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2/03 18:36:08
Name 제트버스터
Subject [일반] 자작이라는 컨텐츠의 한계.
그냥 솔직하게 말하면 자작 즉 창작을 한다는 것 자체는 한계가 좀 명확하다는 느낌입니다.
저 스스로만 해도 무언가를 지금 준비하고 있는데 그 것을 준비하기 위한 밑바탕을 깔아놓고 한다는 거 자체가 너무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느낌을 받고 있고요.
다른 분들도 글 같은 거 쓰실테지만, 여러모로 머리가 아픈 부분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막말로 좀 심하게 말하면, '골이 빠지는' 상황이 창작에서 여러번 속출된다는 것인데
저만 이렇게 생각하는건지는 모르겠네요.
의견이 궁금하고요.
뭔가 올리고 싶지만, 눈치가 보여서 올리진 않겠습니다.
어허헣..
진짜 창작이라는 건 너무 어렵다고 생각 되네요.
이만 짧은 글을 올리고 마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2/03 18:38
수정 아이콘
순수 창작이라는건 쉽지 않고 대중으로부터 인정받는 것도 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창작은 있던 것에서 어느정도 변형이 이뤄지는데서 이뤄지는데 그 비중이나 참신함에서 오는 것 같네요.
23/02/03 18:50
수정 아이콘
인간 경험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창작에 현실성을 불어넣으려면 사전조사가 필요하죠. 프로 작가들 보면 기자처럼 인터뷰나 현장 답사 같은 것도 많이 하고 자료 조사 같은 것도 많이 해요. 최근에 나온 하얼빈의 경우 김훈이 젊은 시절부터 안중근과 이토의 생애 조사 했다고 하더라구요. 김은희 작가가 배우들과 함께 시체 부검하는 거 옆에서 지켜봤다는 이야긴 유명하고요. 긴 시리즈 같은 경우 몇 년이나 몇 십년에 걸쳐 나오는 작품들도 많고요. 매일 연재하는 웹소설 같은 경우도 집필 전에 자료 조사가 필요하죠. 그 란마 작가였나요. 경험 필요없다고 하는 사람도 있긴 합니다만 기본적으로 창작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 양산형 이야기 쓰는 것도 일정 퀄리티 이상으로 유지하며 완결지으려면 열정과 꾸준함이 필요하죠.
무한도전의삶
23/02/03 19:06
수정 아이콘
writer's block에 대해서는 수백 권의 책이 소소한 팁을 다루고 있으니 찾아서 적용해 보는 수밖에 없죠. 개인적으로는 완벽하게 조용한 공간을 조성해 30분 정도 모든 전자기기 없이 멍때리고 명상을 해야 마음 안에 무언가와 접촉한다는 기분이 듭니다. 실제로 글도 잘써지고요. 글을 쓸 때만큼은 일상의 먼지들을 털어버리려고 하는지 검토해 보시면 도움이 될... 지도요? 어차피 창작은 고통을 수반하니까요. 기예르모 델 토로가 그랬다지요. 경험이 없을 때의 창작은 얇은 똥 샌드위치를 먹는 것이고, 경험이 쌓이면 빵이 무지하게 두꺼운데 마찬가지로 똥크림이 들어간 샌드위치를 먹는 것이라고요.
23/02/03 19:32
수정 아이콘
저도 옛날에는 순수 창작에 대한 환상이 있었는데
요즘은 자신의 색을 잘 살려 변주하는 게 창작이지 않나 이 생각이 들더라고요
멍멍이개
23/02/04 00:15
수정 아이콘
의도를 하건 안하건 내가 만든 건 이미 비슷한게 산더미처럼 있습니다. 참고를 하든 안하든 결과가 그래요.
어차피 수두룩한 비슷한 작품들 중 하나를 만든다면 최대한 좋은 작품을 읽고 요령껏 배워서 더 나은 비슷한 작품을 만들어야겠죠.
23/02/04 06:19
수정 아이콘
컨텐츠를 많이 접하는 사람일수록 안목이 높고 취향도 까다로워서; 자신이 만든 미숙한 창작물을 접하는데 더 괴로워합니다. 그럼에도 저는 ‘일단 써라’ 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무엇이 부족한지, 내 것의 장점은 무엇인지 캐치하고 끈기있게 발전시켜나간다면 그속에서 재미와 오리지널리티가 부여될거라봅니다.
-안군-
23/02/04 10:51
수정 아이콘
내가 무언가 아이디어를 떠올렸을때, 세계 어딘가의 최소 6명의 사람들은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는 얘기가 있죠. 그러니까 그냥 지르는게 낫습니다. 아무리 기발하고 참신해도 도용이나 표절 같은 논란에서 완전히 벗어나긴 힘드니, 그냥 뚝심있게 밀어붙이는게 더 좋다고 생각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927 [정치] 이재명이 되었으면 윤석열 보다 나았을 지점들1: 행정 [460] 동훈33433 23/02/15 33433 0
97926 [정치] '여성 주차장→가족 주차장'..서울시 조례 개정 추진 [74] 바둑아위험해16156 23/02/15 16156 0
97925 [일반] [스포주의]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후기 [42] 세종12789 23/02/15 12789 1
97924 [정치] 지난 대선 윤석열 이재명은 지금 다시봐도 뽑기가 힘들군요 [292] 꽃차19147 23/02/15 19147 0
97921 [정치] 윤석열 대통령, 국민의 힘 명예대표 가능성 [136] 빼사스22640 23/02/15 22640 0
97920 [일반] 중학교 시절 절 따돌림 시킨 사람이 경찰이되어있었네요.. [77] 아노다이징17566 23/02/15 17566 29
97919 [일반] 기술발전으로 무색해진 초기화 [32] 판을흔들어라16098 23/02/14 16098 10
97918 [일반] 왜 예전에는 아이를 많이 낳았을까? [106] 인사걸18249 23/02/14 18249 18
97917 [일반] 울산 600가구모집에 1명 계약 뉴스를 보고 [36] 10216154 23/02/14 16154 3
97916 [일반] 난임지원의 현실. [65] 사업드래군16539 23/02/14 16539 37
97915 [일반] 업무중에 마주하게된 상식논란 (1kbyte 는?) [102] 겨울삼각형16871 23/02/14 16871 0
97914 [일반] TLS 보호 약화하기, 한국 스타일 [11] Regentag12072 23/02/14 12072 7
97913 [일반] 진짜로 소멸됩니다. Internet Explorer 11 [39] Tiny14941 23/02/14 14941 2
97912 [일반] 싱글세를 걷으려면 적어도 나라에서 그만한 책임을 보여야 하지 않나요 [225] sionatlasia20963 23/02/14 20963 25
97911 [일반] 일본, 사실상 싱글세 도입 확실시 [412] 아롱이다롱이19325 23/02/14 19325 1
97910 [일반] 조기 은퇴라니, 로또라도 된건가? [19] 타츠야13023 23/02/14 13023 21
97909 [일반] WBC 일본 대표팀 분석 - 내야수 편 2부 [13] 민머리요정25981 23/02/14 25981 10
97908 [일반] 슬램덩크 모르는 사람의 극장판 후기 (스포X) [31] 계신다10513 23/02/13 10513 18
97907 [일반] 그 나잇대에 소중한 것들 [32] 흰둥15956 23/02/13 15956 60
97906 [일반] WBC 일본 대표팀 분석 - 내야수 편 1부 [13] 민머리요정26173 23/02/13 26173 13
97905 [일반] <맨 프롬 어스> - 올드맨 아저씨의 믿거나 말거나. [87] aDayInTheLife13762 23/02/12 13762 4
97904 [일반] 애플 가로수길에 아이폰 배터리 교환 서비스 받으러 갔다 그냥 돌아온 이야기 [82] 웜뱃은귀여워17397 23/02/12 17397 13
97903 [일반] 가수 예민씨... 이런 분도 있었군요 [32] 흰둥20334 23/02/12 20334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