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6/27 13:02:08
Name 두괴즐
Link #1 https://brunch.co.kr/@cisiwing/11
Subject [일반] 재능 없이 꿈을 꾸는 일 (에세이)
재능 없이 꿈을 꾸는 일 (에세이)



나는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을 좋아한다. 거기에는 나에겐 없던 꿈에 대한 열망이 있다. 아니, 어쩌면 내게 없던 건 꿈이 아니라 재능이었는지도 모른다. 10대 시절 서태지를 비롯해 록 밴드 음악에 심취했던 나는 뭔가 음악적인 것을 하고 싶었다. 밴드 악기를 연주하거나 작곡을 하거나 했으면 했던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 무엇도 할 수 없는 손이었고, 귀만 혹사할 따름이었다. 다른 이유였지만 비슷하게 기타를 잡았던 동네 친구는 갑자기 작곡을 했고, 독학으로 피아노를 쳤다. 어느 날 교회에 가보니, 드럼도 치고 있었다. 나는 그 친구보다 더 많은 앨범을 수집했고, 더 많이 들었으며, 그래서 더 잘 알았다. 그냥, 그랬다고.



‘천재가 아닐까?’ 생각했던 그 친구는 공무원이 되었다. 알고 보니 세상에 널린 게 천재였다. 지속적인 노력도 일정한 재능이 있어야만 가능하다. 개 같은 발을 가진 친구의 특훈을 본 적이 있다. 축구를 하려고 편을 가를 때마다 매번 마지막까지 남던, 팀의 벌칙 같은 녀석이었다. 가진 재능에 비해 너무 축구를 좋아하던 개발이는 축구 전략에 대해서 혹은 축구 선수들의 능력에 대해서도 입을 털곤 했는데, 그가 가진 박식한 지식은 도리어 그를 우스꽝스럽게 만들었다. “야, 개발아, 네가 터는 입의 반의반의반만이라도 해줬으면, 우리 편이 그리 발리지는 않았을 텐데. 응? 새끼야~!”



학원을 마치고 집으로 가다가 소변이 마려워 학교 야외 화장실을 가는데, 누군가가 어둠 속을 달리고 있었다. 운동장을 가로질러 가보니 개발이었다. 개발이라 드리블은 못하고 허구한 날 달리고 있었다. 자고로 드리블의 핵심은 공을 발에서 너무 떨어뜨리지 않는, 즉 컨트롤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조작하는 것이다. 하지만 개발이에게는 그런 발이 없다. 그는 내게 방법을 좀 알려달라고 했다. 듣자 하니, 벌써 2주일째 특훈 중이란다. 응? 어제 함께 했던 시합에서도 개발이는 압도적인 개발이었는데!



나도 뭐 그리 대단한 실력자가 아니었고, 이론은 개발이가 빠삭했기에 나는 그냥 내가 하는 스타일을 보여줬다. 아무나 할 수 있는 시범이었다. 하지만 개발이는 대단하다. 일부러 그러기도 힘들 것 같은 동작을 하며 공을 튕, 튕, 차버리는 것이다. 이건 드리블 연습이라기보다는, 공 주우러 다니는 체력 훈련이었다. 이 짓을 2주째 하고 있다니. 그런데도 저렇게 트위스트를 추고 있다니.



어차피 공격수를 시켜주지도 않기 때문에 슈팅 연습은 필요 없는데, 굳이 그걸 하려고 했다. 보아하니, 그것도 슈팅 연습이라고 하기 뭐 한 그런 거였다. 트위스트 드리블과 그리 다를 바 없는 궤적으로 공을 보낼 뿐이었고, 또 공 주우러 다니는 체력 훈련이었다. 아니, 벽을 맞춰서 튕겨져 나오게끔 임팩트를 주라고! 디딤 발을 여기에 놓고. 발가락 끝이 아니라 발등이나 발 안쪽으로. 아니, 아니, 그게 아니고. 음, 이번에는 내가 공 주어 올게.



개발이는 내게 미안해했고, 그보다 더 자신을 민망해했다. 특훈 사실을 알고 난 후 나는 개발이를 끝까지 남기지 않고 그전에 뽑았다. 애들은 의아해했지만, 나는 쓸모를 찾으려 애썼다. 물론 그 학기 내내 개발이는 계속 개발이었고, 체육시간에 치른 드리블 시험도 형편없었다. 나는 그래도 처음 봤던 수준보다 아주 조금은 향상되었다는 것을 눈치챘기에 독려했다. 하지만 개발이는 자신 때문에 팀이 졌다는 소리를 또 들었고, 나의 응원을 믿지 않았다. 특훈도 관뒀다. 특훈의 효과는 대단하진 않아서 개발이 아니라고 하기에는 여전히 애매한, 역시 개발에 가까운 수준이었다.



그 대단한 발이 내게는 손에 달렸다. 나는 개손이었다. 삼촌에게 빌린 기타를 가지고 특훈을 했지만, 개손이 아니라고 하기에 애매한 수준으로만 향상되었다. 그런 평가는 나 자신에서 비롯된 것이겠지만, 외부의 평가에 의해 강화된다. “야, 그냥 기타 말고 딴 거 하지? 탬버린 같은 거. 짤랑짤랑” 이따위 소리를 반복적으로 듣게 되면 계속할 의욕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그러니까 개발이는 다음 학년 때도 계속 축구를 했을까?



이후에도 나는 기타를 왕왕 쳐왔다. 용돈을 모아 통기타를 샀고, 취미 삼아 치는 세월이 20년이 됐다. 그러니 이제 개손은 아닌 것이다. 드디어 나도 초보쯤, 뭐, 그 정도쯤은 됐다.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 그렇지 개발아? 그런 내게 거짓말을 못해서 계속 코가 짧아지는 친구가 와서 말했다. “이놈아, 개손이니깐 20년 치고도 초보인 거야!” “응?”



좋아하는 일이라도 재능의 씨앗이 좀 있어야 자란다. 모든 씨앗이 다 싹을 틔우지는 못하지만, 그마저도 없다면 노력이 들어갈 자리가 없다. 개 중에 잘난 씨앗이 탁월한 열매를 맺게 되는데, 그 나무의 애씀도 대견하지만, 더 중한 건 생태계 그 자체다. 한 명의 천재가 만 명을 먹여 살린다기보다는 만 명의 경쟁자와 동료, 그리고 그 산업의 생태계가 그 한 명이 열매를 맺을 수 있게 만든다. 그리고 그 생태계의 일부로서 썩어 자연이 된 씨앗도 무수히 필요하다.



나는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을 좋아한다. 거기에는 내가 가지 못했던 한 세계가 있다. 이제는 사랑하는 아내와 안락한 소파에서 방송을 보지만, 살벌한 땀을 흘리고 있는 꿈을 보노라면 여전히 찡하다. 아무쪼록 서로가 서로의 생태계임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군-
23/06/27 14:17
수정 아이콘
저도 대학다닐때 음악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작곡가의 꿈을 꾼 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4학년이 됐을 때, 이미 프로 작곡가로 활약중이었던 선배님이랑 술을 한잔 하면서 제 꿈을 얘기했죠. 그런데 그 선배님은 "안군아 너는 작곡보다 더 잘하는 게 있잖니. 이 동네는 천재가 아니면 굶어죽는 동네라서 너는 이쪽으로 안 들어오는 게 좋겠다." 라고 조언했고, 이후 어찌어찌 해서 프로그래머가 됐습니다.
그리고 지금 와서는.. 그 선배에게 무척 감사하는 중입니다. 이후 많은 선후배들이 음악가의 길을 가려 시도했지만 대부분 실패하고, 신입 때부터 비범한 재능을 보이던 친구들만 그럭저럭 자리를 잡더군요.
두괴즐
23/06/27 16:32
수정 아이콘
그랬군요. 본문에 등장했던 제 친구도 세계를 누비는 싱어송라이터가 되는 게 꿈이었지만, 결국 군무원이 되어 두 딸의 아버지가 되었지요. 미련이 아주 없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후회는 없다고 하더군요. 꿈의 경로를 이탈한 사람들의 사연에 더 주목하고 싶습니다.
고무장이
23/06/27 14:27
수정 아이콘
내가 가지고 있는 재능이 일정 수준 뛰어나더라도 그게 내가 밥 벌어 먹고 살 수 있을 정도의 허들을 넘을 수 있느냐. 이것도 참 중요하죠.
다른 사람의 재능과 나를 비교하는 것은 참 부질없는 짓이지만 눈에 보이는 것에 초연 하기도 어렵고요. 재미없는 일과를 해서 사는 일반적인 사람들에
속하게 되고 그걸 느끼기 시작하면 인생 참 재미없어 지는 것 같습니다. 나에게 없는 어떤 재능이 내가 재미있어 하는 일과 관계된 것이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니까요. 하지만 쉬운 난이도가 게임의 재미를 보장해 주는 것이 아니듯 어려움이 항상 재미가 없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인생이란 게임이 하드코어 난이도로 설정되어서 목숨이 1개 밖에 없는 이상 무언가 이 어려움에 의미를 찾고 살아가야 한다고 느낍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두괴즐
23/06/27 16:36
수정 아이콘
맞아요. 인생은 1회용이고, 세이브도 없기 때문에, 어찌됐든 앞으로 나갈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3/06/27 16:33
수정 아이콘
음미체는 어릴적 싹수가 안보이면 접는게 상책 입니다.

예전과 달리 저성장 고학력 시대인 지금은 학업 역시 싹수가 멀면 적당히 하는게 좋고요.
두괴즐
23/06/27 16:41
수정 아이콘
맞는 것 같아요. 그리고 도리어 제일 애매한 게 싹수는 보였는데 결실을 못 맺은 경우가 아닐까 하고요. 동네에 아는 형은 실제로 밴드 생활을 20년 넘게 했는데, 지금은 귀농해서 부모님과 살고 계시거든요. 10~30대 시절에 알바를 하면서 음악에 올인했는데, 결국은 잘 안 됐죠. 20대까지 한 것에 대해서는 후회를 안 하던데, 30 넘어서까지 한 건 후회를 많이 하더군요.
23/06/27 21:03
수정 아이콘
한때 소셜 댄스(린디합)에 몰두했던 때가 있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재능이 없는 일에 너무 많은 시간을 소모한 것 같아서 살짝 후회되기도 하지만, 어차피 그게 아니었으면 또 다른 소모적인 일에 시간을 쏟았겠죠. 그래도 가끔 카페에서 흘러나오는 스윙 음악을 들을 때마다 감상적이 되곤 합니다.
두괴즐
23/06/28 20:54
수정 아이콘
그랬었군요. 그래도 돌이켜보면 그런 몰입의 경험이 있었다는 것이 소중한 것 같아요. 추억이 되기도 하고, 또 뇌과학적으로도 인지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도 하고요. 몰입의 경험이 있는 사람이 다른 대상에 대한 몰입도 쉽게 할 수 있다고 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264 [일반] 오송 지하차도, 112 관련 반전 [86] Leeka16174 23/07/21 16174 3
99263 [일반] 미중 갈등으로 ‘니어쇼어링’ 수혜 입는 멕시코 [29] 흰둥7101 23/07/21 7101 1
99262 [일반] [피마새]부냐가 당한 정신 억압은 어떤 것이었을까? [13] 닉언급금지4869 23/07/21 4869 2
99259 [일반] 다음 생에는 사람으로 태어나지 말아야지 [7] 여기에텍스트입력8056 23/07/21 8056 2
99258 [일반] 초등학교 담임 교사가 겪게 되는 어려움 [25] Icis9759 23/07/21 9759 36
99257 [일반] 서이초 추모공간에 다녀왔어요 [26] rclay9074 23/07/20 9074 26
99256 [정치] 키시다 총리: 내려간 지지율 언젠가는 오른다" [17] 기찻길7284 23/07/20 7284 0
99255 [일반] 초등학교 담임교사제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44] nada829645 23/07/20 9645 17
99254 [일반] 네이버 웹툰 잡담 [20] 그때가언제라도6617 23/07/20 6617 1
99253 [정치] 몰락한 정치인이자 2인자였던 이낙연을 보며 [138] rclay11617 23/07/20 11617 0
99252 [일반] 최강야구때문에 KBO 경기를 다시 들여다 보는상황 (feat. 한화보면서 통곡) [31] 날아가고 싶어.6413 23/07/20 6413 2
99251 [일반] 다수 학생을 제압하는 효과적인 방법 (체벌의 효과와 여파) [84] 두괴즐9346 23/07/20 9346 21
99250 [정치] 늑장 논란 김영환 충북지사 "일찍 갔다고 바뀔 게 있나" [97] 밥도둑11403 23/07/20 11403 0
99249 [일반] 교사로 일하며 본 특이한 교사들 [29] 법규8241 23/07/20 8241 17
99248 [일반] 진상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56] 퀘이샤7479 23/07/20 7479 3
99247 [일반] 교권 문제는 법(원)이 원흉이네요. [43] O9118 23/07/20 9118 5
99246 [일반] 공부에서 중요한 것은 끈기일까, 유전일까? [182] 마스터충달9068 23/07/20 9068 6
99245 [일반] 초등학교 선생님은 힘든 것 같다... 아니 힘들다 [98] 아타락시아110198 23/07/20 10198 38
99243 [정치] 4대강 사업 때 만든 상주보·구미보 둔치 와르르…“폭우에 취약 구조 드러나” [37] 베라히10069 23/07/20 10069 0
99242 [일반] <바비> - 독특하고 이상한 바비랜드.(약스포) [11] aDayInTheLife5701 23/07/20 5701 4
99241 [일반] 결혼하는 신혼부부들은 연봉이 어떻게 될까? [37] rclay11969 23/07/19 11969 5
99240 [일반] 어제 신규교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359] 하카세23442 23/07/19 23442 37
99239 [일반]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커닝 파트 1 (강스포) [27] Blooming5868 23/07/19 5868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