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6/01 03:55:18
Name 꽃차
File #1 국가별_gdp.png (237.3 KB), Download : 325
File #2 행복지수.jpg (698.4 KB), Download : 302
Link #1 https://www.visualcapitalist.com/worlds-happiest-countries-2023/
Subject [일반] 한국을 역전할 나라는?(gdp ,행복지수)




조선시대 이전에는 세계에서 어느정도 티어인지 모르겠으나
현대 사회의 대한민국은 식민지 독립, 전쟁으로 세계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선진국까지 무섭게 치고 올라갔습니다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도 있겠죠? 저성장 국가가 된 한국의 미래를 요즘 다들 부정적으로 봅니다
출생률, 자살률, 청년 인구비율, 행복지수 등을 보면 그런 추측도 무리가 아닙니다
그럼 한국이 내려가면 누가 올라오려나 궁금해서 국가별 gdp 찾아봤습니다. 왼쪽이 총, 오른쪽이 1인당 입니다
그런데 국제정치를 잘 모르다보니 미래가 괜찮은 나라가 어디인지 모르겠군요
국제 뉴스를 보통 안좋은 소식으로 접하다보니 문제 있는 나라가 많군요.
남이 나보다 더 불행하다고 내가 덜 불행한게 아니긴한데
어쩌면 선진국 막차라는 한국의 클라스가 꽤 두터워서 역전은 안당하고 그냥 같이 바닥으로 내려갈지도 모르겠군요(동지여ㅠ)
어쩌면 2차 대전 후 세계 경제의 가장 화려하고 몰락한 지표를 보여주는 것이 한국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그 나라가 살만한가를 알 수 있는 자료 하나 꼽으라면 gdp를 가장 신뢰하고
행복지수는 별로 믿지않는데 뭔가 상징적이라 뽑아봤습니다
행복지수는 대륙별로 비슷한데 1티어-북미,유럽  2티어-동아시아,남미  3티어-중동,아프리카 네요
*자료 출처-나무위키, imf, worldhappiness.report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샤한샤
23/06/01 09:23
수정 아이콘
앞으로 더 더워질건데 이미 더운나라들은 한계가 명확하다고 보고
폴란드 정도가 올라올라나... 흠
근데 폴란드는 서유럽으로 인적자원 빨리는게 너무 심해서 또 안될거같고
진짜 한국 망한다 망한다 해도 저중에 누가 한국 역전할지 꼽자니 잘 안보이긴 하네요
보리야밥먹자
23/06/01 09:54
수정 아이콘
나이지리아 총 GDP 순위가 미쳤네요 어느새 아프리카 대륙 압도적 1위 크크크
23/06/01 11:18
수정 아이콘
나이지리아 인구가 미친 듯이 증가하고 있어서 진정한 물량빨이죠 흐흐
국수말은나라
23/06/01 09:58
수정 아이콘
일본의 유사 대체국 한국
한국의 유사 대체국 대만

어차피 돌고돌아 마땅히 위협될 나라가 없긴 하네요
라방백
23/06/01 10:58
수정 아이콘
국가들도 양극화가 심해져서 괜히 선진국 막차소리 듣는게 아니죠. 신흥국가중에 인구말고 군사력 경제력으로 한국 따라올 나라는 없을것 같구요. 영향력도 신 중동연합같은게 생기지 않는이상 역전당할 나라가 없을듯요..
23/06/01 11:08
수정 아이콘
국가별 명목 GDP 자체야 인도네시아, 멕시코, 터키 같은 인구 많은 국가들이 넘어설 수 있을거 같은데, 선진국이 될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네요. 이쪽은 폴란드나 헝가리 같은 구 동구권 국가들이 가능성 있을거 같긴해요. 동남아는 말레이시아가 중진국 함정을 넘을 수 있을만한 국가라고 얘기하던거 같던데 이 쪽은 잘 몰라서...
앙겔루스 노부스
23/06/04 02:08
수정 아이콘
터키는 좀 힘들어요. 인구가 많대봐야, 8천5백만이라 압도적인것도 아닌데, 달러로 표시되는 명목 지디피로 비교하려면 리라의 극심한 평가절하를 어떻게 하지 않고는 안되는지라. PPP로는 이미 넘었기 때문에 논외구요. 멕시코는 금세기초에 한국과 일시적으로 어금버금 했지만, 그 뒤로 중진국 함정에 제대로 빠져서 거의 20년쨰 1인당 소득이 달러표시로 제자립니다. 한국을 넘을 나라는 당분간 인도네시아 밖에 없죠.
꿈트리
23/06/01 11:19
수정 아이콘
이민 받으면서 살면 계속 가긴 할겁니다.
유목민
23/06/01 11:23
수정 아이콘
뭐 다 필요 없고..
우리나라를 추월할 가능성이 있는 나라 중에서
싱가폴류의 도시국가 제외하고
우리나라보다 교육수준(고졸 기준) 높은 나라가 몇이나 될까요?
실질 문맹율이 우리보다 낮은 나라가 몇이나 될까요?

앞으로도 적지않은 기간 우리가 선진국 수문장 노릇은 충분히 하지 싶네요.
국수말은나라
23/06/01 11:23
수정 아이콘
한국이 강한 이유는 남이 넘보기 힘든 제조산업을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

반도체 가전 건설 자동차 핸드폰 조선 방산 철강 통신 등 중국이나 대만 아니고서는 당장 추월당할 이유가 없는 산업들이죠

유럽처럼 쌓인 시간이 오래된 금융 관광 첨단산업 패션은 우리와 차별이 되서 겹치는 항목들이 아니고 서비스업은 솔직히 뒤쳐지지만 내수화가 끝나서 외침받긴 어렵고(이마트 네이버 쿠팡 카카오 등) 오히려 요즘엔 케이컬쳐로 해외진출이 활발해져서 케이뷰티 케이컬쳐 케이메디컬 등은 성장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에 당분간은 역전되긴 어려울겁니다

오히려 유일한 장점이자 단점인 언어 문제로 인구 감소시 추가 유입 가능한 인구풀에 한계가 오는거 빼면요
삼디업종 대체 가능 여부가 미래 성장의 장벽일듯
카바라스
23/06/01 13:49
수정 아이콘
사실 한국은 여기서 더 오를 여지도있긴하죠. 인구구조는 작살나가고있지만 평균수명도 그만큼 상승해서..
안초비
23/06/01 15:06
수정 아이콘
죽겠다 망한다 헬조센이다 하지만 막상 급격한 순위역전이 일어날 거 같냐고 하면 또 물음표가 붙는 게 현실이긴 합니다.
멍멍이개
23/06/01 15:29
수정 아이콘
한국은 세계에서 탑순위로 살기좋고 편하고 부족한 게 없는 나라입니다
분노, 열등감, 오기 등등 만족을 못하는 문화가 만든 열매긴 하지만 정작 만족하고 대충 적당히 살려고만 하면 전세계에서 일본 말고 이렇게 좋은 나라가 없습니다.(어떤 면에서는 일본보다 나은 점도 상당하고요)결과적으로 다들 적당히 만족하며 살려고 아무도 애를 안 낳는 나라가 되었지만... 다들 슬슬 만족하는 분위기로 이동하는 것 같네요.
-안군-
23/06/01 16:08
수정 아이콘
호주나 스페인 정도라면 충분히 역전할 만 히죠. 우리나라의 삼성 같은 기업이 나와주기만 하면요.
인도네시아나 말레이시아도 정치적으로 뭔가 잘 풀어가면 중진국 트랩을 뛰어넘는 게 가능해 보이고요.

사실 우리나라가 1만불 언저리에서 이렇게 약진을 한 건 중국의 급성장 덕이 큽니다.
만약 중국의 잠재적 문제들이 한번에 폭발해버리고 나락으로 가버린다면, 우리나라도 같이 꼬꾸라질 가능성이 높아요.
스카리 빌파
23/06/02 06:45
수정 아이콘
역전은 가능할 듯 하긴한데, 호주에서 삼성같은 회사가 나올 수 있을런지는 모르겠네요. 호주가 앞으로 가서가 아니라 한국이 뒤로 가서 역전될 거 같습니다.
엘든링
23/06/01 16:13
수정 아이콘
잠재성장률 고려하면 한국의 인당 GDP는 대충 4만불 언저리가 피크일겁니다. 인구 2억 1인당 GDP 1만불 혹은 인구 1억에 1인당 GDP 2만불이면 따인다 이렇게 접근하면 후보군들이 대충 좁혀지죠. 인도네시아, 터키, 멕시코 등
23/06/03 08:18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는 모르겠지만 인도네시아에겐 언젠가 GDP로 확실히 질 거 같습니다. 물론 인도네시아가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산재한 위기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이야기가 다르겠지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063 [일반] 자영업자 이야기 - 직원 뽑기에 실패하였습니다. [46] Croove12306 23/06/26 12306 21
99062 [일반] 그래서 등산용 스틱 어떻게 쓰는거래요? [26] 캬라8117 23/06/26 8117 12
99061 [일반] RTX 4060 3D마크 벤치마크 유출, RTX 3060 12GB보다 평균 23% 우위 [9] SAS Tony Parker 7295 23/06/26 7295 1
99060 [일반] [서베이] 정시와 수시 중에 무엇이 더 공평할까? [141] youknow0412755 23/06/26 12755 14
99059 [일반] 사람 인연이란게 참 어렵습니다 [22] 비니루다8947 23/06/26 8947 5
99058 [일반] 집 나간 적 없는 꿈을 찾습니다 下편 (내가 찾은 꿈의 결론은? 또태지) [2] 두괴즐6725 23/06/25 6725 6
99057 [일반] 네덜란드와 일본이 조만간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통제를 시작합니다. [39] dbq12313436 23/06/25 13436 9
99056 [일반] [웹소설] 이번 지상최대공모전에서 주목할 만한 신작들 [21] meson9858 23/06/25 9858 6
99055 [정치] 티베트 망명정부의 입장이 나왔네요 [101] 아이스베어14339 23/06/25 14339 0
99054 [일반] 바그너 쿠데타 사태 - 결국엔 정치싸움. [127] 캬라16991 23/06/25 16991 18
99053 [일반] "본인의 단점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21] 회색사과9278 23/06/25 9278 8
99052 [일반] [속보] 프리고진 "유혈사태 피하고자 병력 철수 지시" [66] 강가딘14379 23/06/25 14379 0
99051 [일반] [팝송] 조나스 브라더스 새 앨범 "The Album" 김치찌개5117 23/06/25 5117 1
99050 [일반] [개똥글] 이성계와 가별초 [17] TAEYEON8305 23/06/24 8305 27
99049 [일반] 바그너그룹에서 발표한 공식 입장문(BBC 피셜) [113] 김유라29746 23/06/24 29746 13
99047 [일반] 러시아에서 쿠데타가 일어났다고 합니다. [20] TAEYEON14836 23/06/24 14836 2
99046 [정치] 몇 십년도 지난 일을 가지고 부각하는게 국익에 도움이 됩니까? [115] dbq12317968 23/06/24 17968 0
99045 [일반] 여러분은 '성찰'하고 계신가요? [20] 마스터충달7522 23/06/24 7522 11
99044 [일반] [잡담] 참을 수 없는 어그로...그 이름 황우석 [33] 언뜻 유재석9465 23/06/23 9465 19
99043 [일반] 초대교회는 어떻게 성장했는가?(부제: 복음과 율법의 차이) [17] 뜨거운눈물6431 23/06/23 6431 4
99042 [일반] 소곱창 집에서 화상을 입어서 치료비 배상 청구를 했습니다. [12] 광개토태왕12278 23/06/23 12278 6
99041 [일반]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약스포) 최악의 스파이더맨 영화 [25] roqur7480 23/06/23 7480 3
99040 [일반] 집 나간 적 없는 꿈을 찾습니다 上편 (꿈 찾는 에세이) [2] 두괴즐5626 23/06/23 5626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