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6/12 22:06:41
Name KOZE
Link #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9287
Subject [일반] 이탈리아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 사망 (수정됨)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전 이탈리아 총리가 12일 밀라노에서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는 소식입니다. 
베를루스코니는 기업가에서 정치인이 된 인물로 3번 총리를 했지만 총리로서의 평가는 결코 좋지 않습니다. 
그 안 좋은 평가처럼 수많은 실언과 망언으로 유명합니다. 
아마 한 때를 풍미한 트럼프를 비롯한 막말 정치인들의 원조라고 볼 수 있는 인물이죠. 

몇 가지 추려보자면 이렇습니다. 

1. 모택동 집권당시 중국은 아기를 삶아서 비료로 썼다. 
2. 이탈리아에는 미녀가 많아서 성폭행을 막을 수 없다. 
3. 나치 시대를 그린 영화 속의 나치 강제수용소 카포 역할에 완벽히 어울리는 인물 (독일 마르틴 츌츠 EU 의원을 향해)
4. 당신의 마누라는 내가 보냈다.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에게 )
5. 이재민 여러분, (이번 재해는) 잠시 주말 캠핑간다고 생각하십시요. (지진 지역 이재민들을 향해)
6. 오바마는 젊고 잘생겼고 거기다 선탠까지 했다. 
7. 좌파는 여자에 대해서도 취향이 낮다. 
8. 게이인 것 보다는 젊은 여자를 사랑하는 것이 낫다. 
9.선거 기간 중에는 야스를 끊겠다. 
 
Ciao Berlusconi!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경규
23/06/12 22:13
수정 아이콘
지옥 가즈아
똥진국
23/06/12 22:14
수정 아이콘
1. 저 사람이 죽기는 죽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고
2. 사인이 복상사가 아니라서 의외라는 생각이 들고
3. 100살 가까이 살 줄 알았는데 80대에 죽어서 의외라는 생각이 들고
4. 저같은 사람이 보기에는 본인이 하고 싶은거 다 하고 죽은걸로 보여서 내가 하고 싶은거 다 해보고 죽을수있는건 부럽다는 생각이 듭니다
보리야밥먹자
23/06/12 22:17
수정 아이콘
옐친과 저사람 중에 누가 상대적으로 더 막장스러운 지도자로 평가될까요?
23/06/12 22:24
수정 아이콘
옐친이 러시아에서 불호가 심하긴 한데…

베를루스코니같은 인간이랑 비유하는건 옐친의 굴욕일 지경이죠…
23/06/13 09:33
수정 아이콘
인격적으로 보면 모를까 정치인 옐친의 무능함은 범죄입니다.
23/06/13 10:23
수정 아이콘
러시아 사람은 꺼꾸로 생각할겁...
수정과봉봉
23/06/13 08:29
수정 아이콘
푸틴이 아닌 옐친과 비교요?
23/06/12 22:19
수정 아이콘
정신 나간 할배였네요 크크크
23/06/12 22:23
수정 아이콘
본문에도 있지만 트럼프가 따위로 보일 지경의 위인이죠.
AC 밀란 구단주이기도 했습니다.
No.99 AaronJudge
23/06/12 23:00
수정 아이콘
이야

죽기는 죽는군요

진짜 2000년대 선진국 지도자로
저딴 인간이 나오나 싶었는데
사람되고싶다
23/06/12 23:26
수정 아이콘
아니 마침 어제 러닝 뛰면서 슈카 저 사람 썰 푸는 거 들었는데...
12년째도피중
23/06/13 03:24
수정 아이콘
이 분 때문에 붕가붕가가 이탈리어어라는 걸 알았습니다. 뉴스에서 붕가파티라는 단어를 들을 줄은 몰랐음. 크크크
23/06/13 06:56
수정 아이콘
R.I.P
호머심슨
23/06/13 07:23
수정 아이콘
망언은 새발의 피고
언론을 이용한 사유화가 문젠데
예를 들면 한국에서 조중동과 sbs를
모두 소유한 홍길동이 그 언론을 이용해
한국을 주물떡거리면서 몇선대통령 한다고
생각하면 끔찍한데 나름 g7인 이탈리아에서?
강문계
23/06/13 08:34
수정 아이콘
사실 망언이 문제가 아니죠.
여론조작으로 3선까지 한 양반인데
자신을 향한 비난을 망언으로 국한시키려는 전략으로 보일지경
알바척결
23/06/13 09:56
수정 아이콘
MB의 워너비였죠
호머심슨
23/06/13 10:07
수정 아이콘
종편처럼 자신에게 유리한 환경을 만든다가
아니라 베를루스는 언론이 지거라
23/06/13 08:30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의 국력 쇠퇴와 베를루스코니의 집권기가 겹치는 건 우연이 아닐겁니다.
마르세유
23/06/13 19:54
수정 아이콘
베를루스코니가 조금 거들었을 수는 있으나
누적된 저출산 노령화 + 세계화 적응 실패로 쇠퇴는 예견돼 있었습니다.
내년엔아마독수리
23/06/13 09:04
수정 아이콘
뉴스에서 이탈리아 소식 나올 때마다 총리가 계속 저 사람이라서 한때는 이탈리아가 아프리카 막장 후진국 레벨인 줄 알았습니다
StayAway
23/06/13 09:50
수정 아이콘
욕 먹으면 오래산다는 관점에서는
거의 영생이라고 봐야 하는데..
비오는일요일
23/06/13 10:05
수정 아이콘
밀란을 월드클라스로 만들었다가 월드글라스로 만듦.
Yi_JiHwan
23/06/13 15:33
수정 아이콘
불지옥에서 계속 활활 타라
카바라스
23/06/13 16:25
수정 아이콘
간만에 반가운 부고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128 [정치] [속보]IAEA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계획, IAEA 안전기준에 부합” [361] 기찻길15758 23/07/04 15758 0
99127 [일반] 980pro 최저가 외 [23] Lord Be Goja7066 23/07/04 7066 2
99126 [일반] 왜 십대 때 듣던 음악을 못 잊는가? [78] 두괴즐9682 23/07/04 9682 10
99125 [정치]  “전문가에게 맡긴다”는 윤석열, 누가 전문가인지 구분할 능력은 있고? [92] 베라히12557 23/07/04 12557 0
99124 [일반] 삼성 반도체 핵심 직원 2년 이직 금지 조치 정당 [131] 굄성13144 23/07/04 13144 4
99123 [정치] 윤석열 "상식적 중도도 반대쪽에서 보면 극우" [81] 동훈13699 23/07/04 13699 0
99122 [일반] 한국에서 추방되었던 파키스탄 노만 근황의 근황 [120] 10220364 23/07/03 20364 8
99121 [일반] 지난 9년간 자동차보험 의료비 중 한방 비중 변화 [64] VictoryFood15931 23/07/02 15931 19
99120 [일반] 불안과 선택의 순간. [17] aDayInTheLife9291 23/07/02 9291 16
99119 [일반] 현행 벌점 부여 방식에 대한 잡설 [77] StayAway10756 23/07/02 10756 16
99118 [일반] 일뽕이 인터넷에서 문제시 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121] 헤일로12138 23/07/02 12138 1
99117 [일반] 연년생 자매 육아, 요즘은 그래도 살만합니다. [48] 착한아이9500 23/07/02 9500 41
99116 [정치] 김건희 일가 땅 쪽으로 계획 튼 고속도로 종점…특혜 의혹 [87] 빼사스14630 23/07/02 14630 0
99115 [일반]  6월 무역수지, 16개월만에 흑자 전환, 한전 3분기 흑자전망 [28] dbq12311060 23/07/02 11060 6
99114 [일반] 캣맘(대디)이 설치한 집들을 신고해봤습니다. [41] 아이스베어11521 23/07/02 11521 34
99113 [일반] 2년만에 다시 달리기 시작했습니다 [22]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8937 23/07/01 8937 11
99112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태신자 초청(대형교회편) +다 놔두고 옮긴 이유 [14] SAS Tony Parker 8511 23/07/01 8511 3
99111 [일반] 펩 과르디올라는 어떻게 지금 이 시대의 축구를 바꿨는가. [25] Yureka8441 23/07/01 8441 28
99110 [정치] 이동관 홍보수석실, 국정원에 정부 비판 인사 ‘여론 조작’ 지시 [60] 베라히13113 23/07/01 13113 0
99109 [일반] 신해철 노래 가사로 이미지 만들기 [1] 닉언급금지6632 23/07/01 6632 4
99108 [일반] 소곱창 집에서 화상을 입어서 치료비 배상 청구를 했습니다. (후기 1) [62] 광개토태왕11583 23/07/01 11583 2
99107 [일반] 고속도로 1차로 정속주행 차량 8월부터 범칙금.gisa [84] VictoryFood9684 23/07/01 9684 6
99105 [일반] 애플 오늘의 기록 [21] 렌야7058 23/07/01 7058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