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30 13:08:57
Name 동훈
Subject [일반] 국가애도기간 선포, 용산구 특별재난지역 선포 예정 등 (수정됨)


1.어제자 이태원에서의 참사 이후 바이든 미국 대통령 등 국내외 지도자급 인사의 조의가 이어졌습니다.


대표적으로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성명]을 내고  "(부인) 질과 나는 서울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가족들에게 깊은 위로를 보낸다"며 "우리는 한국인들과 함께 슬퍼하고, 부상자들이 빨리 쾌유하길 기원한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2103035137



2-1.또한 행정부는 여러가지 대책을 선포했습니다.

[오늘 부터 국가애도기간이 선포되었고 모든 부처와 관공서는 조기를 게양]하게 되었습니다. 종료 기한은 기사에 따르면 사고가 수습될 때 까지라고 합니다. (다른 기사를 보니 따르면) 11월 5일 정도로 이야기되는 거 같네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3327#home


찾아보니 국가애도기간 선포는 천안함 사태 이후 처음이라고 합니다. 천안함 사태 당시에는 국가애도기간과 맞물려 아래와 같은 조치들이 취해졌던 거 같습니다.

- 모든 공무원이 검소한 복장에 근조리본을 패용
- 국가애도의 날인 29일에는 전국 관공서 등 공공기관에 조기를 게양
- 한편 정각 10시에 사이렌을 울려 1분간 추모 묵념
- 중앙행정기곤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예정된 축제와 체육행사 등 각종 행사의 자제를 당부, 불가피한 경우에도 간소하게 치르도록 함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00425800018


2-2.정부는 또한 [용산구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될 것이라] 예고하였습니다. 서울 시내에 합동 분향소가 설치될 예정이라 하네요.


https://imnews.imbc.com/news/2022/politics/article/6422118_35666.html


기사 외에 법령을 간단히 찾아 보았는데「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60조제1항 및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제69조제1항에 따라서 중앙대책본부장은 대통령에게 다음과 같은 요건에 따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후「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61조,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제70조제1항 및 제3항에 따라 지원금, 인명에 대한 구호비용, 생계안전 지원, 자금융자, 학자금 면제, 각종 간접지원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책임소재를 묻기 어렵고, 배상 등 이슈가 확실하지 않은 일이었던 만큼, 유가족에게는 확실한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경규
22/10/30 13:12
수정 아이콘
세월호때는 선포안됐었나보네요
22/10/30 13:14
수정 아이콘
네 저도 의외여서 찾아보았는데 키워드로 검색해도 당시에 선포했다는 이야기는 찾지 못했습니다
22/10/30 13:25
수정 아이콘
상황이 연속적이고 오랫동안 구출 국면이어서 그랬던 듯합니다.
리얼월드
22/10/30 13:16
수정 아이콘
할로윈 행사들이 취소되면서 온동네 유딩 초딩들도 난리가 났네요...
옥동이
22/10/30 13:18
수정 아이콘
이모가 어린이집에서 일하시는데 행사준비 한거 다 철거했다네요
22/10/30 15:47
수정 아이콘
저희 학교 학생회에서 준비하던 것도 다 취소입니다
아마 다른 곳도 비슷할 거 같네요
피노시
22/10/30 13:18
수정 아이콘
후속대처들이 잘 이루어 졌으면 좋겠습니다.
22/10/30 13: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정치인이 들어간 내용이면 정치탭으로 쓰셔야 합니다.
22/10/30 13:31
수정 아이콘
어 그러면 제가 몰라서 여쭙는데, 행정부나 지방정부의 정책들이나 시행령들, 게임 관련 법안 시행 관련 등도 근본적으로는 행정부, 국회의 인사들이랑 관련될텐데 전부 정치글인가요? 일단 한 총리를 언급한 부분은 지웠습니다...
22/10/30 13:33
수정 아이콘
그 부분은 저도 판단할 위치가 아닙니다만 정치인 들어가면 무조건입니다.
22/10/30 13: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건 정치탭으로 가야할듯요.
근데 원래 사망자가 많으면 국가애도기간 선포하는건가요?
22/10/30 13:40
수정 아이콘
정치인 언급(한덕수 총리)은 전부 뺐습니다. / 반드시 그런 것 같지는 않습니다. 세월호가 선포되지 않았었으니까요
후랄라랄
22/10/30 13:23
수정 아이콘
할로윈은 앞으로 유딩 초딩만 즐기자
10빠정
22/10/30 13:25
수정 아이콘
너무 안타깝습니다…어린애들이 ㅠㅠ
쩜삼이
22/10/30 13:25
수정 아이콘
국가애도기간이랑 특별재난지역 선포까지는 오버인거 같은데...

......뭐, 개인적 의견입니다. 사고가 크다는건 인정하지만요.
리얼월드
22/10/30 13:27
수정 아이콘
사망자 숫자만 빼고 생각하면 동의합니다...
근데 너무 많이 죽었네요 ㅠㅠ
쩜삼이
22/10/30 13:31
수정 아이콘
휴우, 많이 죽긴 했죠...
아케이드
22/10/30 13:28
수정 아이콘
정치적으로 어쩔수 없다고 보는게 안하면 또 대형 인명사고를 경시한다느니 하면서 공격당할 거라고 봐서...
쩜삼이
22/10/30 13:30
수정 아이콘
애도기간은 솔직히... 현재 시끄러운거 묻자는 정치적 의도로밖에 안 읽힙니다. 이것도 정치병이라고 할려나요?
22/10/30 14:08
수정 아이콘
국가애도기간 정한게 천안함 말고 처음이라고 들었는데 그게 맞다면 안했다고 공격당할 일은 전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2/10/30 13:29
수정 아이콘
재난지역은 맞지 싶고 애도기간은 ? 하긴 합니다.
쩜삼이
22/10/30 13:30
수정 아이콘
저도 애도기간은 ???일 뿐입니다...
오드폘
22/10/30 13:32
수정 아이콘
저도 아직 실종자 많으니 재난지역은 이해하는데
국가애도기간은 잘 모르겠습니다
쩜삼이
22/10/30 13:34
수정 아이콘
위에서도 밝혓지만 애도기간은 진짜 ???라는 생각일 뿐입니다.
모노리스
22/10/30 13:35
수정 아이콘
저도 재난지역은 해야한다고 보는데 애도기간은 뇌절같습니다
쩜삼이
22/10/30 14:06
수정 아이콘
위에서도 밝혓지만 애도기간은 진짜 ???라는 생각일 뿐입니다. (2)
옥동이
22/10/30 13:49
수정 아이콘
오버를 할수밖에 없죠..
쩜삼이
22/10/30 14:06
수정 아이콘
어째서요?
옥동이
22/10/30 14:13
수정 아이콘
정치화 될거같아서 일부러 길게 남기지 않았는데 정치적인 문제죠 당장 일일어난지 얼마되지도 않았는데 정부가문제니 어쩌니 하는 사람이 나오는판에 오버해서 욕먹더라도 뭘 못했다고 욕먹으면 정치적인 먹잇감 주는거니까요

쩜삼이 님 글 읽고 왔는데 저랑 크게 생각차이는 없으신거 같았습니다. 이번 사건은 많은 사상자가나왔다는점에서 주목받고있는거니 차치해도 spc건이나 사실 흔한 산재이긴하죠 당장 저희회사에서도 그저께 손가락 다친분이 계십니다.
이 댓은 쓰신글의 의도를 반박하려는글이 아니라
정부차원에서도 정치적으로 오버할수 밖에 없지않을까해서 한말입니다
22/10/30 13:51
수정 아이콘
저도 국가애도기간은 아닌 것 같습니다
사회 영향이 엄청난데 너무 쉽게 결정한 게 아닌지 참..
쩜삼이
22/10/30 14:06
수정 아이콘
사회 영향력 문제도 있겠군요...
유일여신모모
22/10/30 13: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게시글과 동떨어진 댓글은 작성해 죄송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10/30 13:29
수정 아이콘
뭐 이런 대형재난에서 재난자체는 몰라도 처리과정이 잘못되면 엮는거야 자유겠지만...처리과정에서 그리 잘못하고 있는건 같진 않은데 과하다 여길 사람은 있을지 몰라도...
그런데 엮으먼 참...
뉴럴클라우드
22/10/30 13:30
수정 아이콘
반대쪽 스탠스인 분에게도 비슷하게 달았습니다만, 피지알에서 유의하게 언급된 내용 아니면 굳이 끌고 오지 마세요. 본인이 개전을 유도하는 겁니다 이건.
NSpire CX II
22/10/30 13:32
수정 아이콘
그러게나 말입니다.
아우구스투스
22/10/30 13:32
수정 아이콘
정치글 따로 있어요.
감전주의
22/10/30 13:46
수정 아이콘
그건에 대한 건 거기서만 언급하세요
여기서 불 지피지 말구요
FastVulture
22/10/30 13:29
수정 아이콘
희생자 대다수가 세월호 겪은 세대일텐데... 너무 씁쓸합니다
NSpire CX II
22/10/30 13:31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한 나이일텐데 친구 중에 이태원 갔다 돌아온 사람도 있고, 주변에서는 저한테 이태원 안 갔냐고 연락오고, 학과 단톡방에는 과 인원 중 피해본 사람 없냐고 올라오고..

진짜 제 이야기라는 마음이 들어서 착잡하네요.
22/10/30 13:39
수정 아이콘
좀 오버스러운 부분도 있네요.적당히 하자.
새벽하늘
22/10/30 13:41
수정 아이콘
저도 애도기간은 오바라고 생각했는데 일단 너무 많이 죽었고 해외에서 관심 많이 주고 있어서 하는게 국가이미지에도 좋을거 같아요
22/10/30 13:45
수정 아이콘
재난지원금 준다는데 이건 오버같은데...
티타임
22/10/30 14:27
수정 아이콘
세월호때도 그랬고 이런 식으로 일반 국민들의 삶까지 영향 주는건 아닌거 같아요.
코로나 기간 동안 그렇게 많은 사람이 죽었는데 일일이 애도기간 설정했나요? 어차피 똑같은 죽음인데
사상지평
22/10/30 14:47
수정 아이콘
고인의 명복은 비는 바이지만 국가 애도기간이니 유족 위로금이니 하는건 와닿지 않네요. 세월호와는 결이 다르게 느껴져서 그런거 같습니다.
르크르크
22/10/30 15:09
수정 아이콘
특별재난지역선포라....많은 생각을 가지네요.
코인언제올라요?
22/10/30 15:12
수정 아이콘
재난은 맞는데...
뜨거운눈물
22/10/30 16:22
수정 아이콘
사망자가 용산사람이 몰려있는것도 아닌데 용산을 재난지역으로? 조금은 의아하네요
스위치 메이커
22/10/30 16:26
수정 아이콘
결국 이런 일이 발생하면 용산에 있는 자영업자도 피해를 보고, 공무원도 나와야 하기 때문에 그런 게 아닌가 싶습니다.
푸른 모래
22/10/30 16:33
수정 아이콘
잔대가리로 보이는데요
무슨 호국영령도 아니고
22/10/30 17:14
수정 아이콘
기민한 대응을 위해 재난 선포를 하면 보상금이 딸려오는 거라서 좀 이상하단 생각은 들지만 일단은 진행시켜야죠.하지만 이 부분은 개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세월호 때 슬픔을 이어가느라 그걸 언제 끝맺을지 주저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이번처럼 1주일(좀 많긴하네요)정도 공식적인 기간을 갖고 확실하게 추모하고 일상으로 돌아가는 거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계속 이어져서 음악 축제같은 것도 취소당하고 그랬는데 이번엔 그러지 않았으면 합니다.참사에 대한 추모와 행사는 별개입니다.
안철수
22/10/30 17:43
수정 아이콘
국가 애도기간이 처음엔 정부 뇌절 같았는데
세월호처럼 기약없는 애도 분위기가 사회를 더 아프게 할거라서
공식적인 일주일 후 온전한 일상으로 돌아오는게 괜찮아 보여요.
22/10/30 18:31
수정 아이콘
주최측이 없는 축제에서 일어난 사고라 배상을 물릴데도 딱히 안보이고 사상자가 스스로 부담하는것도 참 그런 일이고...

국가가 일단 나서서 수습하는게 맞지 싶습니다.
닉넴바꾸기좋은날
22/10/30 21:31
수정 아이콘
이게 아마 최근 이래 대규모 사상자가 난 단일 사건이라 재난지역이 되긴 할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112 [일반] 병역특례를 잘 모르겠어서 [31] 상록일기15056 22/11/06 15056 10
97111 [일반] 요즘 본 영화(스포) [6] 그때가언제라도11943 22/11/06 11943 2
97110 [일반] [성경이야기]요단강 서쪽 & 동쪽 갈등의 역사 [14] BK_Zju17851 22/11/06 17851 15
97109 [일반] 나의 군대이야기 [3] 레드빠돌이9591 22/11/06 9591 6
97108 [정치] 삼프로TV에서 금융투자소득세에 관한 민주당 이용우 의원의 변 [100] 헤세드8321335 22/11/05 21335 0
97107 [정치] 중도가 인기를 잃는 민주주의: 보편적인 가치는 적을 향해 열린 문이다 [44] 계층방정15332 22/11/05 15332 0
97106 [일반] 사진다수) 1년간 만든 프라모델들 [24] 한국화약주식회사12523 22/11/05 12523 24
97105 [일반] (끌올) 건물주가(?) 됐습니다. 이벤트 [71] 꿀깅이11615 22/11/05 11615 2
97103 [일반] 씨네21 정훈이 작가가 돌아가셨네요 [40] 똥진국15492 22/11/05 15492 8
97102 [일반] 펨코로 알아보는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 시 가져야 할 자세 [42] 그대를 돕겠어요17866 22/11/05 17866 0
97101 [일반] 야 너도 뛸 수 있어 [9] whoknows8345 22/11/05 8345 15
97100 [일반] [바둑] 왜 바둑은 남자기사가 여자기사보다 더 강한가? [152] 물맛이좋아요27184 22/11/05 27184 77
97099 [일반] [팝송] 5 세컨즈 오브 서머 새 앨범 "5SOS5" 김치찌개8143 22/11/05 8143 4
97097 [일반] [속보] 봉화 광산 고립자 2명 생환…지상으로 걸어 나와" [100] Leeka19218 22/11/04 19218 120
97096 [정치] 오늘자 이태원 참사 뉴스들 입니다. [172] Croove26048 22/11/04 26048 0
97095 [정치] 삭제된 보도자료, 삭제된 기사 [1] kurt14212 22/11/04 14212 0
97094 [정치] 문체부,BBC 보도내용 수정 요청 [49] 크레토스19855 22/11/04 19855 0
97093 [정치] [뉴스타파]용산구청 참사 당일 핼러윈 무질서 이용해 구정홍보 준비했다 [45] 체크카드18630 22/11/04 18630 0
97092 [일반] 봉화 광산 사고는 오늘도 진행중입니다 [34] 똥진국11714 22/11/04 11714 13
97091 [정치] 윤석열 대통령, 이태원 참사에 대해 첫 사과, 그리고 천공 논란. [96] 빼사스21572 22/11/04 21572 0
97089 [일반] AMD, 999달러 RX 7900 XTX 및 899달러 RX 7900 XT 발표, 12월 13일 출시 [25] SAS Tony Parker 12972 22/11/04 12972 0
97088 [정치] [갤럽] 尹 긍정평가 29% [63] Croove19228 22/11/04 19228 0
97087 [일반] 울산 최대 재개발사업지 시공사선정이 유찰 되었습니다. [24] 10214989 22/11/04 14989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