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6/10 12:36:27
Name 두괴즐
Link #1 https://brunch.co.kr/@cisiwing/3
Subject [일반] 이사 떡을 돌리고 받은 것
얼마 전 층간소음 때문에 이사를 했다는 글을 썼었지요.
https://pgr21.com/freedom/98930

예전에 썼던 글을 보니, 그 층간소음의 아파트에 가면서 남겼던 글이 있더군요.
그때의 기대와 설렘, 걱정이 복합적으로 들어 있더군요.
결국 층간소음을 견디지 못해 이사를 결정하게 되었는데,
당시 이사를 할 때도 층간소음에 대한 우려는 하고 있었네요.
기록을 공유해봅니다.

===============


이사 떡을 돌리고 받은 것
- 층간소음을 부탁해



2021년 12월 9일은 첫 애의 출산 예정일이다. 그래서 우리는 홈그라운드로 돌아왔다. 물론 여기서 홈은 아내의 홈이고, 나는 처음으로 부산을 떠나 김해 시민이 되었다. 이사를 했으니 떡을 돌리는 것이 인지상정-!인 줄 알았는데, 요즘은 또 딱히 그런 분위기가 아니라고 했다. 어떻게 할까나.



얼마 전 텔레비전을 보는데(알쓸범잡 6편, tvN, 2021.), 층간소음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층간소음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복합적으로 이뤄져 있다. 건축적으로는 아파트가 기둥식 구조가 아니라, 벽식구조라는 점을 문제로 꼽는다. 벽식구조는 층 간 바닥을 아무리 두껍게 해도 근본적으로 벽 자체가 위아래로 연결된 하나의 몸 같기 때문에, 소음에 취약하다. 바닥이 울리면 벽을 따라 소리가 이동하는 탓이다. 반면 기둥식 구조는 아래위층이 직접 연결된 곳이 기둥이므로 소리가 기둥을  타고 가기에 소음이 낮다.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기둥식이 아닌 벽식구조로 아파트를 짓는 이유는 명백하다. 바로 건설 비용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가 이사한 집이 바로 그 벽식구조로 지어진 오래된 아파트다. 그러니까 층간소음이란 이제 나에겐 자연의 소리가 되는 것이다.



처음 여기로 이사 온 날에 내가 느낀 가장 큰 소음은 층간 소음이 아니고, 하늘 소음이었다.  ‘세상에! 비행기의 창문 수도 셀 수 있겠다!’ 김해에는 김해공항이 있고, 나는 그 공항의 날갯짓 아래로 온 셈이었다. 솔직히 말하면 나도 소음 속에 자란 아이다. 삼면이 도로로 둘러싸인 집에서 부모님이 떡을 만들기 위해 돌리던 기계 곁에서 컸다. 그러니 소음에 그리 예민하진 않다. 그렇게 생각하며 살았다. 그런데 그랬는데도 들렸다. 일상을 파고든 비행기의 날갯짓 소리가.



놀라운 건 아내에게는 그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비행기 소음은 늘 들어왔었기에 그 소리가 달팽이관을 지나도 뇌는 시큰둥하다. 그녀는 말한다. “너도 곧 나와 같이 될지어다.” -아, 아멘.



층간소음도 그럴까. 사실 층간소음은 생활 소음의 일환이다. 심각해지는 건 거기에 감정이 묻을 때다. 해가 갈수록 층간소음으로 인한 폭력 사건이 증가한다. 해가 갈수록 층간소음을 낮추기 위한 여러 방편이 나오고 있음에도 그렇다. 뇌는 처음 드는 소리에 민감하다. 하지만 이 소리는 익숙해지면 둔감해진다. 반면 감정이 묻은 소리는 점점 더 잘 들리게 된다. 그러니까 이런 식이다. 예전에는 그리 크게 여겨지지 않던 그 발소리가 너무 세게 또 빈번하게 들린다. 며칠 전 마주한 위 호의 입주자가 미안한 기색은커녕 도리어 내게 예민보스라며 혀를 찬 탓이다. 텔레비전 소리를 아무리 크게 틀어도, 비행기가 아파트의 머리에 부딪힐 정도로 날아도, 내게는 그놈의 발소리만 들린다. 우리는 생존과 번식을 위해 무엇보다 적의 소리에 예민하게 반응해야 했다. 그리고 그 원수가 바로 위에 있다. 그런 식이라 하여



떡을 돌리기로 했다. 우리도 층간소음의 일부가 되겠지만, 중한 건 이웃이 되는 것일 테니.



이사 떡을 돌리지 않는 것이 요즘의 국룰이라는 말을 들었다. 정말일까? 게다가 나는 히키코모리형 인간이라 막상 떡을 돌리려 하니 긴장이 됐다. ‘어이구, 무서운 세상인데 괜히 엉뚱한 트러블이 생기는 거 아냐?’ 우리는 떡이 포장된 도시락에 인사 글을 쓴 포스트잇을 붙였고, 여차하면 문고리에 걸어 놓고 튈 수 있게 봉투도 준비했다. 그러고 나서 우리는 비행기가 우리 아파트를 스쳐 날 듯 그렇게 돌았다. 그리고



내가 누른 초인종 소리만큼 우리 집 초인종도 울렸다. 떡을 받은 손들은 귤을, 김치를, 비닐팩을 내줬고, 무엇보다 환영의 인사를 건넸다. 뱃속 아기도 그 환영을 받았다. 좀 더 찬 바람이 부는 날이 오면, 아기는 큰 울음으로 이에 응답할 것이다.



이사 떡은 이웃의 위장에서 곤히 잠들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VictoryFood
23/06/10 13:52
수정 아이콘
이제 귤을, 김치를, 비닐팩을 받으셨으니 다시 보내셔야 합니다?
두괴즐
23/06/11 21:37
수정 아이콘
그래야 되겠네요. 흐흐. 근데 그 분들도 다 이사를 갔다는...!
이명준
23/06/10 13:55
수정 아이콘
층간소음의 문제는 소음이전에 소통의 부재나 관계의 단절이 더 큰 원인인 것 같습니다.
지금은 이사를 왔지만 먼저 살던 곳에서 20년 정도 살았는데 위층에 사는 분들은 우리 보다 더 오래 살고 있었죠
그런데 위층의 딸이 초등학교 때부터 커 가는 것을 보아왔고 그 아이가 결혼해서 아이를 둘을 낳았는데
친청 부모에게 아이 맡겼다가 주말에 데려가기를 반복하더군요
위층 아주머니를 가끔씩 뵈면 정신이 반쯤 나간 거 같기도 하고 깔끔하고 세련되 보이던 모습은 온데 간데 없고
항상 부시시한 모습이었습니다.
물론 아이들이 커가면서 위층은 운동장이 되었구요.
그런데도 이상하게 아무렇지 않더라구요. 위층 분들은 아이들이 뛰어다녀서 죄송하다고 하는데 정말 괜찮더라구요
그집의 히스토리를 아니까요
오히려 위집 아이들을 어쩌다가 만나면 까까 사먹으라고 돈을 줄 때도 있었습니다.
정말 못 견디게 신경쓰이는 층간소음도 분명히 존재하죠
그런데 상당부분은 소통의 부재나 관계의 단절로 인한 감정의 문제인 경우인 것 같더라구요.

떡 잘 돌리셨어요.
떡이 문제가 아니라 핑계김에 얼굴 한 번 보고 인사하고 그렇게 관계를 맺고 소통하는 거니까요.
엄마 뱃속의 아기 잘 있다가 건강하게 세상에 나오기를 빌어봅니다.
두괴즐
23/06/11 21:39
수정 아이콘
네. 맞아요. 잃어버린 이웃을 찾는 것이 층간소음 문제의 대책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Valorant
23/06/11 15:20
수정 아이콘
비행기 소리는 익숙해 지셨는지요?
날카로운 제트 엔진 소리도 있지만
우르쾅쾅 수송기 소리도 있으니..
두괴즐
23/06/11 21:38
수정 아이콘
비행기 소리는 정말 이제 잘 인지하지 못할 정도가 되었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080 [정치] 교육부는 킬러 문항이 없다고 주장해왔고 이에 대한 재판 결과가 나와있었네요 [50] 잉명12695 23/06/28 12695 0
99079 [일반]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 캣맘이 저지른 최악의 위선 [235] 플레스트린22205 23/06/27 22205 97
99078 [정치] 신라면 50원·새우깡 100원 내린다…농심, 정부 압박에 백기 [108] 덴드로븀13141 23/06/27 13141 0
99077 [일반] 오랜만에 자작곡 올립니다~ [2] 포졸작곡가4968 23/06/27 4968 7
99076 [일반] 프리고진이 핵을 가지고있다면? [16] 총알이모자라28973 23/06/27 8973 3
99075 [일반] 재능 없이 꿈을 꾸는 일 (에세이) [8] 두괴즐6168 23/06/27 6168 14
99074 [정치] 논술·내신도 ‘킬러 문항’ 없앤다 [87] 크레토스9579 23/06/27 9579 0
99073 [일반] 학생부 종합전형은 지속 가능 할까 [55] 하나6767 23/06/27 6767 4
99072 [일반] 제노니아 신작 나온 컴투스 홀딩스 주가 근황 [54] 만찐두빵9272 23/06/27 9272 0
99071 [정치] 총선 목표치를 170석으로 잡은 윤석열&대통령실 [185] 검사8377 23/06/26 8377 0
99070 [정치] 후쿠시마 오염수가 방류된다면 그 방사선 양은 사고당시 유출된양과 어떻게 다른가? [192] 김은동10053 23/06/27 10053 0
99067 [일반] 시험도 시험봐야 하지 않을까? [31] 번개맞은씨앗8314 23/06/26 8314 2
99066 [일반] 러시아, 자포리자 원자로 4개 폭파 준비 완료 [34] 김경호11530 23/06/26 11530 0
99064 [정치] 與 '횟집 가기 챌린지'...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괴담 '맞불' [82] 톤업선크림11918 23/06/26 11918 0
99063 [일반] 자영업자 이야기 - 직원 뽑기에 실패하였습니다. [46] Croove12134 23/06/26 12134 21
99062 [일반] 그래서 등산용 스틱 어떻게 쓰는거래요? [26] 캬라7960 23/06/26 7960 12
99061 [일반] RTX 4060 3D마크 벤치마크 유출, RTX 3060 12GB보다 평균 23% 우위 [9] SAS Tony Parker 7120 23/06/26 7120 1
99060 [일반] [서베이] 정시와 수시 중에 무엇이 더 공평할까? [141] youknow0412565 23/06/26 12565 14
99059 [일반] 사람 인연이란게 참 어렵습니다 [22] 비니루다8838 23/06/26 8838 5
99058 [일반] 집 나간 적 없는 꿈을 찾습니다 下편 (내가 찾은 꿈의 결론은? 또태지) [2] 두괴즐6523 23/06/25 6523 6
99057 [일반] 네덜란드와 일본이 조만간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통제를 시작합니다. [39] dbq12313276 23/06/25 13276 9
99056 [일반] [웹소설] 이번 지상최대공모전에서 주목할 만한 신작들 [21] meson9649 23/06/25 9649 6
99055 [정치] 티베트 망명정부의 입장이 나왔네요 [101] 아이스베어14214 23/06/25 1421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