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7/06 17:45:13
Name Leeka
Subject [일반] 지하주차장이 무너진 자이. 5~6년 입주 지연 & 보상금 8천 예상 (수정됨)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908717?cds=news_edit

전체적인 상황을 요약하면

1. 부수고 다 재시공 하겠다.  완공까지 예상 소요는 5~6년 예측

2. 6년 예측으로 계산 시

현행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주택사업자가 입주자 모집 때 제시한 입주 기일을 못지킬 경우
분양대금에 시중은행의 연체금리를 적용한 지체보상금을 계약자(수분양자)에게 지급하거나 잔금에서 공제해야 하며
이 기준대로 계산 시 '6년 기준 전용 84는 8,400만원 / 전용 74는 7,215만원 정도를 받게 된다고 합니다'

3. 또는 계약을 해지하고 위약금을 받을 수 있으며
계약 해지 시 위약금의 경우 '분양가의 10%' (전용 84 기준 4,300만원) + 그동안 납부한 금액에 대한 이자를 받을 수 있음.  




3줄 요약
1 - 6년 정도 입주 지연 예상
2 - 입주 희망하면 7,215만~8,400만원 정도를 보상금으로 받음
3 - 계약을 해지하면 4,300만 + 납부 금액에 대한 이자를 위약금으로 받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7/06 17:46
수정 아이콘
6년 지연인데 8,400 밖에 못받는군요. 진짜 암담하네...
스토리북
23/07/06 17:50
수정 아이콘
단순 계산하면 월 110만원 정도네요.
23/07/06 18:15
수정 아이콘
4억짜리 아파트고 감가발생하는 것도 아니니 그렇게 나쁜건 아닌듯요
flowater
23/07/06 17:50
수정 아이콘
광주 아이파크는 거의 2년이 다되가는데 아직 건물도 안허무는 상태라 이것도 비슷하게 진행할 거라 생각하면 6년이 아니라 10년은 잡아야하지 싶네요
23/07/06 17:53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게 더 문제일거라 봐요.
건축사들 공기 연장은 엿장수 맘대로라..
23/07/06 17:54
수정 아이콘
뭐 1차 예측일 뿐이고.. 실제로 계획 다 짜면 더 늘어날수도 있긴 합니다.
늘어나면 보상금도 같이 늘어나는..
23/07/06 17:57
수정 아이콘
근데 저 계획대로 6년이라고 해도 사실 너무 깁니다. 10년이면 뭐 어후...
사람일이라는게... 아이들 학교도 그렇고 6년뒤만 해도 어케 될지 모르는데 기다리기로 결정하는것도 참 갑갑하네요.
23/07/06 17:58
수정 아이콘
그렇다고 빠르게 부실공사하라고 할 순 없으니..... 어느쪽을 택해도 깝깝한 결말이긴 하죠..
돈테크만
23/07/06 18:34
수정 아이콘
광주 아이파크는 건물도 높고 주변 건물들이 다닥 붙어있어서 철거가 힘든데 그래도 여기는 좀 나을거 같습니다.
23/07/06 17:54
수정 아이콘
연체이자율은 6.5%를 적용해서 보상금을 주는데, 해지할 경우에 납부 금액에 대한 이자율은 1%라고 기사에 나와 있네요.
어떤 근거로 산정된 걸까요? 한국은행 기준금리도 3.5%인데...
23/07/06 18:10
수정 아이콘
통상 분양계약서에 써있습니다
23/07/06 18:27
수정 아이콘
네. 그건 저도 알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건 이자율 산정 기준입니다. 아파트 정도 계약서면 그냥 임의대로 사업주가 쓸 수는 없을 거니까요.
주택법 상 정부에서 권고하는 표준계약사항들과 그 산정 기준들이 있을 거 같아서요.
23/07/06 18:33
수정 아이콘
이자율은 그런거 없는걸로 압니다
그냥 임의로 쓸걸요?
건설안전기사
23/07/07 18:55
수정 아이콘
입주자모집공고 시,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예금은행 가중평균 여신금리에 시장점유율 최상위은행이 정한 가산금리를 합한 금액이 이자율이 됩니다.
23/07/08 00:49
수정 아이콘
네. 그건 입주연기에 따른 연체이자율이고 저도 알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해지시 기납부한 계약금 및 중도금에 대한 이자 1%에 대한 근거입니당.
기사에 보면 계약 자체를 해지할 경우엔 이자율이 1%거든요
페스티
23/07/06 17:58
수정 아이콘
존버하기에 너무 긴데...
23/07/06 17: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말이 5년이지 이거 진짜 재시공하면 10년 넘게 걸릴겁니다.
전 솔직히 GS 입만 털면서 버티다 여론 가라앉으면 대충 고쳐 짓겠다 어쩐다 하면서 입주자들 지쳐 나가 떨어질때까지 비빌거 같네요.
이거 진짜 이대로 다 허물고 재시공하면 GS건설 다시볼듯.

제가 입주예정자고 이대로 보상된다면 뒤도 안보고 탈출합니다.
23/07/06 18:00
수정 아이콘
삼풍백화점도 쿨타임이 있었던건가... 아니 이제 겨우 30년 지났는데...
23/07/06 18:00
수정 아이콘
GS가 저 손실을 버틸 수 있나요? 회사 망할거 같은데.
이른취침
23/07/06 18:13
수정 아이콘
킹적자금과 함께라면...
SAS Tony Parker
23/07/06 18:38
수정 아이콘
당기 순이익

각 연간 3,297 4,288 4,412억

그래도 1티어 건설사라 버티긴 합니다
23/07/06 18:44
수정 아이콘
정말 못버티면 킹상증자하면 됩니다..
주주가 함께 연대책임지면 되거든요..
메가트롤
23/07/06 20:26
수정 아이콘
진짜 킹받네요 크크
23/07/06 21:40
수정 아이콘
오늘 시작으로 -17% 날라갔는데 또???

개킹받네요 정말 와
의문의남자
23/07/07 08:07
수정 아이콘
혹... 혹시 주주?? 눈물.
샤한샤
23/07/07 08:14
수정 아이콘
주주도 책임 지긴 해야죠
배당받을때만 회사의 주인이고 이럴때는 그냥 나몰라라 하는건 말이 안됩니다.
아케이드
23/07/06 22:36
수정 아이콘
유상증자라는 훌륭한(?) 방법이 있죠
초현실
23/07/06 18:01
수정 아이콘
감리는 뭐하고 있었기에 진작에 못막고...
안아주기
23/07/06 19:24
수정 아이콘
국토부 발표에서는 설계/감리/시공 전부 문제라고....
23/07/06 18:03
수정 아이콘
그래도 계약해지시 보상이 터무니 없지는 않은 것 같네요.
엑세리온
23/07/06 18:04
수정 아이콘
근데 기사마다검단신도시 아파트니 gs건설이니 하면서 "자이 " 라는 말은 한번도 안나오길래 얘네가 브랜드관리 하느라 좀 힘좀 썼나보다 했는데
실제로 자이 브랜드가 붙은 아파트가 아니었군요. 물론 입자 예정 분들은 브랜드를 자이로 바꿔달라고 하던 중이었나본데...
엘제나로
23/07/06 18:53
수정 아이콘
안단테니까...
톨기스
23/07/06 19:04
수정 아이콘
자이 붙어있으면 괜찮을까요... 내내 불안불안하며 살고 있습니다...
엑세리온
23/07/06 19:12
수정 아이콘
저는 아이파크에 삽니다 흐흐
톨기스
23/07/06 23:25
수정 아이콘
ㅠㅠ
톰슨가젤연탄구이
23/07/06 18:05
수정 아이콘
GS입장에서는 인명피해가 없는걸 감사해야하지않나요?
입주후에 저런일이 벌어졌다고 생각하면 지금 지연보상금은 완전 푼돈 수준이겠죠.
Rogueholic
23/07/07 08:40
수정 아이콘
건설현장 산재사고 보상금 생각해보면,
입주후엔 전면재건축은 사실상 불가능하니 사람의 목숨에 대한 가치책정은 차치하고 단순히 기업의 손익시점으로만 봤을땐 오히려 그게 더 비용은 덜 들어갈 것 같습니다
알빠노
23/07/07 10:45
수정 아이콘
밤에 붕괴사고가 난 것도 건설회사 입장에서는 불행 중 천운이었죠
12시간 전에 사고가 터졌다면 인부들 엄청나게 죽어나가서 지금하고도 분위기가 달랐을 겁니다
탑클라우드
23/07/06 18:11
수정 아이콘
이번 일을 계기로, 건설사들과 현장 인력, 감리 인력 모두 제대로 깨달았으면 합니다.
제대로 안 지으면 재시공하고 조 단위 손실이 발생한다는 본보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나저나 철근을 빼돌린 주체는 이제와서 찾기 어려운건지 그에 대한 얘기는 없네요.
강문계
23/07/07 08:31
수정 아이콘
도둑질당한 주인이 입다물고 있으면
누가 도둑일까요
탑클라우드
23/07/07 11:28
수정 아이콘
아하, 위아더월드겠네요... 허허허
복타르
23/07/06 18:13
수정 아이콘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다른 아파트들은? 하면 언제 무너질지 모를 시한폭탄들이라 생각되는지라,
한편으로는 저기 입주민들은 운이 좋다고 생각되네요.
겟타 엠페러
23/07/06 18:19
수정 아이콘
코로나 시즌에 지어진 모든 건물이 이제는 다 의심스럽습니다
니하트
23/07/06 18:24
수정 아이콘
흠,, 또 급하게 만든다고 뭔가 일낼거같기도
똥진국
23/07/06 18:25
수정 아이콘
이왕 이렇게 된거 코로나 시즌에 지어진 건물들 전부 다 전수조사 합시다
온라인에서만 안전 외치지 말고 오프라인에서도 제대로 하죠
이경규
23/07/06 18:31
수정 아이콘
출생신고 안한 아기들 전수조사하고있는거 생각나네요
로드바이크
23/07/06 19:12
수정 아이콘
전수조사 한다고 라디오에 나오더라고요
알라딘
23/07/06 18:28
수정 아이콘
시공보다 철거가 더 어려워서..시간좀 걸리겠네요
SkyClouD
23/07/06 18:38
수정 아이콘
옆에 데미지 안주려고 어렵게 하는거지 어차피 다 부술거면 크게 어렵지 않을겁니다.
그런 의미에서 현건은 진짜 힘들겠죠...
Gorgeous
23/07/06 18:49
수정 아이콘
거긴 힐스테이트 아니고 아이파크니까 현건 아니고 현산이죠..
SkyClouD
23/07/06 18:52
수정 아이콘
아 그렇죠. 현산...
No.99 AaronJudge
23/07/07 10:21
수정 아이콘
저번에 광주 갔을때 보니까
와..진짜 문제된 아파트가 딱붙어있던데요?
그리고 유스퀘어는 유동인구 어마어마하고;;;;
23/07/06 18:33
수정 아이콘
저기만 저럴거다는 보장이 없다는게 참... 불안불안 하네요.
라멜로
23/07/06 18:40
수정 아이콘
코로나 이후 건물들은 다 잠재적 위험이 있는 게
자재값이 천정부지로 상승하자 건설사들이 일제히 자재를 빼먹고 싼거 쓰면서 건설했다는 거 아닌가요?
무섭네요 참
나혼자만레벨업
23/07/06 19:09
수정 아이콘
가격 상승 뿐 아니라, 자재 공급 자체가 잘 안되고 전체 공사 기간이 늦어지는 것 때문에 그랬을 겁니다. 공사기간이 곧 더 큰 비용이니까요.
마르키아르
23/07/06 18:46
수정 아이콘
제일 문제가..... 저기보단 조금 더 튼튼하게 만들어서 지금 버티고는 있지만...

아슬아슬한 상황의 건물이나 아파트도 분명히 있지 않을까 걱정되는데...

사람이 이미 살고 있는 아파트에서 사고는 제발 없었으면 좋겠네요...
하아아아암
23/07/06 18:50
수정 아이콘
중도금 대출이 있으면 시간 지연에 따른 대출이자 증가분은 어떻게 되나요?
23/07/06 18:57
수정 아이콘
탈출해도 어차피 청약은 날라가는거죠?
오피셜
23/07/06 19:02
수정 아이콘
주가가 역대 최저가로 떨어졌던데..;;
하루빨리
23/07/06 19:11
수정 아이콘
뉴스 나오는거 보니깐 전면 재시공이 확정 사항이 아니라고 합니다. GS는 전면 재시공 한다 했는데, 사실 이게 LH랑 먼저 이야기 되야 할 사안인데 LH와 협의도 없이 지른거라네요. LH생각은 아파트 전면 안전검사 후 문제 있는 건물만 재시공 계획이였다고 KBS뉴스에선 이야기하더군요.

여튼 GS가 전면 재시공 지를 수 있는게, 이게 공공분양아파트라서 분양날짜 늦어질수록 GS만 힘들어지는게 아니라 LH도 힘들다고 하네요. 이번 조사결과에서 LH도 잘못있다 나와서 재시공에 LH도 분담금을 내야 한다고 하고요. 공적자금 끌어들이기 쉬운 프로젝트라서 쿨하게 지른거 같아요.
23/07/06 19:15
수정 아이콘
이건 대부분 해지하지 않을까요?
저런 건설사를 어떻게 믿고...
곰투가리
23/07/06 19:16
수정 아이콘
오히려 대부분 계약 할거라는게 예상입니다.
티타임
23/07/06 19:23
수정 아이콘
기업존망이 걸린 일인데 저 아파트는 철저하게 짓죠 이제 저 건물은 믿을수있을거에요

문제는 자이의 브랜드가치하락으로 인한 집값 동반하락
이른취침
23/07/06 20:37
수정 아이콘
다시 청약하는 것도 한세월이고
분양가가 훨씬 더 높아질테니
웬만하면 들고 있는 게 이득입니다.
20060828
23/07/06 21:36
수정 아이콘
이제 전국에서 가장 튼튼한 아파트가 될겁니다.
건설안전기사
23/07/07 19:00
수정 아이콘
안합니다. 5년동안 우수한 금리의 적금상품 들고있는 거니까요.
곰투가리
23/07/06 19:15
수정 아이콘
현장 인력충원 없으면 아마 이런 꼴 계속 일어날겁니다.
알라딘
23/07/06 19:33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인력갈아서하는데 저정도수준이니
그렇구만
23/07/06 19:30
수정 아이콘
철거하는김에 실제 건물은 또 얼마나 빠졌는지 검사도 좀 했으면 하는데 꽁꽁숨기면서 철거하겠죠
뿌엉이
23/07/06 19: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기만 부실이 있지 않을건데 재시공으로 이슈 번지는걸 막아보려는거 같은데 철근을 저렇게 빼먹고 콘크리트는 불량이고
다른데라고 무사할리가
라방백
23/07/06 19:45
수정 아이콘
철근 빼서 몇푼이나 챙겼을까요? 크크 보상금만 천억이 넘고 공사비도 세대당 2억씩만 잡아도 3400억인데 이번에 한번 박살 나야 다시는 꿈도 못꾸죠
23/07/06 20:19
수정 아이콘
이미 순살자이, 수비드자이 등등

브랜드 이미지 나락갔죠. 몇년 뒤에 잠잠해져도 예전같은 명성은 못얻을 겁니다
23/07/06 20:47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R-ukhMuLUFI
그 와중에 평택 자이도 터졌죠
이른취침
23/07/06 21:43
수정 아이콘
이 시기에 아파트 총괄한 담당자가 궁금할 정도..
원가절감해서 성과급 많이 받았을런지...
Rogueholic
23/07/07 08:42
수정 아이콘
6년전에 공사내역 쥐어짜서 원가절감 최대로 땡기고 매뉴얼 확립한 사람이 그 성과 인정받아 임원된거라고 GS건설 부장급 직원한테 들은게 생각나네요
이른취침
23/07/07 10:25
수정 아이콘
역시..
o o (175.223)
23/07/06 23:34
수정 아이콘
뼈아파트를 알고 있니 순살아파트보다 좋아
CapitalismHO
23/07/07 07:04
수정 아이콘
광주사태는 현산은 얘기를 들었어도 아이파크 브랜드가 뉴스를 별로 안 타, 현산=아이파크로 이미지 매칭을 못하는 사람이 꽤 많았습니다.

반면 gs건설은 "순살자이"라는 희대의 밈때문에 자이 그 자체에 이미지가 작살났죠. 진짜 엄청난 타격이 예상되네요.
오드폘
23/07/07 07:23
수정 아이콘
gs건설은 하필 블라에 쌍팔년도 짤이랑 맞물려서 더 많이 언급되는듯 크크
의문의남자
23/07/07 08:10
수정 아이콘
그글 올라왓을떄 진짜 pgr에도 댓글 있는데, 엄청 아는척하면서 건설사 입장에서 철근얼마나 한다고 뺴돌리냐고, 저건 아예 생각없는 사람이 쓴글이고 선동된느 사람도 지식이 없는거다라는 댓글 있었습니다;;; 근데 그게 대한민국 역대급 성지글이 되었군요....
23/07/07 08:38
수정 아이콘
그 블라글만 아니였어도 이정도는 안퍼졌을듯..
의문의남자
23/07/07 08:52
수정 아이콘
pgr에도 막 상식없냐고 건설사 입장에서 그게 얼마나한다고 빼먹냐고. 저건 실무를 전혀모르는사람이 쓴글이고 속는사람도 상식이 없다는댓글있었는데. 후덜덜합니다. 저도 그글보고 생각해보니 수조원 굴리는 건설사에서 철근몇개 빼먹는다고? 하면서 중국이냐고 생각했는데
의문의남자
23/07/07 08:53
수정 아이콘
근데 생각해보면 그즈음 지은 아파트들은 팔십퍼는 그럴꺼다는 식이었는데, 후덜덜합니다
jjohny=쿠마
23/07/07 09: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말씀하신 그 댓글인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기억하는 댓글에서는 "철근이 빠졌을 때 당연히 건설사에 책임이 있는데, 철근값 아끼려고 철근을 빼먹었을 리는 없다고 생각한다. [철근이 빠지는 건 철근값 아끼려고 그런 게 아니고 다른 원인 또는 다른 의도가 있었을 것이다]"이라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https://pgr21.com/humor/479158#7624517

저는 꽤 설득력 있는 의견이라고 느꼈습니다.
의문의남자
23/07/07 09:59
수정 아이콘
cbr에서 본게 아닐수 도 있을꺼같아요. 엄청 비꼬면서 생각없다고, 무슨 건설사에서 아파트 건설하는 비용이 얼만데 철근 조금 빼먹는게 남을꺼같냐고, 생각이 얼마나 없으면 저런 글을 올리고, 저런글에 속냐고 막 비난하던 글이었습니다. 근데피지알 특성상 그렇게 심한 글은 안올라왓을거같네용. 저도 그 댓글을 보고 아. 그렇구나 철근 없어지는건 말이 안되는구나. 생각했어요.
23/07/08 15: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잘못한건 대전제입니다. 저 시공사가 잘했다는 뜻이 절대 아니고요.
일단 시공사 입장에서 철근 줄인다고 금전적 이득이 있냐부터 설명하자면 길어지니 그냥 이미지상 그렇다고 칠께요.

철근이 작년재작년 한참 비쌀 때 톤당 150만원정도 했어요. 시공비 대략 톤당 50만원 잡고 > 200만원정도.
지하 기둥에 들어가는 철근이 대충 콘크리트 1m3당 300kg정도 들어가면 많이 들어갑니다.
기둥 1개는 0.6x0.6x3.0= 1.08m3정도 되는거고 > 기둥 당 들어가는 철근량은 324kg > 기둥에 철근을 "다" 빼면 좀 그러니까, 70%만 뺍시다.
> 1개 기둥에 긴빠이한 철근은 226kg=0.226ton입니다. > 그럼 기둥당 45만원 정도 절감되었어요.
이걸 주차장 기둥 32개에 싹 다 하면 약 1,446만원이 긴빠이 됩니다.
이거 왠지 뭔가 적기도 하고 기둥만 뺄 리가 있나 벽이니 바닥이니 사방에서 다 막 빼내서 3억쯤 줄였어요.
그럼 그 짓을 해서 도급금액 1100억중에 0.27% 줄이는겁니다.
(물론 구조VE라는게 안전마진을 최대한 찾아가는 부분은 있지만)
[일부러] 철근 몇 개 빼서 얻는 이득이 전체 시공비에서 그렇게 크지는 않다는 거죠. 게다가 리스크는 미친듯 높은 행위고요.
감리가 행여나 안 놀고 발견하면 따따블 들여 재시공 해야합니다만 고려하지 않겠어요.

그냥 현장에 기사 하나 덜 내보내고 있던 친구한테 니가 더 하라고 굴리고
현장조직도에서 3명만 줄이면 하면 관리비 포함 한 달에 600 x 3 x 30개월 = 5억이 절감되는데 말입니다.
No.99 AaronJudge
23/07/07 10:22
수정 아이콘
와………
React Query
23/07/07 10:50
수정 아이콘
자이 아파트는 전국 여러곳에서 터지고 있는데 검단뿐만 아니라 특정 기간에 지어진 모든 자이아파트 전수조사해야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최근 본 뉴스만 해도 검단, 서울역, 방배, 개포, 평택 이네요
비행기타고싶다
23/07/07 10:59
수정 아이콘
입주민들 돈은 이미 다 들어간건가요?
들어가있는거라면 지금 당장 묶여있는 돈때문에 다른데 구하기가 힘들텐데...
하쿠나마타타
23/07/07 11:24
수정 아이콘
이게 진짜라니... 동네 건설사도 아니고 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208 [일반] 금일 KTX경부선(수원역경유) 운행중단이 떳습니다. [12] 키토13247 23/07/15 13247 2
99207 [일반] 아주 사소한 개인 음악사. [7] aDayInTheLife9392 23/07/14 9392 6
99206 [일반] LOCKDOWN - 이세계아이돌(버츄얼 아이돌) 후기 [32] 잠잘까12067 23/07/14 12067 5
99204 [일반] 아이가 태어났습니다 [182] 소이밀크러버11504 23/07/14 11504 94
99203 [일반] 코의 크기와 발기한 xx의 크기는 상관관계가 있다는 [42] 닉언급금지12654 23/07/14 12654 0
99202 [일반] 물 들어올 때 노젓는 제로 음료수 평가 [86] 무냐고12413 23/07/14 12413 3
99201 [일반] 우리 가족의 첫 여행을 책임지는 BGM (발칙한 아이유/ 에세이) [4] 두괴즐6654 23/07/14 6654 5
99200 [정치] 지도에서 '광주' 쏙 빠졌다…국토부 행사 포스터 논란 [71] 졸업15625 23/07/14 15625 0
99199 [일반] [주식] 삼성중공우 근황 [10] TheZone11395 23/07/14 11395 0
99198 [일반] 제로 콜라 그럼 먹어 말어? [68] 여왕의심복13231 23/07/14 13231 68
99197 [정치] 재생에너지에 목숨 건 대만과 느긋한 한국 [65] 크레토스13849 23/07/14 13849 0
99196 [정치] 명품샵 이슈가 발생한 김건희 여사 [310] 빼사스19342 23/07/14 19342 0
99195 [일반] 미션임파서블 7 DR p.1 감상 [26] 닉언급금지6318 23/07/14 6318 0
99194 [일반] 왠지 모르게 서글픈 건강검진 [16] Cazellnu8741 23/07/14 8741 3
99193 [일반] [미드]성난사람들 BEEF [2] 해맑은 전사8489 23/07/13 8489 13
99192 [정치] 양평고속도로 종점 변경은 용역업체가 착수 50일만에 스스로 제안했답니다 [111] 잉명16906 23/07/13 16906 0
99191 [일반] 경보를 남발하면 과연 그게 경보인가? [66] 달은다시차오른다11950 23/07/13 11950 15
99190 [일반] 인연 찾기 힘드네요 [41] 검정머리외국인11253 23/07/13 11253 11
99188 [정치] 순서 바뀐 '오세훈 수상버스'…운영자 먼저 뽑고 타당성 따진다? [66] 덴드로븀12486 23/07/13 12486 0
99187 [일반] 초복날의 생각 [21] Amiel9007 23/07/13 9007 14
99185 [일반] 밀란 쿤데라, 그리고 키치 [9] 형리7785 23/07/13 7785 20
99183 [정치] 당정 공청회에서 "여자·청년들은 실업급여로 해외여행, 샤넬 선글라스 사" [234] 기찻길21131 23/07/12 21131 0
99182 [일반] [컴덕] 인텔 차기 CPU 라인업 유출? [18] manymaster9731 23/07/12 973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