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5/08 17:23:03
Name 톤업선크림
Link #1 https://www.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305042124025
Subject [정치] "정말 안전할까?" - 용산어린이정원 오염 문제에 대한 대통령실-민주당 공방
image
image

지난 5/4, '용산어린이정원'이 개방되었습니다.
120년 동안 민간에 개방되지 않던 용산 주한미군기지 부지 약 243만㎡(약 74만평) 중 2022년 58.4만㎡(약 18만평) 부지를 반환받앗고, 그중 장군숙소 구역, 야구장 부지, 스포츠필드에 해당하는 30만㎡(약 9만평)을 개방한 것입니다. 이에 특별한 공간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지만, 야미군 주둔 당시 오염된 토지로 인한 안전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어 논란이 예상됩니다.

민주당 주장
- 2021년 한국환경공단-미군 합동 수행 '환경조사 및 위해성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용산어린이정원 부지에 해당하는 스포츠필드에선 토양 1㎏당 석유계 총탄화수소(TPH)가 1만8040㎎ 검출돼 기준치의 36배를 넘겼고, 장군숙소 구역에서도 TPH와 아연이 각각 기준치의 29.3배, 17.8배 검출됐고, 야구장 부지에서도 TPH 8.8배, 비소 9.3배가 검출되었음.
- 위와 같은 사유로 윤석열 정부는 2022년 미군기지 반환부지 일부를 개방하면서도 ‘주 3회, 하루 2시간 이용’으로 제한했었음.

https://www.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305042124025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50415460710395
image

정부 주장
- 작년 9월, 11월, 그리고 올해 3월 실외 6곳과 실내 5곳에서 각각 오염 물질 12종과 13종을 조사하였고 이상 없음을 확인했음.
- 깨끗한 흙을 15cm 이상 덮어 기존 토양과 격리, 잔디를 심어 토양 유실 차단 등 환경안전성 강화

https://www.yna.co.kr/view/AKR20230507045900003?input=1195m
https://www.chosun.com/national/transport-environment/2023/05/07/XA2SJMDDYJDTLA2LFBHFJA5VJY/?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image

위와 같이 서로 주장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2021년 실시한 조사에서는 위해성 물질이 발견되었는데, 작년과 올해 실시한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면 조사가 문제였는지 아니면 그사이 물질이 사라진건지 궁금하네요. 대상이 성인도 아니고 어린이인만큼 부모 입장에선 아무리 문제 없다고 해도 데리고 가기 꺼려지지 않을지...관련하여 정부에서 모니터링을 3차례나 실시하였다면 관련 자료도 상세히 공개해서 의문점을 불식시켜줬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3/05/08 17:28
수정 아이콘
21년은 토양이야기이고 정부주장은 대기이야기를 하는데...흠
jjohny=쿠마
23/05/08 17:29
수정 아이콘
음... 흙 15cm래봐야 한뼘도 안되는데...

지금이야 괜찮다고 쳐도 시간이 지날수록 오염물질/성분이 흙에서 새어나오지는 않을까 궁금하긴 하네요.

정화작업을 하고 흙을 덮은 걸까요, 아니면 흙만 덮은 걸까요? 본문 기사만 봐서는 [정화 작업이 필요한 땅에 (정화 작업 스킵하고) 흙만 덮은 것]은 아닐까 싶은데요.
23/05/08 20: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흙만 덮었을거에요

정확히는 흙 덮고 식재 한거네요
다람쥐룰루
23/05/08 17:30
수정 아이콘
오염된 흙 위에 깨끗한 흙을 15cm이상 덮어서 이제 안전하다고 하는군요
아마 오염물질도 그 15cm 덮은 흙 덕분에 정상으로 나온게 아닐까 싶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3/05/08 17:38
수정 아이콘
쓰래기 매립할때 복토 기준이 일일복토가 그정도긴한데...그 뒤에 더 두껍게 한번 더 덮고 최종적으로 마지막에도 두껍게 덮는단말이죠...
리얼월드
23/05/08 17:32
수정 아이콘
안전하지 않다 라는 쪽은 21년 토양 자료
안전하다 라는 쪽은 22~23년 대기자료니깐
서로 합동조사단 만들어서 결론을 합의를 봤으면..
노둣돌
23/05/09 10:51
수정 아이콘
합동조사단은 보고서로 인해 본인들이 검찰 압색을 받지 않도록 결론을 낼 겁니다.
바람돌돌이
23/05/08 17:33
수정 아이콘
제토 안하는 이상 문제가 해결되진 않을테구요. 다만 의문이 미군이 있을때 저 지역에서 미군장교 가족이 살고있던 곳일텐데 환경적으로 큰 문제가 있을까요? 기준이 너무 엄격하다던지 그런건 아닌지 궁금하네요
노둣돌
23/05/09 10:5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군대도 마찬가지입니다.
난방유 실수로 혼유하면 빼내서 땅에 묻고 말죠.
일단 실수한 본인이 면피하려는 심리가 크죠.
단비아빠
23/05/08 17:40
수정 아이콘
오염물질이 딱히 중력을 거슬러 올라와 뿜뿜할 것 같지는 않고.. 딱히 저 땅에서 자라난 뭔가를 먹지도 않을테니.. 무난하지 않을까요?
이런걸 문제 삼으려면 상암동 하늘공원 같은 곳도 마찬가지라... 쓰레기 매립지였던 그곳의 오염 정도가 용산보다 못할 것 같진 않네요.
계층방정
23/05/08 17:44
수정 아이콘
츠라빈스카야
23/05/08 18:00
수정 아이콘
비가 와서 땅이 젖으면 확산으로 배어나올 가능성은 있겠죠. 오염물질이 유의미하게 있다면..
빼사스
23/05/08 18:11
수정 아이콘
상암동 하늘공원 가보시면 늪지쪽에 올라오는 가스가 좀 보이긴 합니다... 이게 그 가스인진 명확하지 않지만 보기 좋아 보이진 않더군요.
유료도로당
23/05/08 19:55
수정 아이콘
난지도는 93년에 폐쇄하고 2002년에 월드컵공원 개장했으니 그래도 기간이 꽤 있었고 여기는 너무 바로라서..

최소 몇년이라도 토지안정화작업을 하고 정권 말미쯤에 성대하게 오픈해도 괜찮을것같은데 너무 빨리 오픈해서 걱정이 있는듯합니다.
레드빠돌이
23/05/08 17:40
수정 아이콘
장군 숙소 단지였다는게 안전마크아닌가...크크
체크카드
23/05/08 19:26
수정 아이콘
숙소단지였는데 오염물질이 측정된겁니다...
23/05/08 17: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난주에 갈까 이야기가 좀 나오고 있는데, 찬물뿌리긴 그랬지만 어쨌거나 좀 그래서 이야기를 해봤었는데

정말로 문제가 없다 생각이 되면, 검사결과를 공개적으로 까면 됩니다. 근데 정보공개조차 제대로 안하려고 드는데 여적 해온 일을 보건데 이게 괜찮나 생각이 안들수가 없죠.

시점으로 보면 정치적으로 이전 정부도 포함이기 때문에 같이 보긴 해야 하는데, 여튼 이제 국토부 수장도 바꼈잖아...(?)

2020년 12월, 사우스포스트의 스포츠필드와 소프트볼장을 처음 반환받고 나서 약 5개월 뒤인 2021년 5월, 국토부는 <용산 부분반환부지 활용을 위한 토양안전성 분석 및 예방조치 방안 수립 용역>이라는 이름의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그러나 국토부는 '위해성이 없다'고 말하면서도 이 보고서 내용은 일절 공개하지 않고 있다. 2021년 5월 실시된 스포츠필드 등에 대한 토양안전성 조사 최종 보고서를 공개해달라는 뉴스타파의 정보공개청구(2021년 12월)에 [국토부는 비공개 결정을 내렸다. '국가 안전보장·국방·통일·외교관계 등에 관한 사항으로서 공개될 경우 국가의 중대한 이익을 현저히 해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정보'라는 이유를 들었다]
'이 자료는 국익을 해치는 정보가 아닌 시민의 건강권과 안전에 직결되는 사안'이라는 뉴스타파의 이의신청(2022년 1월)에도 국토부는 '기각' 결정을 내렸다. 뉴스타파는 이후 서울행정법원에 국토부의 정보공개거부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문정부 -> 윤정부]
소송 제기 이후 약 10개월 만에 나온 판결에서, 재판부는 뉴스타파의 손을 들어줬다. 지난해 12월, 서울행정법원은 "국토부의 정보공개 거부 처분을 취소한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국토부는 지난달 19일(2022. 12. 19로 추정), 법원에 항소장을 제출했다. 국토부는 항소장에서 "법원이 선고한 판결에 전부 불복한다"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소 이유를 묻는 뉴스타파와 통화에서 "항소 사유는 그동안 국토부가 했던 주장과 같다. 외교상의 이유"라고 답했다.

[이전 정부에서부터 현 정부까지 대통령도 바뀌어, 국토부수장이 바뀌어도 안돼. 해줄수 없어 돌아가. 외치는거 보고 있으면 뭐랄까 굉장히 기분이 묘하긴 합니다.]
마카롱
23/05/08 18:01
수정 아이콘
산재 사망자 기업 명단 공개 또한 계속 해왔다고 하던데 이번 정부에서만 공개 거부를 하는 것도 참 묘하죠.
23/05/08 18:02
수정 아이콘
뭐 그정도야 패시브라고 치겠는데, 앞에서 뭔가 한거 엎기로 유명하신 분들께서 유지를 하며 이어가는거 보면 신기할 따름..
후랄라랄
23/05/08 17:47
수정 아이콘
서로 불신하는 에너지 낭비 입니다
23/05/08 17:51
수정 아이콘
용산부지 오염토양에 대한 정화작업을 했다는 기사를 본 적도 없고
정화작업을 하려면 몇 년이 걸린다는 기사를 어디선가 본 것 같고
정화작업을 제대로 했다면 도리어 정부가 나서서 광고를 했을 것 같은 상황이라
정부가 정화작업을 제대로 하지 않고 흙만 덮었다에 한 표입니다.
23/05/08 17:55
수정 아이콘
3번째줄은 크흠... 하긴 .... 납득이
닉네임을바꾸다
23/05/08 18:06
수정 아이콘
사실 그냥 덮더라도 한 60cm이상 넉넉히 1m이상으로 파묻으면 될겁...
매립지들 녹지조성할때 이정도 복토하니까요...
23/05/09 00:06
수정 아이콘
흙만 덮은게 맞습니다.
대장햄토리
23/05/08 18: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음..
본문 자료를 자세히 보니 21년은 "토양" 오염이고
정부 자료는 "대기" 환경 모니터링이긴하네요..크

매불쇼에서 신장식 변호사가 이야기 하는거 들어보니..
재래식 화장실에 똥이 들어있는데 뚜껑 덮어놓고 냄새 덜 나면 안에 똥이 없어지는거냐?
손배 청구를 미국에 해야되는데 그러면 여기가 더럽다는 소리인데..
국민들한테 깨끗하다고 개방 했으니 딜레마다..
이걸 왜 이렇게 급하게 하냐 도대체 정원 마려운 사람이 누구냐..
또 공원법상 문제가 되니 정원이라고 하는거 아니냐? 라고 하네요..
23/05/08 18:02
수정 아이콘
https://www.ytn.co.kr/_ln/0101_202203231139195070
이미 작년에 예견된 상황이고 결국 대통령실 이전의 부작용중 하나입니다
23/05/08 18:13
수정 아이콘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792
이 기사에 좀 더 자세한 오염내용과 정부관계자 반응이 있네요
장승권 국토교통부 공원정책과 사무관은 “(9월부터 시작되는) 임시 개방은 미군 부지가 부분 반환되면 될수록 개방 지역을 늘려갈 것이다. 언젠가는 전체가 다 개방될 것이고, 그때는 분명히 오염 정화를 정식으로 한다. 그전까지는 개방을 위해서 이대로 놔둘 것이다. 다만 (잔디와 시멘트를 덮는 등) 다양한 방법의 저감 조치를 9월 임시 개방 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라네요.
전체 개방이 언제가 될 지 모르겠는데 몇 년간은 임시 개방 상태겠네요.
츠라빈스카야
23/05/08 21: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언젠가는 다 개방될거다" = 내 임기중엔 안할거다
"그때는 오염 정화를 정식으로 한다" = 정식개방 아니니까 지금은 안했다.
합치면 "난 오염 정화 안할거지만 아무튼 개방함."

이렇게 이해가 되는데....

아니 부분개방하면서 제염 안하고 나중에 완전개방하면서 할거라니 이 무슨...그럼 그때 시설 다 다시 갈아엎으라는 건가...?
아 그건 내 임기 아니니까 알빠노 뭐 이런건가요...
우리는 하나의 빛
23/05/08 21:23
수정 아이콘
[언젠가는 전체가 다 개방될 것이고, 그때는 분명히 오염 정화를 정식으로 한다. 그전까지는 개방을 위해서 이대로 놔둘 것이다.]
그냥 덮고 땡이었다는 거군요. 밑에 주욱 읽어보니 그게 뚝딱 하고 되는 게 아닌 모양인데 그 시간동안에 제데로 처리를 했을 리가 없겠죠..
23/05/08 18:31
수정 아이콘
최소값이 15cm인건 좀 부족해보이긴 하네요. 어린이 공원인데...
호야만세
23/05/08 18:37
수정 아이콘
일단 저는 제아이를 데리고 갈일은 없을것 같네요
서지훈'카리스
23/05/08 18:40
수정 아이콘
검사해서 문제있었으면 흙 더 덮었을텐데 비용이 엄청 드는 것고 아니고요
이것을 정부가 거짓말 하고 오픈하는 리스크 대비 얻는 이득은 없지 않나요? 굳이?
아이군
23/05/08 19:34
수정 아이콘
이게 결정될 때가 한창 청와대 이전이 핫하던 때라서....

당시 윤석열의 플랜이었습니다.
서지훈'카리스
23/05/09 09:48
수정 아이콘
흙 더 덮고 오염물질 정화하면 되는건데요
비용이 엄청 들지도 않아요
동년배
23/05/08 18:45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토양정화는 안하고 당장은 덮어서 해결했다는건데 그 덮은게 15cm 라는거군요.
영혼의 귀천
23/05/08 19:06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공사에서 저런식으로 정화하는 건 진짜 택도 없을 텐데... 관 공사도 저렇게 처리하면 지자체에서 난리칠거에요.
환경미화
23/05/08 19:13
수정 아이콘
그럼 공원이라 해봐
TWICE NC
23/05/08 19:27
수정 아이콘
중금속 함유량 초과로 인해 공원으로 지정을 못해서 정원이라고 한거구나...
저 곳이 공원으로 이름 명명되기 전까지는 가서는 안되겠네요
톤업선크림
23/05/08 19:46
수정 아이콘
아!!! 그런 기준이 있나요?!
TWICE NC
23/05/08 20:11
수정 아이콘
본문에 1지역 공원의 중금속 기준의 몇배라는 것이 있는것으로 보아 공원의 중금속 기준치가 정해져 있어 보입니다
내년엔아마독수리
23/05/08 20:55
수정 아이콘
순천만 국가정원이 중금속 기준치를 넘을 거 같지는 않은데...
닉네임을바꾸다
23/05/08 21: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그냥 다른 법일수도 있습...크크
도시공원을 규율하는거와 그런 국가정원이나 자연공원을 규율하는게...
용산어린이정원 홈페이지 들어가서 설명을 보니 공원으로 오픈할게 목표일거같긴한데...
츠라빈스카야
23/05/08 21:21
수정 아이콘
본문상 토양환경보전법이라고 해서 찾아보니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3에 대한 내용인 것 같네요.

1. 1지역: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목이 전·답·과수원·목장용지·광천지·대(「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8조제8호가목 중 주거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지만 해당한다)·학교용지·구거(溝渠)·양어장·[공원]·사적지·묘지인 지역과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어린이 놀이시설(실외에 설치된 경우에만 적용한다)]
손꾸랔
23/05/08 22:23
수정 아이콘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놀이기구”란 어린이가 놀이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그네, 미끄럼틀, 공중놀이기구, 회전놀이기구 등으로서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 제2조제9호에 따른 안전인증대상어린이제품을 말한다.
2. “어린이놀이시설”이라 함은 [어린이놀이기구]가 설치된 실내 또는 실외의 놀이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놀이기구는 가급적 설치 안하는 방향으로..
23/05/08 20:27
수정 아이콘
보면 볼수록 치졸한 정부네요
23/05/08 23:59
수정 아이콘
그렇지는 않습니다.
마인드머슬커넥션
23/05/08 19:37
수정 아이콘
공원입니까
정원입니까
23/05/08 20:47
수정 아이콘
공중정원으로...
상록일기
23/05/08 20:59
수정 아이콘
7대 불가사의가 서울에!
공방24
23/05/08 21:10
수정 아이콘
저출산 대응으로 인구수 펌핑을...
23/05/09 21:45
수정 아이콘
추천 하나 드립니다 크크
23/05/08 20:00
수정 아이콘
오염토때문에 공원이 될 수 없는 곳을 ’어린이정원‘으로 쓴다는 얘기인가요? 이게 한국어가 맞나…
그나마 비군사적으로 사용되어 오염이 덜한 부지를 어린이정원에 할당했다? 말은 되지만 여전히 저세상 센스인 것 같은데요…
공방24
23/05/08 20:23
수정 아이콘
이게 그 맨날 얘기하던 한국인의 안락사 플랜인가 그건가요...
BbOnG_MaRiNe
23/05/10 09:57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인구 그래프가 개미허리던데 그 허리띠를 또 졸라매는.. 드드
23/05/08 20:23
수정 아이콘
정부에서 급하다보니 위해성 개념으로 복토하고 공원개방을 한거 같네요

저기에서 말하는 기준치 몇배는 최고점이고 그 물질이 사람에게 전달되어서 위해를 일으키는것은 또 다른 문제라 저기 다녀왔다고 해서 갑자기 암이 걸리거나 하지는 않습니다만

오염원을 제거하지 않았음에도 굳이 어린이.. 공원으로 만드는 센스는 이해하기 어렵네요...
소독용 에탄올
23/05/08 21:59
수정 아이콘
인과가 반대죠.
급한 일정대로 어린이 이용시설 있는 공원을 만들려다 보니 오염원을 제거하지 않은 형태라서요....
23/05/08 22:01
수정 아이콘
네 그렇게 급해서 오염제거도 안했는데 굳이 오염에 취약한 어린이 공원으로 만드는게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뜻이였습니다
23/05/08 20:48
수정 아이콘
아빠들 사이트니까 이정도 여론이지 엄마들 사이트에선 '절대 안 가요' 투성이겠네요.
내년엔아마독수리
23/05/08 20:57
수정 아이콘
일단은 저는 안 갑니다
Not0nHerb
23/05/09 09:03
수정 아이콘
아빠들이라고 애매한 곳에 아이를 데려갈리는 없을 것 같아요.
자녀가 있는 부모에게 상황 설명하고 물어보면 답은 비슷할 겁니다.
타마노코시
23/05/08 20:55
수정 아이콘
이거 예전에 방사능 토양 오염 측정을 덮기 위해서 깨끗한 흙으로 덮었던 옆 나라가 생각이 나는...
다람쥐룰루
23/05/08 22:49
수정 아이콘
음...방사능쯤 되면 뚫고 나오지 않나요 납을 끼얹으려나요
티아라멘츠
23/05/08 21:00
수정 아이콘
이걸 읽고 어디의 엄마가 괜찮다고 갈지 모르겠습니다;;;
23/05/08 21:17
수정 아이콘
뭐 괜찮다는 분들은 아이들 데리고 가면 될듯..
못 믿는 분들은 안가면 되구요...
23/05/08 21:32
수정 아이콘
그런사안은 아니죠 토양정화 법을 집행하는 행정부에서 대충 흙 15cm 덮고 심지어 어린이 공원으로 개방한건데요

민간에서 오염 발견되면 바로 지자체에서 정화명령때리고 기간내에 정화안하면 고발조치 됩니다 저런 허접한 위해성 조치는 고사하고 자연기원 오염물도 다 정화하라고 민간 위해성은 받아주지도 않습니다

한마디로 나쁜놈들이에요
다람쥐룰루
23/05/08 22:52
수정 아이콘
조만간 환경단체가 가서 땅파고 시료 채취해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바탕 싸우지 않을까 싶은데요
호러아니
23/05/09 12:53
수정 아이콘
???: 좌팝니다
하루일기
23/05/08 21:21
수정 아이콘
미군애들이 하도 주둔지 개판으로 쓰긴 하지만 저긴 진짜 4성장군 숙소도 있었던 곳이고 애들 학교도 저기에 다 있었는데 저렇게 오염 심한게 신기하네요; 저쪽엔 진짜 주거생활 용도로만 쓰고 군사용은 거의 없었던 거 같은데..
23/05/08 21: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보통 저런위치에는 난방용 기름이 새서 오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토양에 따라 다르지만 엄청 심각한 오염이 발생하지는 않고 제가 가봤던 곳은 미군이 철수할때 어느정도의 오염토는 긁어 가더군요

보고서나 오염지도를 안봐서 모르겠지만 말씀하신 지역은 최고농도가 높은것이지 오염이 심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츠라빈스카야
23/05/08 21:46
수정 아이콘
전체가 다 저정도는 아닐거라고 저도 생각은 합니다만, 저런 측정의 경우 측정지점 전체 평균값이 어떤지는 중요하지 않고, 단 한 곳이라도 기준을 넘어서는 안되는게 문제죠.
물론 피크치만 내세워서 오염에 대한 과한 공포감을 조성하는 쪽도 마냥 좋은건 아니지만요.
23/05/08 21:54
수정 아이콘
토양오염이란게 다른 매체 오염과 다른 특수성이 있다보니.. 피크치를 가지고 말을 할 수 밖에 없긴 합니다..

저곳은 수십년 전부터 사용한 곳이고 토양오염은 발생하면 일정수준 이상은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십년 이십년 전에 누가 어이쿠 흘렷네 한게 지금 나왔을 수도 있습니다.. 기름을 쓰는 거주지에서 토양오염이 발생하지 않을수는 없습니다

제일 좋은것은 정확한 위해성 평가인데 이게 귀에걸면.. 코에걸면 수준이다 보니.. 어려워요
손꾸랔
23/05/08 22:20
수정 아이콘
환경부지침에도 이런 대목이 있네요. "시료채취위치는 자료조사, 현장조사 등을 통하여 지형, 풍향, 지하수유동 및 상·하류 등을 고려하여 토양오염의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으로 한다."
작은대바구니만두
23/05/08 21:25
수정 아이콘
미군은 대체 뭔 생각이었을까요 지들이 살던 곳인데
23/05/08 21:35
수정 아이콘
저희끼리 우스개 소리로는 미군은 잘했는데 시공을 한국인이 해서 그렇다고....
손꾸랔
23/05/08 21:56
수정 아이콘
장기간 빌려준 토지를 땅주인이 반환받게 됐으니 오염도 측정을 한거지, 평소 사용할 때는 땅이 오염됐는지에 별 관심이 없는게 인지상정이죠.
게다가 미군 개개인이 한국에 오래 복무하는 것도 아니고 하니 별 신경 안 쓸 겁니다.
미국 정부 차원에서 해외기지의 토양오염도를 정기적으로 평가한다는 매뉴얼 같은게 없는 이상에는
23/05/09 00:09
수정 아이콘
사실 기름 보일러를 수십년간 사용한 곳에서 기름유출이 없을 수는 없습니다.

배관이 부식되어 꺽이는 부분등에서 누출되거나, 급유 중에, 철거중에 등등 크고 작은 유류오염사고는 우리 주변에 많습니다.
작은대바구니만두
23/05/09 00:16
수정 아이콘
정상적인 활동에서 발생했던 누출이라는 말씀이군요. 의도적 방류 정도를 생각했는데(과거에 그런 류의 괴담이나 선동같은걸 접한 적이 있네요) 그런 관점에서 보면 납득이 되네요.
손꾸랔
23/05/08 21:46
수정 아이콘
흙 15cm란게 꽉꽉 다진 상태로 잰건지 부슬부슬 뿌려놓은 상태로 잰건지...
23/05/08 22:02
수정 아이콘
정부 주장대로 벤젠, 비소, 납, 수은 등이 기준치보다 높게 나온 토양은 15cm 아래에 묻어놨고 대기 환경 모니터링 결과는 정상인게 팩트니까, 야당의 선동에 속지 않는 분들은 안심하고 방문하시면 됩니다.
모지후
23/05/08 22:36
수정 아이콘
제 조카랑은 가지 않을 것 같네요...
23/05/08 23:15
수정 아이콘
흙 15cm가 진짜 의미가 있는 두께인지 잘 모르겠네요.
100m2를 15cm로 성토한다고 한다면 25톤 덤프 한 대 분량이면 가능한 면적이라고 나오네요...
23/05/09 00:14
수정 아이콘
흙 15cm 보다는 그 위에 식재하여 오염토와 사람을 분리한다는 개념입니다.

장기간 오염된 유류오염토는 이미 휘발분은 날아가서 위해성이 낮아진 상태이니 흙이 날리거나 사람이 앉거나 할때 접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식재를 하여 분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유류오염의 특성은 지표에는 오염면적이 극히 작고 그 아래 층으로 갈 수록 강우와 지하수의 움직임으로 면적과 오염량이 크게 늘어납니다. 농도는 줄어들지만..

저 조치가 충분하다는 말은 아니고 조치의 의미는 그렇다는 말입니다.. 쓰다보니 대변인 같아졌네요..
23/05/08 23:17
수정 아이콘
성질상 '불특정 다수에게 개방된 업소'에서의 '특정 집단의 배제'는 그 집단에서의 이탈가능성이 있다면(카공족 출입금지, 주취자 출입금지, 불결한 옷차림을 한 자 출입금지 등)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차별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이탈가능성이 봉쇄되었다면(흑인 출입금지, 장애인 출입금지, 65세 이상 출입금지 등) 개인의 능력으로 극복할 수 없으므로 명백한 차별이죠.

참고로 노키즈존은 중간형태라고 생각. 개인의 능력으로 극복할 수 없지만 시간의 경과로 이탈가능하니..
닉네임을바꾸다
23/05/09 00:21
수정 아이콘
글을 잘못찾아왔음...
톤업선크림
23/05/09 08:14
수정 아이콘
선생님 밑에 글입니...
23/05/09 09:56
수정 아이콘
분명히 아래 글에 댓글달았었는데 댓글이 없어서 댓글쓰기 버튼을 안눌렀나보다 생각했었는데, 여기 달았나보네요
wannaRiot
23/05/09 02:21
수정 아이콘
이것도 지신밢기겠죠?
청와대 개방처럼 악귀와 잡귀를 눌러야 살수 있다는 누군가의 조언이라는데 500원 겁니다.
이렇게 급하게 공원도 아닌 정원이라는 말로 개방할 이유가 뭘까요 크크 웃음만 나오네요. 눈물인가ㅜㅜ
레저렉션
23/05/09 09:22
수정 아이콘
지신밟기라고 하니까 갑자기 이 뉴스가 떠올랐네요. 어린이들을 왜 이런데 노출시켜야 할까요 오염된 토지, 엉뚱한 행사에 어린이가 가야만 할까요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2305080167 [“엄마 이게 서커스야?”...서울시 어린이날 행사서 살풀이 공연 ‘웬 말’]
[초등학생 자녀와 함께 공연을 본 한 시민은(40대·성동구)은 “아이가 서커스를 본다고 신나서 따라왔는데, 이게 서커스냐고 묻는데 할 말이 없더라. 굿판 같은 느낌에 당황했다”며 “전통공연이라고 얼버무리긴 했지만, 행사 취지와 맞지 않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이어 “전통공연을 해야 한다면 민속촌에서 볼 수 있는 흥겨운 외줄타기 등이 서커스 축제에 더 어울렸을 것”이라며 “차라리 마술 공연이라도 했으면 애도 즐겁게 봤을 것”이라고 했다. ]

다시 생각해도 어린이날 행사로 살풀이를 한다는게 이해가 안되네요.. 이걸 이 시기에 꼭 해야만 했을까요?
퀵소희
23/05/09 08:12
수정 아이콘
서울에 갈곳많은대 뭐하는건지. 제 주변인이 저기 간다면 친구까지는 아몰랑이지만, 가족이면 왜? 라고는 하고싶네요
국수말은나라
23/05/09 09:48
수정 아이콘
주한미군도 저 오염에 장군까지 노출되어 있었다는건가요 이건 좀 특이하네요
주한미군의 경우 식솔들까지 같이 살았을텐데 미군들이 보통 까다로운게 아닌데 스스로를 저렇게 노출시켜왔다는게 더 충격이네요
영화 괴물도 생각나고
닉네임을바꾸다
23/05/09 09:51
수정 아이콘
뭐 순환근무니까
국수말은나라
23/05/09 13:50
수정 아이콘
순환근무여도 피폭되는건 매한가지일텐데요 최소 2년 근무인데
23/05/09 13:36
수정 아이콘
남의 땅이니까요
국수말은나라
23/05/09 13:51
수정 아이콘
남의 땅이어도 내가 사는 동안에는 내 집이죠 피폭이 소유권 따라 걸리고 안걸리고 가려주진 않는데
23/05/10 01:49
수정 아이콘
무슨 방사능이나 독극물이 오염된거 처럼 생각하시는거 같네요.

차나 탱크 장갑차들 기름 넣고 정비하고 청소하고 하면서 기름이나 엔진오일 같은것들 새고 땅에 스며들기
유류창고 배관에서도 노후화 되면서 새고 , 옮기다가 사고 나서 유출되고 이런것들이 오래 땅에 쌓이게 되면서
오염되는게 대부분입니다. 캠프 페이지에선 땅을 파보니 기름 통들이 땅속에 짱박혀 있었다 이런 얘기도 있구요.

기지가 돌아갈땐 아스팔트 시멘트 같은걸로 덮여 있고
당장 필요한 만큼의 관리는 하니까 고작 1~2년 주둔하다 돌아갈 사람들에겐 별 문제가 없죠.

그런데 기지가 반환되고 재개발 하려고 건물들 다 해체하고 땅을 뒤집고 나면
오랜시간 땅에 스며들어 생긴 오염들이 다 드러나면서 문제가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국수말은나라
23/05/10 08:43
수정 아이콘
저기가 오염 안됫다는게 아니구요

2년 사는 미군은 아무렇지 않았다면 반나절 놀러가는 시민은 더 아무렇지 않은거 아니냐는겁니다
23/05/10 19:12
수정 아이콘
네, 얘기들 데리고 많이 놀러가세요
국수말은나라
23/05/10 21:14
수정 아이콘
크크크 이거 아님 저거밖에 없는 분이군요 잘 알겠습니다
기적의양
23/05/09 10:56
수정 아이콘
예를 들면 용와대 가차운 용산기지창은 물론 세계 경기와 PF 문제 + 서울시 도시계획 문제 등으로 공전된 탓도 있지만 20여년째 토지정화작업중입니다.
기름이 찌들 것이 눈에 보이는 철도기지창과 군인들이 거주하던 지역을 나란히 비교하기 힘든 면도 있지만 멀찌감치서 철도기지창 토지정화작업이라고 하는걸 조망해보면 덤프트럭들이 계속 들고 나가기도 하고 흙을 파서 뭔가 공정처리를 하기도 하고 이런게 보이거든요.
용산기지는 담장과 철조망으로 막아놓아 감시가 어렵긴 하지만 입출이라던가 작업을 간접적으로 파악할만한 지표도 낮은게 사실일겁니다.
23/05/09 13:56
수정 아이콘
용산 정비창은 정화가 중단되었다가 19년도에 재개된거라 20여년째 정화작업 중이라는 말은 맞지 않습니다..
10년차공시생
23/05/09 11:59
수정 아이콘
수치가 뭐가 중요한가요??
저기가 오염된 곳이어야 하는 사람과
아이들이 뛰노는 깨끗한 곳이어야 하는 사람만 남았는데
톤업선크림
23/05/09 12:34
수정 아이콘
터무니 없는 의혹도 아니고 근거가 있는 의혹이고 국회의원들 저런거 하라고 나라가 돈 주는건데 이정도도 반대하기 위한 반대로 치부해버리시면 우리 사회는 민주주의라고 하는데 대체 무엇을 자유롭게 토론하고 합의할 수 있습니까?
소독용 에탄올
23/05/09 13:41
수정 아이콘
오염된 곳인건 사실이고 이걸 부인하는 사람은 적을겁니다.

복토해서 기준치상 문제 없고 앞으로 정화 작업 하면 된다는 입장하고, 정화작업 쪽이 우선되어야 하는거 아니냐는 입장이 갈리는거죠....
23/05/09 14:00
수정 아이콘
오염된 곳이여야 하는사람은 없습니다. 오염된 곳이라는것에는 니쪽 내쪽 다 이견이 없을 겁니다.

나때는 조금 건강에 좋지 않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냥 공원으로 쓰고, 내 임기 끝나고 난 다음에 정화를 하던지 말던지 알아서 해라

라는 심보가 고약한 것이지요
김재규열사
23/05/09 14:09
수정 아이콘
위대한 최고지도자 동지께서 문제가 없다고 분명히 입장을 밝히셨음에도 아직도 가짜뉴스와 음모론들이 횡행하는군요 에휴
23/05/09 13:33
수정 아이콘
제가 있던 미군부대가 2007년에 반환되고 10년 넘게 환경복원 작업을 하던데요.
그런데 1년만에 복원 작업(?)을 하고 바로 공원으로 개방한다 ?

그리고 저기 지도에는 표시가 안되어 있지만
야구장 바로 뒤 , 장군숙소 부지 옆이 대통령실입니다.

이러니까 의심이 가긴 하는군요

https://www.mediahr.kr/news/article.html?no=205679
국수말은나라
23/05/09 13:54
수정 아이콘
저 땅이 안쓴지는 꽤 되었습니다 복구작업을 한진 1년이어도 군사용도로 안쓴진 10년 가까이 되긴 했죠
용산에 있던 군사전력이나 보급대는 평택 등지로 옮긴건 꽤 오래전 일입니다
23/05/10 01:40
수정 아이콘
저는 제대로 된 환경 조사 밑 복원 작업이 중요하다는 얘기를 드리는겁니다.
군부대의 특성상 대부분 유류가 오랜 시간에 걸쳐서 땅에 쌓여서 생기는 오염인데
그냥 안쓴다고 정화될 성질의 것들이 아니라서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087 [정치] 尹 "지방소멸지역에 스타트업 쉐어하우스 만들라" 지시 [98] 그말싫13818 23/06/28 13818 0
99081 [정치] 국민의 힘 의원 전국시도교육청을 통해 "박원순·손석희 책 있나" 학교에 공문 [31] 빼사스9630 23/06/28 9630 0
99080 [정치] 교육부는 킬러 문항이 없다고 주장해왔고 이에 대한 재판 결과가 나와있었네요 [50] 잉명12691 23/06/28 12691 0
99071 [정치] 총선 목표치를 170석으로 잡은 윤석열&대통령실 [185] 검사8365 23/06/26 8365 0
99024 [정치] 황보승희 음성파일 "니(남편) 능력이 안 돼 남의 돈 받았다" [71] 어강됴리16285 23/06/20 16285 0
99011 [정치] 윤석대씨가 수자원공사 사장이 되었습니다. [48] 검사13436 23/06/19 13436 0
98962 [정치] 4년 전 이동관, 윤통 향해 “도덕성 기본인데 밥 먹듯이 말 바꿔” [50] Taima11108 23/06/12 11108 0
98935 [정치] 이동관 방통위원장 후보 아들 학폭 은폐 논란 [95] Taima16227 23/06/05 16227 0
98924 [정치] 빌리그래함 전도대회 50주년 기념대회 [27] 안산10252 23/06/03 10252 0
98921 [정치] 윤석열이 김명수가 제청한 대법관 임명 거부를 검토한답니다. [86] 홍철15128 23/06/03 15128 0
98891 [정치] 월간조선 “양회동 유서대필 의혹 기사 사실 아냐” 공개 사과 [30] 밥도둑8963 23/05/30 8963 0
98868 [정치] 안철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우리만 막을 필요 없다" [77] 베라히16821 23/05/26 16821 0
98867 [정치] '지역균형발전 특별법' 법사위 통과…교육자유특구 조항은 삭제 [49] 톤업선크림10902 23/05/26 10902 0
98866 [정치] 日 매체 "욱일기 게양한 日 자위대 함정, 부산항 간다" [94] 아롱이다롱이13212 23/05/26 13212 0
98827 [정치] 윤석열 대통령 "'강제징용 가슴 아프다' 말한 기시다, 韓에 큰 반향...용기있는 결단" [28] 베라히12657 23/05/21 12657 0
98806 [정치] 尹 "오월 정신 계승한다면 자유민주 위협 세력과 맞서 싸워야" [86] 덴드로븀13312 23/05/18 13312 0
98795 [정치] 중국 평론가 "윤대통령에 화난 중국 공산당, 손준호 체포는 계산된 인질외교" [31] 강가딘10991 23/05/17 10991 0
98783 [정치] 간호법 거부권 행사 [226] 맥스훼인19175 23/05/16 19175 0
98777 [정치] 16일 트뤼도 총리 방한, 21일 숄츠 총리 방한 [21] 어강됴리10512 23/05/15 10512 0
98750 [정치] 병사 휴대전화 전면 허용 또 연기…6개월 더 시범운용 [37] 톤업선크림11999 23/05/11 11999 0
98752 [정치] 조선일보 1면: 지금 여론조사들은 이상하다. [88] 기찻길7655 23/05/11 7655 0
98741 [정치] 윤석열입니다 국정다큐 2부작 제작 [51] 기찻길14423 23/05/10 14423 0
98734 [정치] 與 "네이버뉴스, '윤석열' 검색하면 비판기사 일색…개혁해야" [71] 톤업선크림15066 23/05/09 1506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