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4/27 20:21:03
Name 톨기스
Subject [일반] 질문 게시판 보고 생각나서 써보는 유럽 신혼여행 (프랑스 - 스위스) part.2

안녕하십니까. 항상 눈팅만 하는 톨기스 입니다.

신혼여행 사진 소개를 드리다 분량 조절 실패로 인한 신혼여행 사진 자랑(?) Part.2 입니다.

저번 글은 링크를 첨부해드리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구경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지난번에 이어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몇일간의 파리 여행을 마무리하고 스위스를 가기 위해 다시 공항으로 갑니다. 저희의 여행 루트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천공항 - 파리 - 스위스 - 파리 - 인천공항

따라서 저희 계획은 스위스 여행이 끝나면 파리로 가서 하루 대기 후 다음날 인천으로 출국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스위스 여행 도중 저번 글의 댓글에 언급한 충격적인 일이 일어나는데...... 그건 이따 쓰기로 하구요.
아무튼 저희는 비행기를 타고 스위스 바젤 공항에 내린 다음 열차를 타고 루체른으로 향했습니다.

IMG-0566
루체른 시내입니다. 숙소 근처에서 찍은 것입니다. 스위스는 파리와는 다른 매력을 보이더군요.

IMG-0561
루체른 호수입니다. 이곳에 오면 유람선을 타보실 수 있습니다. 호수가 루체른 외에 다른 지역까지 연결되어 있어서 관광이나 이동용으로 사용이 됩니다. 저희는 리기산이라는 곳을 올라가려고 이곳에서 유람선을 타고 이동하였습니다. 비츠나우(발음이 맞나 모르겠네요. Vitznau 입니다)에 내리면 리기산으로 올라가는 열차가 있어요. 그러면 산 정상에서 스위스를 감상할 수 있지요. 하지만 그날은 문제가 뭐였냐면...

IMG-0653
바로 그날의 날씨입니다. 스위스는 날이 흐리면 아무것도 못봅니다. 크크크. 산 꼭대기까지 열차를 타고 왔지만 잔뜩 흐린 날씨로 인해 아무것도 못보고 내려와야 했지요.

IMG-0578
그래도 왔으니 케이블카를 타고 내려가 보았습니다. 보시다시피 흐린 날씨로 인해 호수쪽은 잘 보이지도 않네요.

이렇게 아쉬움을 남기고 리기산을 내려왔습니다. 다시 루체른에 와서 사자상이랑 카펠교를 관광하고 루체른의 일정을 종료합니다.

이번에 이동하는 곳은 인터라켄이라는 곳입니다. 저는 몰랐는데 스위스 관광하시는 한국분들에게는 엄청 유명한 곳입니다, 심지어 거기 가면 한국인들을 종종 봅니다. 융프라우요흐라는 알프스 산에 오를 때 이곳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IMG-0594
열차를 타고 인터라켄으로 이동하면서 찍은 사진입니다. 이동하는 날도 보시다시피 날이 흐렸지요.

IMG-0649
인터라켄 내에 있는 작은 강입니다. 인터라켄 도착해서 발 가는 대로 여기저기 가보면서 찍은 사진입니다. 사진으로 잘 못 담았지만 꽤 예쁜 풍경이었습니다.

인터라켄에 도착 후 숙소에 짐을 풀면서 다음날도 리기산 처럼 흐리면 어찌할까 고민하면서 하루를 보냈습니다. 그리고 다음날 아침 융프라우요흐 캠으로 날씨를 확인하는데...
image
이 사진은 오늘 찍은 융프라우요흐 캠 사진입니다. 그날 날씨도 저렇게 맑은 상태를 보이더군요.

캠 화면 보자마자 조식을 후다닥 먹고 융프라우요흐로 향하게 됩니다. 다음에 보실 사진을 보면 아시겠지만 날이 좋으면 무조건 뛰어야 합니다. 이런 날 흔하지 않습니다. 크크크. 가는 길에 다른 한국인들 무리들도 열차역으로 바삐 가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나만 보는게 아니었어... 크크크...

다음 사진부터는 전부 융프라우요흐 사진입니다. 제가 이 글을 쓰는 주 목적입니다.

IMG-0598
IMG-0605
IMG-0607
IMG-0627
IMG-0630
IMG-0615
이곳이 융프라우요흐라는 알프스 산 중 하나 입니다. 높고 거대하고 아름답지요. 아래에 걸친 구름들이 없으면 발 아래로 스위스 땅이 보입니다. 저희가 간 날은 아래는 흐린데 위는 구름이 없는 날이어서 이렇게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곳에 오면 독특한 경험을 두 번 하게 되는데 하나는 고산병입니다. 3000m 가 넘는 위치이기 때문에 급하게 움직이시면 핑 돌면서 쓰러집니다. 이곳에 오시면 가급적 천천히 숨을 크게 쉬시면서 이동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쓰러질 뻔 했어요...
두번째는... 신라면을 팔아요 크크크크... 전망대의 매점에 신라면 컵이 있습니다. 주문하면 물을 부어서 줍니다. 여기에 있는 한국인들은 전부 먹고 가는 것 같아요.
바깥풍경 외에도 내부에 전망대의 역사 및 관광을 위한 장식물들이 있습니다. 날씨가 좋지 못하면 그래도 대안으로 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융프라우요흐를 내려와서 뮈렌이라는 곳으로 이동을 하게 됩니다. 그곳에는 쉴트호른이라는 산이 있는데 007영화의 촬영장소였다네요. 아쉽게도 폰에 남아있는 사진이 없어서 글로만 잠시 남기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스위스 여행도 끝내고 다시 파리로 간 다음 이틀 후 한국으로 귀국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여행으로 융프라우요흐 여행이라는 큰 수확이 있었지요. 다음에 스위스를 또 온다면 또 가보고 싶습니다. 아무튼 별 볼일 없는 글빨인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의 신혼여행도 저만큼이나 즐거웠거나 즐겁기를 바랍니다.

p.s 뮈렌 사진이 없는게 아쉽네요. 쉴트호른으로 올라가는 케이블카를 타려면 열차에서 내려서 마을 안으로 걸어들어가야 있는데 걷는 길이 조용하고 고즈넉하고 낭만있습니다.

p.s 2 겨울철에 쉴트호른으로 올라가면 저기는 자연 스키장이 되어있습니다. 스키를 즐기시는 분들이 중간중간 내려서 스키를 타시더군요. 근데... 좀만 삐끗하면 절벽이던데... 스키도 못타지만 무서워서 못타겠습니다. 크크크...

p.s 3 사실 스위스는 저희에게 꽤 아쉽게 끝난 여행지인데... 뮈렌에서 내려오는 길에 아내에게 한통을 메일이 오게 되는데... 다음날 스위스에서 파리로 가려고 예약한 비행기 티켓의 일정이 뒤로 밀렸다는 메일입니다, 그것도 5일 뒤로... 우리 이틀뒤에 파리에서 비행기 타야 한국 가는데??? 왜 5일이나 뒤로 밀려??? 이런 미친??? 인터라켄으로 복귀하면서 저희는 그야말로 맨붕이 왔습니다. 잠깐 정신을 차리고 얻은 결론은 지금이라도 파리로 돌아가야 한다... 지금 안가면 내일이나 모레에 파리로 갈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 취리히에서 하룻밤 묵을 계획이었는데 싹 다 취소하고 파리로 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았지요. 첫번째는 고속열차를 타고 파리로 가는 방법. 하지만 인터넷에는 표가 남아있지 않았습니다. 취리히 역에 도착해서 매표소에 재 문의를 해도 그날의 표는 없더군요. 그래서 두번쨰로 취리히 공항에 가서 그날 가는 비행기 자리가 남아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습니다. 다시 공항으로 달려서 에어프랑스 창구에 가서 그날 시간과 내일까지 이동하는 비행기 중 빈 자리가 있는지 확인해보니 그 날 저녁에 출발하는 비행기에 자리가 있더군요. 저녁 시간대로 티켓을 바꾸고 겨우겨우 파리로 복귀할 수 있었습니다. 아내는 스위스 꼭 다시 간다고 다짐을 하면서 한국으로 돌아왔더라는... 그리고 에어프랑스를 저주하면서 돌아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완전연소
23/04/27 20:30
수정 아이콘
원래 신행은 좀 아쉬움이 남아야 제 맛이지요.
저도 고시생 신분일때 유럽(로마, 스위스)로 4박 6일짜리 신행을 다녀왔는데, 아쉬움이 너무 많이 남아서 신혼여행 시즌2를 꼭 다시 오자고 하고 올해초 50번째 신행?까지 다녀왔습니다. 흐흐
톨기스
23/04/27 20:33
수정 아이콘
부럽습니다. 흐흐흐. 저는 다시 스위스에 갈 여건이 안되네요. ^^;
23/04/27 21:04
수정 아이콘
전 스위스에 있는 4일동안 비와 구름만 보고 왔습니다 출국하는 날 해뜨더라고요 맑은 융프라우도 보시고 부럽습니다 흑흑
톨기스
23/04/27 21:28
수정 아이콘
저도 리기산은 완전 꽝이었는데요 뭘 ^^ 저 날은 정말 천운이었습니다.
23/04/27 21:15
수정 아이콘
생크림같은 운해가 있는 산 풍경이 정말 멋지네요. 사진으로 보던 푸른 들판과 산과는 다른 느낌이지만 겨울 설산 풍경도 멋집니다!
톨기스
23/04/27 21:32
수정 아이콘
실제로 보면 사진으로는 느낄 수 없는 어떤 울림이 있습니다. 여행 중 우와 하는 곳이 두군데였는데 하나가 몽생미셀이었고 다른 하나가 융흐라우요흐였습니다.
달과별
23/04/28 00:23
수정 아이콘
참고로 코로나 이후 현재는 창구 직원을 더욱 더 줄이고 있고 권한도 줄이는 추세에다 허브공항 제외하면 직접고용도 아니기 때문에
본문과 같은 사태가 터지면 인터넷 공식 홈페이지에서 일정 변경을 하거나 문자, 전화 서비스로 해결하는 것이 낫습니다...
톨기스
23/04/28 08:31
수정 아이콘
어휴... 이제는 해결하기 더 빡세졌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937 [일반] 아이폰14Pro 유저가 15Pro 사서 사용해보고 느낀점 몇가지 [34] 랜슬롯10896 23/10/01 10896 10
99885 [일반] 몇년만에 도전한 마라톤 10km 참석 후기.jpg [29]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8186 23/09/21 8186 13
99834 [일반] 로또 아쉬운 당첨 후기.jpg [34]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1246 23/09/16 11246 20
99806 [일반] 무쓸모 열화상 카메라 구입기 [12] zig-jeff6586 23/09/14 6586 7
99603 [일반] 일본의 MRJ 제트 여객기 개발의 교훈 [26] singularian11628 23/08/26 11628 18
99413 [일반] wf 1000xm5 개봉기 [14] Lord Be Goja7761 23/08/05 7761 0
99387 [일반] 몇년이나 지난 남녀군도(+도리시마) 조행기 [4] 퀘이샤6998 23/08/03 6998 20
99355 [일반] 뜬금없이 코로나에 걸려 고생하다 살아난 후기.txt [17] 랜슬롯8672 23/07/31 8672 6
99348 [일반] [일상] 폭염 특보 속 속초 여행(with 전기차) [27] VictoryFood13226 23/07/30 13226 17
99307 [일반] 나에게 버즈2가 최고의 무선 이어폰인 이유 [42] Zelazny9800 23/07/25 9800 4
99286 [일반] 다시 다가온 모기철, 노하우를 공유해주세요. [41] valewalker7008 23/07/23 7008 2
99265 [일반] 국제 우편 테러 의심 사례 확산 [14] 검사11215 23/07/21 11215 6
99249 [일반] 교사로 일하며 본 특이한 교사들 [29] 법규8295 23/07/20 8295 17
99146 [일반] [루머] 애플, USB-C 에어팟 프로 출시 예정 [17] SAS Tony Parker 10652 23/07/06 10652 0
99111 [일반] 펩 과르디올라는 어떻게 지금 이 시대의 축구를 바꿨는가. [25] Yureka8425 23/07/01 8425 28
98915 [일반] 덕후들에게도 이로운(과연?) 락,메탈 공연문화 소개 (움짤주의) [13] 요하네9135 23/06/02 9135 13
98872 [일반]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현실과 한계 [104] 퀘이샤14843 23/05/27 14843 36
98774 [일반] 루머:애플 12코어 CPU 18코어 GPU 맥북 프로용 'M3 Pro' 칩셋 테스트 중 [26] SAS Tony Parker 9552 23/05/15 9552 1
98712 [일반] 요리는 아이템이다. [47] 캬라8382 23/05/06 8382 19
98660 [정치] 7일간의 미국 국빈방문 왜 간건지 모르겠습니다. [45] 잉명15281 23/05/01 15281 0
98616 [일반] 질문 게시판 보고 생각나서 써보는 유럽 신혼여행 (프랑스 - 스위스) part.2 [8] 톨기스5316 23/04/27 5316 2
98483 [일반] 뉴욕타임스 4. 7. 일자 기사 번역(기후변화 대응에 무역분쟁과 분열을 막아야 한다.) [7] 오후2시9287 23/04/15 9287 2
98371 [일반] <에어> - ’위대함‘과 성취 [15] aDayInTheLife7176 23/04/05 7176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