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6/01 22:44:01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117951228
Subject [일반]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 안개 낀 세계 속, 직업으로서의 '스파이'론 (수정됨)

실은 저는 이 영화를 보기 전에 원작 소설을 읽어봤습니다만, 뭐 기억이 안나고 또 기록한 데도 (그 당시에는) 없었으니 걍 처음 본 척하고 이야기를 시작해볼까 싶습니다.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는 존 르카레의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한 에스피오나지 장르입니다. 아마 모티브가 된 실제 사건을 알고 계시는 분도 있을 것 같네요. ('케임브릿지 사건'!)

영화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건 역시 화면의 질감입니다. 그러니까, 매캐하게 안개끼고 흐리고, 회색의 화면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이 이야기를 요약하기 위한 '카피 문구'가 참 애매합니다.


누군가 존 르카레의 소설 주인공은 '저항하기엔 나이가 들었지만, 그렇다고 순응하기엔 아직 젊은' 어정쩡한 중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고 하던데, 어찌보면 이 영화도 그렇습니다. 어떤 점에서는 참 '프로페셔널'한 이야기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영화의 큰 줄기는 첩보부 내에 숨어있는 고위 첩자, '두더지'를 잡아내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이 이야기를 기교를 들이거나 혹은 서술 트릭을 이용하거나 혹은 액션의 물량공세로 그려내는 이야기는 아니에요. 오히려, 영화는 꽤 혼란스럽습니다. 집에 있는 소설책 두께와 두 시간 조금 넘는 영화의 러닝타임을 생각해보면, 영화는 꽤 많은 부분에서 잘라내고 또 생략한 부분이 있겠구나 하고 생각하게 됩니다. 동시에, 영화의 이야기도 약간은 산만해요. 몇몇 장면들이 시간 순서가 아니라 오히려 주인공 '조지 스마일리'의 생각 순서대로 구성된 느낌이거든요.


영화는 결국 회색 지대의 어딘가를 조준하는 영화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러니까, 멋들어진 스파이는 당연히 아니고, 그렇다고 혼란스러운 '슈퍼 스파이'도 아니고. 오히려 영화의 조준지점은 담배 연기마냥 희뿌연 세계 속에서 하루 하루를 살아가는 직업인으로서의 스파이, 혹은 하나의 장기말로서 기능하는 스파이의 이야기는 아닐까 생각해보게 됩니다. 다만, 보면서 원래는 <타인의 삶>과 비슷한 무엇인가를 느꼈는데, 막상 쓰면서 정리하니 결이 좀 다르다는 느낌이 드네요. '사무적인 스릴러'라는 측면에서는 유사성을 느끼지만, 타인의 영향으로 부조리를 깨닫는 <타인의 삶>과 흑과 백 속에서 결국은 어떠한 방향성을 강요받아야했던 이 영화의 차이 때문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스터충달
23/06/02 09:41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 표현이네요. 직업으로서의 스파이! 그렇게 본다면 <타인의 삶>과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는 완전 반대의 작품이라고 볼 수도 있을 듯합니다. <타인의 삶>은 위대한 영웅의 이야기였으니까요.
aDayInTheLife
23/06/02 10:0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크크크 직업으로서, 사무실의 스파이를 다룬 영화로 정말 멋지다고 생각해요. 타인의 삶은 벽을 허무는 이야기, 벽 바깥으로 나가기 위한 사람의 이야기라면,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는 반대로 벽 안의 이야기라고 비유할 수도 있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063 [일반] 자영업자 이야기 - 직원 뽑기에 실패하였습니다. [46] Croove12306 23/06/26 12306 21
99062 [일반] 그래서 등산용 스틱 어떻게 쓰는거래요? [26] 캬라8117 23/06/26 8117 12
99061 [일반] RTX 4060 3D마크 벤치마크 유출, RTX 3060 12GB보다 평균 23% 우위 [9] SAS Tony Parker 7295 23/06/26 7295 1
99060 [일반] [서베이] 정시와 수시 중에 무엇이 더 공평할까? [141] youknow0412756 23/06/26 12756 14
99059 [일반] 사람 인연이란게 참 어렵습니다 [22] 비니루다8947 23/06/26 8947 5
99058 [일반] 집 나간 적 없는 꿈을 찾습니다 下편 (내가 찾은 꿈의 결론은? 또태지) [2] 두괴즐6726 23/06/25 6726 6
99057 [일반] 네덜란드와 일본이 조만간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통제를 시작합니다. [39] dbq12313437 23/06/25 13437 9
99056 [일반] [웹소설] 이번 지상최대공모전에서 주목할 만한 신작들 [21] meson9858 23/06/25 9858 6
99055 [정치] 티베트 망명정부의 입장이 나왔네요 [101] 아이스베어14340 23/06/25 14340 0
99054 [일반] 바그너 쿠데타 사태 - 결국엔 정치싸움. [127] 캬라16992 23/06/25 16992 18
99053 [일반] "본인의 단점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21] 회색사과9278 23/06/25 9278 8
99052 [일반] [속보] 프리고진 "유혈사태 피하고자 병력 철수 지시" [66] 강가딘14380 23/06/25 14380 0
99051 [일반] [팝송] 조나스 브라더스 새 앨범 "The Album" 김치찌개5117 23/06/25 5117 1
99050 [일반] [개똥글] 이성계와 가별초 [17] TAEYEON8305 23/06/24 8305 27
99049 [일반] 바그너그룹에서 발표한 공식 입장문(BBC 피셜) [113] 김유라29746 23/06/24 29746 13
99047 [일반] 러시아에서 쿠데타가 일어났다고 합니다. [20] TAEYEON14836 23/06/24 14836 2
99046 [정치] 몇 십년도 지난 일을 가지고 부각하는게 국익에 도움이 됩니까? [115] dbq12317968 23/06/24 17968 0
99045 [일반] 여러분은 '성찰'하고 계신가요? [20] 마스터충달7522 23/06/24 7522 11
99044 [일반] [잡담] 참을 수 없는 어그로...그 이름 황우석 [33] 언뜻 유재석9466 23/06/23 9466 19
99043 [일반] 초대교회는 어떻게 성장했는가?(부제: 복음과 율법의 차이) [17] 뜨거운눈물6432 23/06/23 6432 4
99042 [일반] 소곱창 집에서 화상을 입어서 치료비 배상 청구를 했습니다. [12] 광개토태왕12278 23/06/23 12278 6
99041 [일반]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약스포) 최악의 스파이더맨 영화 [25] roqur7480 23/06/23 7480 3
99040 [일반] 집 나간 적 없는 꿈을 찾습니다 上편 (꿈 찾는 에세이) [2] 두괴즐5627 23/06/23 5627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