새가 삐그덕대는 느낌이었지만 오랫만에 이런 스타일의 영화를 봐서 좋았어요 흐흐.
aDayInTheLife
23/08/13 08:13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덜 음울하고 가볍죠. 완전 움울하게는 못간 느낌도 들고…
사다드
23/08/15 17:49
수정 아이콘
가려진 시간도 인상적이었는데 콘유도 마찬가지로 괜찮게 봤습니다. 아쉬웠던 부분도 좀 있었지만 이런 영화 대 환영입니다. 가장 좋았던 점은 마지막 박보영의 대사였어요. 이쁘고 잘생긴 배우들이었지만 그냥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처럼 보였습니다.
aDayInTheLife
23/08/15 17:51
수정 아이콘
조금은 냉담하게, 건조하게 다루는 영화도 있으면 좋죠! 재밌게 보셨다니 좋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655 [정치] 2012년 생도에게 ‘전두환 경례’ 시킨 육사 전 교장 “홍범도는 안 돼” [75] 간옹손건미축9318 23/08/31 9318 0
99654 [일반] 다나와 지포스 그래픽카드 판매량 데이터 [47] SAS Tony Parker 7231 23/08/31 7231 0
99653 [정치] 한덕수, 택시비 묻자 “1000원 아닌가요”...물가 모르는데 물가 잡기? [123] 톤업선크림12022 23/08/31 12022 0
99652 [정치] 일본이 오염수 방류했는데... 우리 혈세 내년에만 1조 투입된다 [93] 빼사스10934 23/08/31 10934 0
99651 [일반] [뉴스] 2분기 합계출산율 0.7명. 더 내려갈 가능성 높다 [181] OneCircleEast14554 23/08/31 14554 8
99648 [일반] 아직도 현역(?)인 NewJeans 'SUPER SHY' 커버 댄스 영상입니다. [14] 메존일각7221 23/08/30 7221 14
99647 [정치] 티비조선 앵커: 대통령에게 통합의 정치를 하라고 경고 [55] 기찻길13090 23/08/30 13090 0
99646 [정치] 당선 전"이념에 집착하는 것은 반대, 실용주의해야" 후"제일 중요한 건 이념”" [56] 사브리자나9838 23/08/30 9838 0
99645 [일반] 인터넷 스트리머 빛베리 관련 기사 [39] TAEYEON12904 23/08/30 12904 1
99644 [정치]  "홍범도 흉상 이전 타당"…"맥아더 흉상 검토" [108] 체크카드10265 23/08/30 10265 0
99643 [정치]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 국회에서 "봉건 왕조시대의 세종대왕을 굳이 기념해야나" [71] 기찻길10356 23/08/30 10356 0
99642 [일반] 고기초 특수반 학부모 전원이 입장문을 발표했습니다 [24] Leeka12349 23/08/30 12349 13
99641 [정치] [속보]군 검찰,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 사전 구속영장 청구 [44] 카린8629 23/08/30 8629 0
99639 [일반] 전기차 시장 예측해보기 [64] 탐 켄 치9712 23/08/30 9712 1
99638 [정치] 김남국 의원의 제명안이 윤리위서 부결됐습니다. [87] 아이스베어11515 23/08/30 11515 0
99637 [정치]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오염수 방류에 대한 정부대응 + 총선 투표 [73] 아롱이다롱이12028 23/08/30 12028 0
99636 [정치] 새만금 개발 전면 재검토, 예산 78% 삭감 [45] rclay10021 23/08/30 10021 0
99635 [일반] 쉬는 청년 50만명 시대, 은둔형 외톨이 문제 [212] rclay17883 23/08/30 17883 3
99634 [정치] 前수사단장 "VIP 격노했다 들어" vs 해병대사령관 "사실 아냐" [61] 덴드로븀11769 23/08/30 11769 0
99633 [일반] 내 아이가 학교폭력을 당했을 때 대처법 [38] 르깝11356 23/08/29 11356 51
99631 [일반] 탕후루와 스시 [55] 레드빠돌이8961 23/08/29 8961 2
99630 [정치] 국방부 일일 정례 브리핑 - 홍범도 흉상 이전 관련 [90] 간옹손건미축11972 23/08/29 11972 0
99629 [일반] 신생아 관련, 신생아 출산 가구 혜택 신설 [68] Leeka9307 23/08/29 9307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