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6/12 03:10:35
Name 알렉스터너
Subject [일반] 금사빠 혹은 스며들기 (수정됨)
오늘 오랜 친구들에게 연애 상담 겸 수다를 떨면서 깨달은 게 하나 있었습니다.

"그렇게 금사빠라고 생각해본 적 없었고, 누군가에게 대쉬할 때 단기간에 승부보려는 생각은 없었는데, 내 행동이 누군가에겐 여유 주지 않고 몰아치는 스타일이고, 금사빠일 수 있겠구나"라는 점입니다.

30대 중반이고, '머가리 꽃밭, 항상 밝기만 한' 전형적인 특징을 가졌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제 MBTI는 ENFP입니다.

과거 연애 경력을 보면 8:2로 대부분 자만추였습니다. 학교나 주변에 있는 무리 혹은 이벤트에서 알게 된 케이스죠. 어쨌든 자만추든 인만추든 맘에 들기 시작하고 첫 만남이나 첫 유의미한 이벤트가 시작됐을 때부터 한달 이내에 썸을 타고 가끔은 두달 안에 승부가 났습니다. 쫑이 나든 사귀든요. 좀 더 세부적으로는 첫 데이트를 하고 나서, 그다음은 2주 이내에 혹은 정 시간 조율이 안 되거나 바쁜 시기면 3주 안에 다음 약속을 잡는 게 핵심이었습니다. 물론 그 사이 잦고 빈도 높은 연락은 필수였고요.

그러나 고민의 주제는 그런 패턴에서 좀 다른 분으로 추정(?)되는 분을 최근에 알게 되면서였습니다. MBTI는 ISTP로 제 주변에 많이 없는 부류였습니다. 주말엔 방콕해서 혼자만이 시간이 정말 중요하고, 친구도 많지 않고, 업무 카톡 이외에는 연락을 매우 왕성히 하지 않는 부류랄까요.


그러나 친구들과 나눈 고민 주제는 이거였습니다. 그렇게 좋았던 다음날 제가 카톡으로 간단한 물음을 했는데 그분이 읽씹을 했다는 것이었죠.. 주말 내내 답이 없다는 사실..!

오랜 친구들에게 이 과정들을 브리핑해주며 설명해줬습니다. 속으로 이 과정에서 제가 어떤 생각들도 했는지도요. 가령, 셋이서 있었던 자리에서 그 사람 말 한마디에서 의미 부여를 해서 알맹이가 있을 거 같다거나 다음 번에 만나자고 했을 때 거절이 아닌 날짜 옵션들을 제시한 게 좋은 시그널 아니느냐 뭐 이런 식입니다. 과하게 보면 확대해석이긴 하죠. 근데 친구들이 이런 줄거리를 듣더니 핀잔을 좀 주더랍니다.

"너는 왜 이렇게 성급하냐, 그런 생각하면서 자꾸 있었던 일에 매달리지 말고, 조금 텀을 두고 접근하거나 다음 만남을 기약해보는 건 어떄?"
그러니까 단기간에 몰아쳐서 썸과 사귐을 완성하는 금사빠식 말고 장기전으로 내다보면서 천천히 접근하고 상대 생각을 변화하게 하는 스며들기 방식을 해보라는 거였습니다.

그러나 제 연애 스타일과 직관은 이렇습니다. 한번 오프라인 만남이 가졌고 너무 마음에 들면 어떻게든 다음주에 약속을 잡을지 머리를 굴리는 거죠. 그러나 친구들은 그렇게 하면 상대에게 조급해보이고 '이 사람이 날 좋아하네' 판단을 쉽게 하게 해서 흥미가 떨어질 수도 있다는 논리입니다. 그러니까 깔끔하게 만남을 털고 자연스럽고 여유롭게 다음을 기약하라는 겁니다. 의식적으로라도 이런 노력을 해보라고 합니다.

한 친구는 심지어 자기가 한번 적극적인 제스처라든지 한걸음 다가가면 한번은 끝까지 기다리기만 한답니다. 상대방이 먼저 제스처를 취하거나 좀 과격하게 말하면 답답하거나 안달이 날 때까지 말입니다. 그 친구는 이렇게 썸을 타왔다고 합니다. 옆에 있는 다른 친구도 이 얘기에 적극 동의해줬고요.

그게 전략적으로 일부 이성들에겐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은 듭니다. 그러나 금사빠식 전략을 쓰든 스며드는 전략을 쓰든 상대에 따라 리스크가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전자의 경우, 판단이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사람에겐 반감을 사는 스타일이어서 관계가 성사되지 않을 수 있고, 후자는 연애에 적극적인 사람에게 '이 사람 나한테 관심이 없나보네. 다른 사람 찾아보자'라는 생각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니까요.

정리하자면, 금사빠식이든 스며들기식이든 어떤 연애 전략이든 상대에 따라 유불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에게 당연하고 맞다고 생각한 연애전 전략이 누군가에겐 희한하게 보일 수 있다는 걸 깨닫고 생경함을 느낀 하루였습니다. 친구들이 준 조언이 맞는지는 조금 더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중요한 건 서로 맘에 들면 어떤 방법론이 됐든 잘 될 거라는 점입니다. 그러나 그런 경우가 많진 않으니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공실이
23/06/12 05:05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연애는 모든 케이스가 다 다르니 게임처럼 다 깰수 있는게 아니고 운없게도 안맞는 경우도 생기죠. 그래서 모든 연인들은 일종의 운명인거죠.
레이미드
23/06/12 12:01
수정 아이콘
어떤 방법론이 '정석'이기는 (사람에 따라서) 어렵다는 게 연애의 가장 큰 매력이자 가장 큰 장벽인 것 같아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예쁜 사랑 하시길..
무냐고
23/06/12 13:30
수정 아이콘
서로 맘에 들어도 엇갈리면 '인연이 아닌가보다' 하는 상황들이 종종 생기긴 하죠..
라울리스타
23/06/13 07:46
수정 아이콘
맞춰가야죠. 제 여자친구는 사귀고 난 이후에도 읽씹은 기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080 [정치] 교육부는 킬러 문항이 없다고 주장해왔고 이에 대한 재판 결과가 나와있었네요 [50] 잉명12695 23/06/28 12695 0
99079 [일반]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 캣맘이 저지른 최악의 위선 [235] 플레스트린22205 23/06/27 22205 97
99078 [정치] 신라면 50원·새우깡 100원 내린다…농심, 정부 압박에 백기 [108] 덴드로븀13141 23/06/27 13141 0
99077 [일반] 오랜만에 자작곡 올립니다~ [2] 포졸작곡가4968 23/06/27 4968 7
99076 [일반] 프리고진이 핵을 가지고있다면? [16] 총알이모자라28973 23/06/27 8973 3
99075 [일반] 재능 없이 꿈을 꾸는 일 (에세이) [8] 두괴즐6168 23/06/27 6168 14
99074 [정치] 논술·내신도 ‘킬러 문항’ 없앤다 [87] 크레토스9579 23/06/27 9579 0
99073 [일반] 학생부 종합전형은 지속 가능 할까 [55] 하나6767 23/06/27 6767 4
99072 [일반] 제노니아 신작 나온 컴투스 홀딩스 주가 근황 [54] 만찐두빵9272 23/06/27 9272 0
99071 [정치] 총선 목표치를 170석으로 잡은 윤석열&대통령실 [185] 검사8377 23/06/26 8377 0
99070 [정치] 후쿠시마 오염수가 방류된다면 그 방사선 양은 사고당시 유출된양과 어떻게 다른가? [192] 김은동10053 23/06/27 10053 0
99067 [일반] 시험도 시험봐야 하지 않을까? [31] 번개맞은씨앗8314 23/06/26 8314 2
99066 [일반] 러시아, 자포리자 원자로 4개 폭파 준비 완료 [34] 김경호11529 23/06/26 11529 0
99064 [정치] 與 '횟집 가기 챌린지'...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괴담 '맞불' [82] 톤업선크림11918 23/06/26 11918 0
99063 [일반] 자영업자 이야기 - 직원 뽑기에 실패하였습니다. [46] Croove12134 23/06/26 12134 21
99062 [일반] 그래서 등산용 스틱 어떻게 쓰는거래요? [26] 캬라7960 23/06/26 7960 12
99061 [일반] RTX 4060 3D마크 벤치마크 유출, RTX 3060 12GB보다 평균 23% 우위 [9] SAS Tony Parker 7120 23/06/26 7120 1
99060 [일반] [서베이] 정시와 수시 중에 무엇이 더 공평할까? [141] youknow0412565 23/06/26 12565 14
99059 [일반] 사람 인연이란게 참 어렵습니다 [22] 비니루다8838 23/06/26 8838 5
99058 [일반] 집 나간 적 없는 꿈을 찾습니다 下편 (내가 찾은 꿈의 결론은? 또태지) [2] 두괴즐6523 23/06/25 6523 6
99057 [일반] 네덜란드와 일본이 조만간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통제를 시작합니다. [39] dbq12313276 23/06/25 13276 9
99056 [일반] [웹소설] 이번 지상최대공모전에서 주목할 만한 신작들 [21] meson9649 23/06/25 9649 6
99055 [정치] 티베트 망명정부의 입장이 나왔네요 [101] 아이스베어14214 23/06/25 1421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