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2/05 15:52:16
Name 드문
Subject [일반] 바빌론을 보고 왔습니다 (약스포)
데미언 셔젤의 신작이라고 해서 아무정보 없이 보러 갔습니다
(참고로 영알못입니다)
위플래쉬, 라라랜드를 재밌게 봤기 때문에 이름값만으로 티켓을 구매했네요
다만 티켓 구매시 신분증 지참을 강조하길래 수위가 좀 있나보다 그런 생각은 들었습니다

주인공은 미국영화계에 종사하는 세명인데

스타 브래드피트
신성 마고로비
그리고 마고로비를 좋아하는 디에고칼바 (멕시코인)

요 세사람이 1920~30년대 무성영화에서 유성영화로 넘어가는 시기를 그리고 있습니다
초반부는 무성영화 시기
중반부는 유성영화로 넘어가는 시기
후반부는 유성영화가 자리잡은 이후 각 주인공별 결말

무성영화때는 배우와 감독이 절대적 갑이였다면
유성영화가 도입되면서 배우에게는 목소리를 사용한 연기력이, 현장에는 기술력이 요구되는 거대자본이 필요해지고
그에따라 갑의 위치가 바뀌면서 영화판 시스템이 바뀌게 됩니다

때문에 영화역사를 잘 알수록 즐길 요소가 많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개인적인 감상평을 적자면
런닝타임이 굉장히 긴데 중후반부까지는 지루하지 않았습니다
사운드는 전작들과 결이 같지는 않지만 위플래시 라라랜드 좋아하면 충분히 좋아할 사운드고
영상 또한 화려함과 동시에 그시대 느낌을 잘 살려줍니다
스토리도 후반부 초입에 토비맥과이어와 지하층을 가는 씬까지는 상당히 집중하면서 본거 같네요

그런데 그 이후부터는 몰입도가 떨어지는 느낌이였습니다
브래드피트는 약간의 진부함
아쉬운건 마고로비가 너무 평면적으로 마무리 되는거 같더군요. (이쪽 스토리가 더 잘 살릴수 있는 여력이 많아보였는데)
디에고칼바의 마지막씬 또한 난해했습니다. 감독이 많은걸 담으려 한다 그런느낌이였네요

라라랜드는 마지막씬으로 역전 홈런 구경한 기분이라면 바빌론은 끝내기 홈런 맞은 기분?
이부분은 영알못의 개인적인 감상으로 간주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끝으로

배설씬 일부가 있는데 길게 찍은 씬들이 있습니다
야스씬들은 그냥 배경처럼 쓰여서 오히려 배설씬에 주의가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2/05 15:54
수정 아이콘
보게 되면 사랑은 비를 타고를 다시 보게 만드는 영화더라구요
탕수육
23/02/05 15:59
수정 아이콘
19금 시네마천국.
23/02/05 17:11
수정 아이콘
배설신이라니 상상이 안가네요.
대인가요 소인가요
23/02/05 17:34
수정 아이콘
큰거 작은거에 구토도 있습니다 크크
Janzisuka
23/02/05 17:28
수정 아이콘
배설? 피지알에서 제작지원하나요
인간실격
23/02/05 17:3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첫 1시간만 봤으면 딱 좋게 마무리되었을 것 같은데...중간부터 너무 늘어지다 보니 나갔다오는 분들 많더라구요.
23/02/05 22:04
수정 아이콘
중반부부터 너무 늘어지죠
퍼블레인
23/02/05 17:51
수정 아이콘
관심없다가 댓글들 보고 급흥미가 생기네요
척척석사
23/02/05 23:42
수정 아이콘
헉 역시 배설 커뮤니티
23/02/06 00:01
수정 아이콘
저는 엔딩 매우 좋았습니다. 지하실 부분 빼면 길다는 느낌도 없었고요. 근데 사랑은 비를 타고를 안봤다면 이 영화에 대한 변주, 주제와 엔딩까지의 흐름을 못가져갈 수 있을것 같네요. 사랑은 비를 타고 딱 하나만 보고 가면 다른 배경지식 없이도 아주 재밌게 볼 영화입니다.
몬테레이
23/02/06 10:01
수정 아이콘
[사랑은 비를 타고] 영화에 대한 배경지식은 사전에 알고 가는 게 바빌론 영화를 잘 이해하기에 좋습니다. 3시간 8분이 그리 지루하지는 않았어요. 그런대로 볼만한 영화. 미국 고전영화에 대한 오마주가 느껴지네요.
인생은에너지
23/02/06 15:22
수정 아이콘
음악을 잘 쓰는 감독이라 생각해서 제가 참 좋아하는 감독인데요
호불호 좀 많이 탈 듯 합니다
저는 지금까지 네작품 좋게 봤는데 와이프는 하나같이 다 별로라고…
박세웅
23/02/08 07:56
수정 아이콘
저 개인적으로는 역대급 영화였습니다.. 엔딩도 완벽 3시간이 어떻게 갔는지.. 아바타와 이 영화는 영화관에서 봐야 합니다..
빵형은 여전히 멋있는 남자 였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930 [일반] 지금까지 개미와 다르다 (앤트맨와스프 퀀텀매니아 후기 스포있음) [26] 노래하는몽상가11275 23/02/15 11275 1
97929 [정치] 정치글을 구경하면서 드는 단상 [71] 도큐멘토리15273 23/02/15 15273 0
97928 [일반] S23 기념, 때리고 싶은 통신사와의 4선 [59] 악질17756 23/02/15 17756 21
97927 [정치] 이재명이 되었으면 윤석열 보다 나았을 지점들1: 행정 [460] 동훈33571 23/02/15 33571 0
97926 [정치] '여성 주차장→가족 주차장'..서울시 조례 개정 추진 [74] 바둑아위험해16207 23/02/15 16207 0
97925 [일반] [스포주의]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후기 [42] 세종12905 23/02/15 12905 1
97924 [정치] 지난 대선 윤석열 이재명은 지금 다시봐도 뽑기가 힘들군요 [292] 꽃차19201 23/02/15 19201 0
97921 [정치] 윤석열 대통령, 국민의 힘 명예대표 가능성 [136] 빼사스22729 23/02/15 22729 0
97920 [일반] 중학교 시절 절 따돌림 시킨 사람이 경찰이되어있었네요.. [77] 아노다이징17620 23/02/15 17620 29
97919 [일반] 기술발전으로 무색해진 초기화 [32] 판을흔들어라16181 23/02/14 16181 10
97918 [일반] 왜 예전에는 아이를 많이 낳았을까? [106] 인사걸18338 23/02/14 18338 18
97917 [일반] 울산 600가구모집에 1명 계약 뉴스를 보고 [36] 10216228 23/02/14 16228 3
97916 [일반] 난임지원의 현실. [65] 사업드래군16616 23/02/14 16616 37
97915 [일반] 업무중에 마주하게된 상식논란 (1kbyte 는?) [102] 겨울삼각형16944 23/02/14 16944 0
97914 [일반] TLS 보호 약화하기, 한국 스타일 [11] Regentag12117 23/02/14 12117 7
97913 [일반] 진짜로 소멸됩니다. Internet Explorer 11 [39] Tiny15018 23/02/14 15018 2
97912 [일반] 싱글세를 걷으려면 적어도 나라에서 그만한 책임을 보여야 하지 않나요 [225] sionatlasia21034 23/02/14 21034 25
97911 [일반] 일본, 사실상 싱글세 도입 확실시 [412] 아롱이다롱이19437 23/02/14 19437 1
97910 [일반] 조기 은퇴라니, 로또라도 된건가? [19] 타츠야13080 23/02/14 13080 21
97909 [일반] WBC 일본 대표팀 분석 - 내야수 편 2부 [13] 민머리요정26111 23/02/14 26111 10
97908 [일반] 슬램덩크 모르는 사람의 극장판 후기 (스포X) [31] 계신다10579 23/02/13 10579 18
97907 [일반] 그 나잇대에 소중한 것들 [32] 흰둥16006 23/02/13 16006 60
97906 [일반] WBC 일본 대표팀 분석 - 내야수 편 1부 [13] 민머리요정26285 23/02/13 26285 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