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8/01 01:07:05
Name 베라히
Subject [정치] 왜 BBC·NHK가 아니라 BBC '인터내셔널'이나 NHK '국제방송'일까 (수정됨)
https://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5830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자가 왜 뜬금없이 BBC와 NHK를 말을 했었는지 궁금했는데
정확히는 BBC인터내셔널이나 NHK국제방송을 말했군요.
이 글을 쓴 사람은 후자를 목적으로 한 것 같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국제분야 서비스를 강화하려면 돈이 많이 들어간다고 하는데
정부는 오히려 분리징수로 방송사의 재원을 줄어들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동관은 공영방송 인터내셔널화, 정부는 수신료 분리징수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5806

이전에도 방송장악을 했는데 새로울게 있냐라는 반응들도 있는데
MB정권시절 이동관은 최시중과 더불어 미디어법의 배후설계자로 알려진 인물로
다른 정권들과는 다르게 구조를 유지하게 아니라 아예 보수쪽으로 기울이게 만들었죠.
그리고 이제는 YTN과 KBS, MBC를
미디어법처럼 자기 입맛대로 대수술을 할겁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강가딘
23/08/01 07:06
수정 아이콘
근데 이미 kbs웧드 체널이 있는데...
베라히
23/08/01 09:21
수정 아이콘
윤석열, '사극 의무제작' '국제뉴스 30% 이상' KBS공약 밝혀

https://n.news.naver.com/article/006/0000111313?sid=100
베라히
23/08/01 09:23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article/006/0000118500?sid=100

TV수신료를 분리징수하면 수신료 수입이 3분의 1이상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KBS는 분리징수에 따른 대대적인 비용절감에 나설 수밖에 없다. 지금보다 재정 상황이 좋을 때도 사극 제작이 어려웠는데, 분리징수로 인해 대하사극 의무화는커녕 몇 년에 한번씩 제작되는 사극마저 자취를 감출 가능성이 높아졌다. KBS가 국제뉴스를 강화하려면 더 많은 특파원을 해외로 보내야 하는데, 이 역시 어려워졌다.
최종병기캐리어
23/08/01 08:48
수정 아이콘
아리랑TV있는데...?
기사조련가
23/08/01 08:54
수정 아이콘
하꼬 아이돌도 인터뷰도 해주고 단독 무대도 해주는 킹리랑 티비가 있는뎅
베라히
23/08/01 09:32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642714?sid=110

2013년 가을 도쿄 특파원으로 부임한 뒤 10년가량 매일 일본 신문을 살피며 하루를 시작한다. 2년 가까이 신문사의 국제 관련 뉴스를 책임지는 역할을 맡다 보니 자연스레 국제면에 먼저 눈이 간다. 그리고 거의 날마다 깊은 열패감에 분루를 삼킨다. 일본 신문들은 전세계에 흩어진 50여명의 특파원이 직접 현장을 취재해, 앞뒤 맥락을 정확히 이해하는 기사를 지면에 싣는다. 대개 서너명의 특파원과 네댓명의 내근 기자가 기왕 나온 외신 보도를 짜깁는 방식으로 기사를 짜내는 한국의 국제 보도와 양은 둘째치고 질의 차이가 무척 크다.

......

한국이 속한 동아시아는 이미 미·중이 충돌하는 지정학적(대만)·지경학적(반도체) ‘프런트라인’(최전선)이 됐다. 정세는 앞으로 계속 험악할 것이다. 나라는 선진국인데 한국 언론은 국가의 격에 맞지 않게 여전히 너무 ‘도메스틱’(국내적)하다. 이대론 곤란하다. 한국 언론은 맹성(猛省)해야 한다.

----------

방송과 신문을 망론하고
한국언론들이 다른나라보다 국제뉴스가 취약한 실정입니다.
김재규열사
23/08/01 09:42
수정 아이콘
신문사면 보통 워싱턴, 도쿄, 베이징, 유럽(파리 or 런던) 4명의 특파원이 있을거고 좀 여유가 되는 통신사나 방송사도 많아봐야 10명 정도일 겁니다.(러시아 인도 남유럽 남미 등)
한 회사가 50명씩 두는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면 언론사끼리 협업해서 경제규모 상위 30위 수도에는 전부 한국인 기자가 있었으면 좋겠네요.
최종병기캐리어
23/08/01 09:42
수정 아이콘
요즘같은 시기에 굳이 특파원이 많아야 할 이유가 있을까하는 의문에 듭니다.
No.99 AaronJudge
23/08/01 19: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국제뉴스는 사실 한국꺼 잘 안보고 외신 보긴 해요 저도 흐흐….nyt라던가
일본이 아무래도 우리보다 그런 면에선 잘 해둔 것 같긴 하더라구요….
카푸스틴
23/08/01 11:54
수정 아이콘
방송사 재원이 늘면 국제뉴스에 돈을 더 쓸까요? 오히려 돈 많이 줄때도 보도쪽은 관심 안갖고 다른데 돈을 쓰던 방송국에게 굳이 저 이유로 재원을 지켜줄 필요가 있을까라는 접근이 맞아보이네요.
베라히
23/08/01 12: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KBS는 KBS1과 KBS2가 있는데
보도쪽은 KBS1이 하고 수신료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수신료는 40년째 동결인데
수신료 전체수입은 인구증가 및 1~2인가구 증가로 계속 늘기는 했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3/08/01 13:05
수정 아이콘
뭐 그나마 남아있는 보도부분이 먼저 날아갈건 눈에 보이죠...
기업들이 제일먼저 인건비부터 후려치듯이 말이죠...
카푸스틴
23/08/01 18:12
수정 아이콘
하시는 말도 맞습니다. 다만 전 수신료 보호하는 이유가 취약한 보도부분을 지키기 위함이라는 근거는 좀 안맞다고 생각했었습니다.
소소익선
23/08/01 13: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KBS 연 수신료가 6900억 정도입니다. 이 수신료 가지고 아리랑 TV 및 EBS 쪼금 배분하고 나머지로 직원 월급주고 방송제작 합니다. 수신료를 전기료와 통합한게 94년 이후입니다. 가구수 증가로 수신료가 증가했겠지만 수신료가 2500원으로 고정되었으므로 95년 이후 6000억원 이상이 수신료로 수입이 잡혔을 것입니다. 95년 이후 물가상승율을 고려하면 95년 이후 일정기간은 수신료를 현재 가치로 대충 환산하면 3조에서 4조이상의 금액을 수신료로 거두었을거라고 계산됩니다. 지금과는 영향력이 비교도 안되는 KBS2 광고 수주 금액은 별도입니다.
그 많은 돈을 가지고 KBS가 보도방송에 투자했든가 아니면 제작 방송에 엄청 투자하였다는 소식을 듣지 못하였습니다.
6900억 가지고도 현재 직원 월급도 주고 방송도 제작하는데
그 많은 돈이 어디에 사용했는지 의문입니다.
베라히
23/08/01 19:20
수정 아이콘
KBS는 SBS와는 다르게
지역방송국이 직영체제라서
운영비용의 100%를 본사가 부담해야 합니다.
MBC의 지역방송국 형태가
처음에는 지금의 SBS처럼 되어있었는데
전두환정권이 언론통폐합을 하면서
지금은 지배구조가 계열사처럼 되어 있어요.
23/08/01 14:59
수정 아이콘
전 그래서 그냥 외국 언론들 sns에서 팔로우하고 직접 봅니다. 한국은 국제뉴스를 한국어로 보기 그리 편한 환경은 아니에요. 이 이슈와는 별개로 이동관 따위가 다시 한자리 차지하는 게 정말 너무 어이가 없지만.. 진짜 이번 정부 인사는 '역대급'입니다. 전 역대급이라는 말 잘 안 쓰는데, 윤석열 정부 진짜 많이 심한 것 같아요. 직업윤리 이슈부터 기타 법적, 도덕적 이슈 다 깔아뭉개면서 하는데, 제가 지지자면 문재인 정부 인사진 욕했던 거 진짜 민망할 것 같습니다. 그 정도로 심해요.
아이군
23/08/01 16:21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하면, 저는 요새 사람들(PGR포함)에서 이동관 보다 주호민 이야기를 더 많이 하는게 이해가 안갑니다... 아무리 봐도 이동관이 넘사벽 아닌가.....
23/08/01 16:36
수정 아이콘
이동관, 정순신 같은 류가 국민 정서상 정부 요인으로 발탁되는 게 조국, 정호영보다도 더 힘들 거라 봤는데 꼭 그렇지도 않네요. 이동관 시작하자마자 공산당 어쩌고 타령하는 거 보면서 역시나 기대대로구나..싶네요. 비서진, 장관 하나하나 멀쩡한 사람 찾는 게 더 힘든데, 이걸 커버치는 분들 보면 그건 그것대로 참 대단하다 싶습니다.
계층방정
23/08/01 16:47
수정 아이콘
첫 링크 글을 보면 국내 언론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외국 뉴스나 받아쓰는 방향이 될 것 같은데 이러면 언론통제는 오히려 더 하기 어려워지지 않을까요?
닉네임을바꾸다
23/08/01 18:15
수정 아이콘
받아쓰기만 하면 못쓰게 하면 그만일거니까...쉽겠죠 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467 [정치] 이번 잼버리 사태를 보면서 드는 생각. [46] 간옹손건미축10622 23/08/09 10622 0
99463 [정치] [단독]與, 잼버리 뒤 김현숙 해임 건의 검토 [33] 기찻길9701 23/08/09 9701 0
99461 [정치] 내일부터 태풍, 야영지 쓰레기 청소는 잘 되고 있을까요? [17] rclay7607 23/08/09 7607 0
99458 [정치] [단독]8·15 특사 대상 전 강서구청장 포함 [33] 기찻길9382 23/08/09 9382 0
99457 [정치] 잼버리로 인해 벌어진 이슈 정리 [64] 빼사스10174 23/08/09 10174 0
99456 [정치] 잼버리 부지 매립 속도전 위해 농지로 조성, 결국엔 패착 [102] 아이n9833 23/08/09 9833 0
99454 [정치] 윤대통령은 이재명을 만날것인가? [64] 김홍기7849 23/08/09 7849 0
99451 [정치] 보직해임 + '집단항명의 수괴’ 혐의로 조사받는 해병대 수사단장의 실명 입장 전문 [57] 겨울삼각형9451 23/08/09 9451 0
99449 [정치] 예산펑크로 올해 상반기에만 113조원 급전 당겨쓰는 정부 [50] 사브리자나9002 23/08/09 9002 0
99448 [정치] 생각보다 준수했던 여가부(잼버리) [315] rclay16889 23/08/09 16889 0
99445 [정치] 국가행사에 군 장병이 동원되는게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51] 깐프11760 23/08/08 11760 0
99439 [정치] 조선일보: 칼부림은 게임탓 [76] 기찻길11853 23/08/08 11853 0
99436 [정치] 경찰 4명째…"이태원 보고서 삭제 지시 받았다" 줄 잇는 증언 [38] 톤업선크림12980 23/08/08 12980 0
99434 [정치] 해병대 1사단장 수색 압박 혐의 삭제, 국방부 위법 논란 [52] Nacht10589 23/08/07 10589 0
99433 [정치] '잼버리 불만족' 고작 4%? 해외대원 "긍정적 말 해야 한다는 압박받아" [76] Pikachu14068 23/08/07 14068 0
99432 [정치] 우리는 뉴스의 어디까지를 믿어야하는가? (feat. 잼버리) [55] 덴드로븀11488 23/08/07 11488 0
99429 [정치] 공무원의 도덕적 해이 : 99번 해외출장간 공무원들 [81] rclay12608 23/08/07 12608 0
99426 [정치] 일방적 통보에 또 피해보는 K리그, “잼버리도 망치고 전북도 망치고”, “김관영 꺼져” 민심 폭발 [74] 기찻길16734 23/08/06 16734 0
99425 [정치] 울산시민이 느끼는 지역발전 [111] 10214129 23/08/06 14129 0
99424 [정치] 정카답지 않게 가볍게 보는 국정지지율 추이 [33] Nacht12389 23/08/06 12389 0
99420 [정치] 롤스로이스로 20대 여성을 친 남자가 석방됐습니다. [38] onDemand9724 23/08/06 9724 0
99419 [정치] 김은경 혁신위원장 시누이의 폭로 [38] 박세웅14124 23/08/06 14124 0
99416 [정치] 법무부, 중증 정신질환자에 '사법입원제' 도입 검토 [31] kartagra11215 23/08/05 1121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