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7/20 00:58:17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161064894
Subject [일반] <바비> - 독특하고 이상한 바비랜드.(약스포)

원래 <바비>를 볼 생각은 별로 없었습니다. 그러니까, 그닥 구미가 당기지 않았다고 해야할까요. '바비 인형'이라는 소재로 어떤 이야기를 할 지, 솔직히 감이 오지 않았던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저는 감독과 각본의 이름을 보고 이 영화를 보러 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두 이름은, 노아 바움백과 그레타 거윅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이 두 사람의 이름을 보고서 평범한 영화는 아니겠다. 라고 생각했고, 그 예상은 한 60%에서 70%는 맞았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이 영화의 초반부는 블랙 코미디입니다. 그러니까, 메타 코미디도 꽤 많이 나오구요. 진지한 얼굴로 뻥을 치거나 혹은 농담을 던지는 류의 코미디가 많이 나옵니다. 그리고 타율은... 솔직히 잘은 모르겠어요. 그러니까 웃기다가도 혼란스럽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아주 매끄러운 코미디나 혹은 매끄러운 전환들을 보여주는 영화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동시에, 아무래도 여름철에 개봉하는 영화다 보니 넣게 된 요소들이 영화의 내적 요소들과 정확하게 맞물리고 있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이 영화를 보면 결국 감정을 배우게 된 어떤 존재, 혹은 인간의 삶에 대해서 깨닫게 된 어떤 존재에 대한 이야기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저는 이 영화의 결말부는 <소울> 내지 더 멀리 가자면 동화 피노키오가 생각났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기에, 그런 선택을 하고, 그런 결말을 냈다는 점에서요.


결국 이 영화는 당연하지만 어떤 여성의 서사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 이면에서 '켄'을 통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꺼내놓고, 또 무게추를 너무 한 쪽에 쏠리지 않게 세심하게 배려했다곤 하지만, 결국 이 영화의 타이틀이 '바비'인 만큼 그런 이야기에 무게 중심이 쏠려 있다고 할 수 있겠죠.


세심한 연출에 덧붙여 배우들의 연기가 돋보입니다. 찌질함과 이상함을 동시에 보여주는 라이언 고슬링이 초반부를 캐리하면, 후반부에선 마고 로비가 좋은 연기를 보여줍니다. 개인적으로 '켄'이라는 캐릭터의 스핀오프까진 바라지 않지만, 후일담 비슷한 짧은 OTT용 단편은 나와도 재밌을 거 같아요. 크크


개인적으로는 어떤 소재의 한계, 내지 서사 없는 원작의 어려움을 최대한 극복해보려고 했지만, 여전히 드러나는 작품이라고 생각이 들어요. 물론 영화의 요소들에 대해서 호불호가 갈릴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기도 하구요. 저는 그래서 이 영화는 연출과 연기를 받아들이는 정도가 그 허점을 가릴 수 있느냐 없느냐에 이 영화에 대한 평가가 갈릴 지점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eglacerLesSucs
23/07/20 11: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바비인형에 대해서는 살면서 관심을 가져본 적이 없는데 감독의 전작 레이디 버드를 재밌게 봤었기 때문에 한번 볼까 고민 중입니다. 예전이었으면 일단 봤을 거 같긴 한데 확실히 티켓값 오른 게 판단에 영향을 주긴 하는 거 같아요 후기 여기저기서 좀더 올라오면 좀 확인해봐야곘습니다
aDayInTheLife
23/07/20 16:39
수정 아이콘
좀 애-매 하긴 했어요. 영화 자체가 좀 부실한 거고 그걸 컬러와 연기, 연출로 커버해보려는 느낌이라.
DeglacerLesSucs
23/07/20 18:3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안그래도 오펜하이머 봐야 하는데 그냥 넘기고 혹시라도 넷플에 뜨면 그때 고려해야겠습니다. 설명 감사드립니다 주말 잘 보내셔요!
웃어른공격
23/07/20 11:26
수정 아이콘
핑크핑크한 마고로비나 보러가야지 했는데...

페미논란으로 싸우는 게시글들이 좀보여서 아쉽더라구요
aDayInTheLife
23/07/20 16:40
수정 아이콘
뭐 그런 얘기가 없을 수는 없는 소재이긴 합니다. 크크
김매니져
23/07/20 11:52
수정 아이콘
전체적으로 어중간하고 얼마전 킬링 로맨스와 겹쳐보여서 뜬금 웃음 포인트가 되더군요. 크크
aDayInTheLife
23/07/20 16:40
수정 아이콘
킬링 로맨스 제 지인이 보고 만든 놈이 또라이(?)라면서 극찬 하더라구요. 크크 궁금하네요.
커피스푼
23/07/20 13:21
수정 아이콘
구글에서 그레타 거윅을 검색해 보세요
aDayInTheLife
23/07/20 16:41
수정 아이콘
바비, 마고 로비, 라이언 고슬링도요!
송파사랑
23/07/20 16:37
수정 아이콘
페미니즘이고 뭣이고 다 떠나서 노잼입니다.
aDayInTheLife
23/07/20 16:41
수정 아이콘
충분히 그렇게 여기실 수 있다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398 [일반] [단독] 서울 고속터미널역 부근서 흉기 소지자 검거 [71] 만찐두빵13934 23/08/04 13934 1
99396 [일반] 대전 소재 고등학교서 칼부림 발생…교사 피습 [95] Leeka14244 23/08/04 14244 1
99395 [일반] 서현역 사건이 사회구조적 문제라면, 사회구조적으로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 [252] 마스터충달17057 23/08/04 17057 22
99394 [일반] D.P 시즌2 재평가? : 채 상병 사고 이첩했던 해병대 수사단장 보직해임 [22] Davi4ever12321 23/08/03 12321 9
99391 [일반] 서현역에서 차량돌진, 칼부림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341] 졸업25505 23/08/03 25505 0
99390 [정치] 오사카 부지사: 정부에게 엑스포 관련 세금 지원 요청 [11] 기찻길8191 23/08/03 8191 0
99389 [일반] 주호민 사건 녹취록을 다 들은 특수교사의 입장문 [180] Leeka19687 23/08/03 19687 28
99388 [일반] 대학병원에서 황당한 의료사고가 발생했습니다 [70] Leeka13106 23/08/03 13106 14
99387 [일반] 몇년이나 지난 남녀군도(+도리시마) 조행기 [4] 퀘이샤7126 23/08/03 7126 20
99386 [일반]  학생이 아니라 선생을 분리해달라 요청했을 때 [32] rclay10693 23/08/03 10693 8
99385 [일반] 유튜브 극혐썸네일. 여러분도 당하고 계신가요? [95] 새침한 고양이18705 23/08/03 18705 3
99384 [일반] "담임선생님이 성추행" 누명 씌운 초등생(8.1. JTBC 사건반장) [136] qwerasdfzxcv15221 23/08/03 15221 29
99382 [일반] 사극 드라마에서 나오는 이방원에 대한 이성계의 빡침 포인트에 대한 구분 [29] 퇴사자9926 23/08/02 9926 20
99381 [일반] 친구가 잘못했다고 해서 [91] HolyH2O14630 23/08/02 14630 6
99380 [일반] 새만금 잼버리 온열질환자 400여명 발생 [143] Pikachu18606 23/08/02 18606 0
99379 [일반] 주호민님의 새로운 입장문 + 학교측 반응 [690] 만찐두빵37510 23/08/02 37510 13
99377 [일반] [단독] 33년 전문가, "주호민 고소 교사, 학대 아니다" 의견서 제출 [223] 만찐두빵20339 23/08/02 20339 36
99375 [정치] 尹 “건설 이권 카르텔 깨부숴야…부실공사, 文정부 때 이뤄져” [132] 베라히14433 23/08/02 14433 0
99374 [정치] 책임지지 않는 사회 [19] Vacuum8243 23/08/02 8243 0
99301 [일반] 자유게시판 운영위원 상시 모집을 공지합니다. [10] jjohny=쿠마6881 23/07/25 6881 1
99373 [일반] 밤 사이 안될과학이 휩쓸고간 초전도체 관련주 근황 [25] OneCircleEast10843 23/08/02 10843 0
99372 [일반] 초전도체가 우리에게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2) [13] 꿀깅이7267 23/08/02 7267 0
99371 [일반] 자게 운영위원 후기 [39] SAS Tony Parker 6565 23/08/02 6565 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