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2/20 23:58:00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961347638
Subject [일반] <서부 전선 이상 없다> - 오랫동안 기억될 불쾌감.

어디선가 그런 말을 봤습니다. '모든 전쟁 영화는 반전영화이다.' 전쟁을 다루면 다룰 수록, 모든 전쟁 영화들은 반전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 밖에 없다고. 영화는 잘 기억나지 않지만, 어느 사람의 짧은 이야기만 기억에 깊이 남아있습니다.


이 영화 <서부 전선 이상 없다>는 3번째 영화화고, 또 많은 모티브가 된 소설 원작의 영화입니다. 그렇기에 어떤 점에서는 이 영화는 너무나도 뻔하고 너무나도 속이 들여다보인다고 표현해도 될 것 같습니다. 클리셰도 많구요, 이렇게 되겠다 싶기도 합니다. 영화의 방식은 너무나도 정직한 정면 승부입니다. 서사를 최대한 압축하고, 영화의 공간 속으로 관객을 옮겨 놓습니다.


게임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아마도 '배틀필드 1'의 오프닝을 기억하실 겁니다. 몇 분만에,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사망하고, 1차 대전 전사자의 이름을 화면에 표시하던 그 오프닝을요. 영화를 보면서 저는 그 오프닝이 떠올랐습니다. 영화는 그런 점에서 몇 가지 영화적 서사를 제외하고선 관객에게 '체험'을 제안하는 느낌이 듭니다. 그러니까, 이 잔인하고 차가운 1차 세계 대전의 한복판으로 조금씩 초대한다고 해야할까요.


그리고 개인적인 감상으로 이 경험은 속수무책으로 들어오는 투수의 패스트볼 같습니다. 그러니까, 불쾌하고 지저분하고, 이상하고, 영웅주의 따위는 개나 준, 말 그대로 불쾌하고 음울한 골짜기로 초대하는 기분이라고 해야할까요. 모든 것이 빤히 보이는 기분이지만, 그 기분 한 가운데로 끌고 들어와서는 이걸 보라고 외치고 있는 느낌입니다. 어떻게 표현해야할까요. 무슨 말을 해야할까요. 때때로 '이 잔혹한 환경을 보라!'라고 외치는 것이 조금은 지나쳐서 과하다라는 느낌이 들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이 공간으로 끌려 들어간 이후로는 할 수 있는 말이 없습니다.


그렇기에, 저는 이 영화를 지켜보며 아무 말도 할 수 없었습니다. 개인적으로 후반부의 각색은 조금 누군가의 '광기'에 대한 이야기 같아 보여서 조금 아쉬움이 남았습니다만, 그걸 제외하고 영화는 너무나도 잔인하게 상황을 응시하는 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습니다. 그저 보여주고 느끼게 할 뿐입니다. 이 잔혹하고 음울한 구덩이를 저는 오랫동안 생각할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이징패스트볼
22/12/21 03:01
수정 아이콘
모든 전쟁영화는 반전영화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이 영화처럼 전쟁에 대해 냉소적인 시각을 보인 영상물을 저는 한번도 본 적 없었습니다.
애국심, 동료애, 자기희생, 조국의 영광과 구원.....이 모든 환상을 걷어버리고 전쟁에서의 죽음은 전부 개죽음이다라고 선언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개인적으로 밴드 오브 브라더스를 정말 좋아하는데 이 영화는 전혀 다른 의미로 잊을 수 없을 것 같네요.
aDayInTheLife
22/12/21 07:01
수정 아이콘
정말 직설적이더라구요. 영화를 보는 내내 직설적이다 못해 오히려 전쟁의 영웅 서사 같은 거를 조롱하는 느낌이 들 정도로 냉담하고 직설적이었습니다. 저도 오랫동안 기억할 영화인 것 같습니다.
담배상품권
22/12/21 10:34
수정 아이콘
그쪽계열 전설적인 영화중에 컴 앤 씨라고 있습니다.
22/12/21 14:45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 때 숙제로 서부전선 이상없다를 읽었는데, 그 많은 이야기가 지난후의 앤딩은 잊을수가 없네요. 왜 명작이라는지 알거 같더군요
aDayInTheLife
22/12/21 16:12
수정 아이콘
저는 전혀 모르다가 이번 영화를 보고서 책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참 허망하더라구요.
나이스후니
22/12/21 17:59
수정 아이콘
저도 얼마전에 봤는데 참 냉정하게 희망하나 없이 표현 하더군요. 전쟁이 가끔 미화되기도 하는데, 적어도 휴전국가의 한국인들은 한번쯤 이런영화를 봐야하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 전쟁터에서 생사를 보면 운이 좋았다 말고는 다른 생각이 안들더군요. 한없이 찝찝하고 냉정하지만, 이것이 전쟁이다라고 말하는 것 같았습니다
aDayInTheLife
22/12/21 18:08
수정 아이콘
전쟁이라는게 참.. 나무위키를 보니 두 가지 상반된 시각의 전쟁 소설 이야기가 나오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이쪽 방향이 현실에 가깝지 않을까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660 [일반] 강백호 vs 정대만, 산왕전의 활약상. [206] 아이n18585 23/01/09 18585 8
97659 [일반] 인천 강화군 서쪽 25km 해역 규모 3.7 지진 발생 [58] 손금불산입19290 23/01/09 19290 0
97658 [일반] 건알못의 수성의 마녀 시즌1 소감 (강스포) [45] 피죤투13380 23/01/09 13380 1
97657 [일반] 『더 퍼스트 슬램덩크』 소감(스포일러 주의) [33] 라울리스타14233 23/01/08 14233 11
97656 [일반] 더 퍼스트 슬램덩크 조금 아쉽게 본 감상 (슬램덩크, H2, 러프 스포유) [30] Daniel Plainview13837 23/01/08 13837 27
97655 [일반] 요즘 본 영화 감상(스포) 그때가언제라도8366 23/01/08 8366 2
97654 [일반] <더 퍼스트 슬램덩크> - 원작에 의지하거나, 의존하거나.(약스포) [84] aDayInTheLife15229 23/01/08 15229 6
97653 [일반] 뉴욕타임스 읽는 법 도와주세요(영자신문을 선택한 이유 추가) [49] 오후2시49854 23/01/07 49854 5
97652 [일반] 점심시간 은행 문 닫아요… KB국민, 일부 점포 시범 운행 [192] 만수르25677 23/01/07 25677 2
97651 [일반] 커피, 에스프레소, 수동머신 [47] 해맑은 전사18952 23/01/07 18952 9
97650 [정치] 미국에서 6살 어린이가 선생님을 쐈네요... [70] 우주전쟁21371 23/01/07 21371 0
97649 [일반] 제임스완 제작 공포 영화 "메건" 보고 왔습니다 [5] 흰긴수염돌고래10483 23/01/07 10483 1
97648 [일반] 분류와 구분짓기의 사회 [30] 휵스11769 23/01/07 11769 1
97647 [정치] 한겨레 편집국 간부, 김만배씨와 금전거래. 한겨레 신문 사과문 발표 [204] D.TASADAR25344 23/01/06 25344 0
97646 [일반] 나의 전두엽을 살펴보고 싶은 요즘 [8] 사람되고싶다12508 23/01/06 12508 12
97645 [일반] 그녀는 왜 부모 걱정을 하는 노총각만 보면 도망가게 되었을까? 2 [21] 김아무개14153 23/01/06 14153 21
97644 [일반] 국내 민간 동호회, 10년 전부터 무인기로 북한지역 촬영 [44] Regentag15848 23/01/06 15848 1
97643 [일반] 13500 + 4070TI 초기 가격 서치 [51] SAS Tony Parker 13790 23/01/06 13790 4
97642 [일반] 여성의 사회성이 높은 이유 중 하나는 [61] Gottfried19075 23/01/06 19075 17
97641 [일반] 북산의 안감독은 과연 명감독이었을까요? (애니 스포 없음) [98] 외쳐2214244 23/01/06 14244 25
97640 [일반] 막다른 골목에 다다른 한국의 온라인 보안 실태 [32] Regentag17189 23/01/06 17189 11
97638 [일반] 그녀는 왜 부모 걱정을 하는 노총각만 보면 도망가게 되었을까? 1 [49] 김아무개17964 23/01/06 17964 19
97637 [일반] 소녀 리버스 감상 - VR장르를 정말 잘 이해한 PD와 가수의 걸작 [24] 터드프10970 23/01/06 1097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