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2/23 00:20:50
Name 기찻길
Link #1 https://www.theguardian.com/uk-news/2022/dec/04/striking-uk-workers-playing-into-putins-hands-says-zahawi
Subject [정치] 영국 보수당 의장: 간호사 파업은 푸틴을 돕고있다. (수정됨)
[He said: “This is a time to come together and to send a very clear message to Mr Putin that we’re not going to be divided in this way … our message to the unions is to say this is not a time to strike, this is a time to try to negotiate.”]

현재 영국꼬라지가 다른 유럽국가들에 비해 물가가 너무 높아서 대규모 공공파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보수당의장 분은 지금이 파업할떄냐 참고 러시아 전쟁에 단결해야하는 이상한 소리를 하고 있습니다. 아직도 그레이트게임 시절로 생각하는 모양인듯 하네요. 물론 지금이 2차 세계대전이 아닌이상  저런 목소리가 먹힐리가 없죠. 


이미지

현재 공공파업 지지여론조사인데 간호사,구급차,소방관 관련 여론은 파업 지지가 압도적이고 반대로 철도,운송,우편, 공무원은 당장 실생활에 연결되니까 비호감적인 여론조사가 나타났습니다. 

최초의 영국 인도계 총리인 리시 수낙 총리는 잘하고 있나 봤지만 잠깐 기대를 모았다가 그냥 떨어지는 추세로 보입니다. 이쯤되면 무덤에 있는 대처총리가 부활해도 보수당을 못살리는 수준입니다.  대처리즘의 성과인 금융업도 브렉시트 하고 말아먹으면서 이제 파리에게 밀리고 천천히 영국경제가 망하는 급으로 가고 있는데 이대로 가면 영국 보수당의 전멸은 확정적으로 봅니다.



이미지



지금 영국 왕 이름이 찰스 3세인데 찰스의 저주처럼  영국에 혁명이 일어나거나 아니면 100년전 처럼 자유당의 몰락처럼 보수당의 종말이 될수도 있을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2/23 00:39
수정 아이콘
프랑스도 지금 크리스마스 & 연말 때맞춘 SNCF 파업에 대해서 여론이 엄청 안좋던데, 어딜가든 생활에 직결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관용적이기가 쉽지않죠.
22/12/23 01:03
수정 아이콘
전임 총리도 그렇고 영국 보수쪽은 우크라이나에 올인하는 모양새네요. 미국 공화당도 너무 퍼준다 하는 판에
꿈트리
22/12/23 09:09
수정 아이콘
남말 못할 처지긴 한데, 저긴 우리보다 인플레이션과 금융이 우리보다 매운맛이라 서민들 살기 정말 힘들겠네요.
탑클라우드
22/12/23 11:55
수정 아이콘
21세기 유럽 선진국들의 일상을 담은 영화나 드라마 등을 보면 저 동네도 정상은 아니더라구요.
가습기
22/12/23 12:19
수정 아이콘
공공파업... 이름을 기가막히게 잘 지었네요. 마치 공공의 이익을 대변하는 파업으로 보였는데
그나저나 우리도 물가가 미쳤는데 정부가 물가 인상을 억제 노력을 안하는지 아니면 제가 모르는지
닉네임을바꾸다
22/12/23 13:22
수정 아이콘
나름 억제해서 이거일수도......공공요금같은건 그나마 저쪽 동네들보단 속도나 강도가 작은편일걸요...(한전이 채권을 20조였나 30조였나 토해낸게...그냥은 아니죠...)
피해망상
22/12/23 13:24
수정 아이콘
대놓고 지난정권때 억제한거 지금에서야 토해내고있는거죠.
덴드로븀
22/12/23 13:35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54605?sid=101
[2023경제] 전기·가스요금 더 오른다…단계적 현실화 시동 - 2022.12.21
올해 전기요금은 약 20% 인상됐으나 [한전의 적자는 지난 9월까지 21조8천억원에 달했고 올해 말 기준 34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산]된다.

노력은 했죠. 올해 에너지가격 폭등 대비 전기요금을 거의 안올렸으니까요.

대신 이게 한전채 발행이라는 쉬운 처방으로 막은거라 이걸 계속해서 할수가 없다는게 문제고,
위에 기사처럼 전기요금을 현실화할 경우 물가 충격은 올해보다 더 할수도 있죠...
22/12/23 14:1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물가 상승은 유럽이나 미국에 비하면 선녀 아닌가요?
22/12/23 13:32
수정 아이콘
사람 사는 동네는 다 똑같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784 [일반] [컴덕] 3rsys, 수냉쿨러 누수사고 대응 일파만파 [71] Nacht21647 23/01/27 21647 3
97783 [일반] 10년 계정 벌점 없이 영구 강등 당한 썰 [220] 뿔난냥이22604 23/01/27 22604 33
97782 [정치] "실탄 검색하셨죠" ···뜬금포 경찰전화 [67] 21510 23/01/27 21510 0
97781 [정치] 서울 학생인권조례 폐지 직전? [122] 라이언 덕후23576 23/01/27 23576 0
97780 수정잠금 댓글잠금 [일반] 백신패스와 마스크 패스 [96] 부평오돌뼈18363 23/01/27 18363 2
97779 [정치] 갑자기 모든게 다 비싸졌네요. [96] 만수르22043 23/01/27 22043 0
97778 [일반] 추악한 민낯 [164] 부평오돌뼈21118 23/01/26 21118 14
97777 [정치] [번역] 미국 핵 전문가가 보는 한국의 핵개발=재앙 [154] 김재규열사21170 23/01/26 21170 0
97776 [일반] [역사] 도넛과 베이글의 차이는?! [31] Fig.1129174 23/01/26 129174 25
97775 [일반] (약혐) 영구치가 아예 안 나기도 하는군요... [44] 우주전쟁15100 23/01/26 15100 1
97773 [일반] 모아보는 개신교 소식 [44] SAS Tony Parker 12707 23/01/26 12707 2
97772 [일반] 두 집안의 서로 다른 음식 문화 충돌이 빚어낸 결과 [66] 천연딸기쨈15478 23/01/26 15478 38
97771 [일반] 국가공무원 복무규칙의 작지만 큰(?) 변경 [16] Regentag17991 23/01/25 17991 9
97770 [일반] IPinside LWS Agent 취약점 공개 [14] Regentag13289 23/01/25 13289 2
97769 [일반] [잡담] 육아는 템빨? 100일 아기 육아템 구매/사용기(추가) [95] Klopp16853 23/01/25 16853 15
97768 [일반] 머지와는 좀 다르게 흘러가는 보고플레이 상황 [54] 길갈18442 23/01/25 18442 5
97767 [정치] 국민의 힘 당대표는 누가 될것인가? [92] 카루오스20374 23/01/25 20374 0
97766 [정치] 나경원 당대표 불출마 선언 [104] 맥스훼인19027 23/01/25 19027 0
97765 [일반] 미국과 유럽이 에이브럼스와 레오파르트2를 우크라이나에 지원검토중이라고 합니다. [40] 된장까스15310 23/01/25 15310 3
97764 [일반] [성경이야기]평화를 사랑하는(?) 단 지파 [4] BK_Zju14899 23/01/25 14899 15
97763 [일반] 차이니즈 뉴이어와 차이니즈 바이러스 [174] Octoblock21981 23/01/24 21981 27
97762 [일반] 한국군 병영식에 고기가 너무 없다. [61] 공기청정기16010 23/01/24 16010 7
97761 [정치] 대한민국에 정말 희망은 없는것일까?(남북통일) [61] 워렌버핏16913 23/01/24 1691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