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29 21:07:29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914194512
Subject [일반] <화양연화> - 당신과 내가 사랑했던 순간들.(스포)

전에 <중경삼림> 얘기를 하면서 잠깐 얘기를 했는데, 엄밀히 말하자면 이번 서울에서 내려오면서 넷플릭스로 본 <화양연화>는 두 번째 관람이었습니다. 첫 번째는 (왜인지는 알 수 없으나) 군대 IPTV에서 있던 무료 영화 리스트로 봤었으니까 근 4년 만에 재관람인 셈입니다.


<화양연화>에 대해서 어떤 이야기를 더할 수 있을까요. 상당히 강렬한 시각적 미장센을 보여주는 영화이고, 그 시각적 효과만으로도 많은 감정을,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영화입니다. 또, 많은 분들이 나름대로의 해석을 내놓기도 하셨고, 영화 자체가 복잡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도 아니라고 생각이 들어요.


제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을 한건, 영화를 보면서 영화 팬으로서의 나름대로 감상을 적고 싶은 마음과 동시에, 이건 기록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영화는 상당히 오랜 시간, 인물들을 분리시킵니다. 어디에 갇혀있는 것처럼 묘사하든지, 혹은 문, 문턱, 창문 같은 걸로 인물들을 분리시켜 '외롭게' 만듭니다. 그리고선 두 인물이 같이 있는 장면은 그나마 숨구멍이 트이는 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그러니까, 겹겹이 싸인 문과 좁은 복도, 계단은 모두 인물들을 고립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배경처럼 느껴져요. 몇몇 조연 캐릭터를 제외하고선 얼굴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구요.


그런데, 둘의 관계는 이해받지 못하는 관계입니다. 또, 동시에, 둘은 서로의 '대안'으로 서로를 찾았지만 (내 남편은 그렇게 말하지 않아요.) 어떻게 시작했는지 알 수 없고, 어떻게 끝내야 할지도 알 수 없는 관계가 되어버립니다.

좁은 복도와 좁은 계단, 좁은 문과 창문은 서로가 서로의 탈출구인 동시에 억누르는 모든 상황들이 되어버립니다.


그렇게, 영화는 어긋난 시간에 대한 영화가 됩니다. 어쩌면 왕가위 감독이 항상 드러내듯, '기억과 순간에 대한 영화'로서 움직이는 영화라고 할 수도 있겠네요.

영화의 마지막에 나무를 파내고 비밀을 말하는 장소는 캄보디아의 앙코르와트입니다. 영화 상에서는 나무가 아니라 돌들 사이에 비밀을 숨겨놓고 막아놓습니다. 그리고, 그 광경을 어느 동자승이 바라봅니다. 글쎄요. 이게 어떤 의미일까요? 저는, 이 동자승이 어쩌면 관객을 말하는 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지나가고 나서야 가장 아름다웠던, 혹은 가장 붉게 빛나던 순간을 우리는 모르고, 무심결에 지나치는 어린 아이 같은 관객은 아닐까 하구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닥터페인
22/10/29 22:24
수정 아이콘
깊디깊은 여운이 무엇인지 알려준 작품입니다. 더불어, 냇 킹 콜의 ‘Quizás, Quizás, Quizás’, 그리고 ‘Aquellos Ojos Verdes’의 멜로디 또한 귓전을 맴돌죠.
aDayInTheLife
22/10/29 23:39
수정 아이콘
여운이 참 길더라구요. 노래도 참 임팩트 넘치고… 그레고리 포터의 리메이크판으로 접해서 이 버전도 좋지만 역시 오리지널도…
새벽이
22/10/29 23:43
수정 아이콘
20년 전에 처음 봤을 때는 별 감흥이 없었지만 나이가 들수록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는 영화인 것 같습니다. 넷플 미리보기에 나오는 스테이크 씬도 정말 좋아합니다.
aDayInTheLife
22/10/30 00:17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영화를 처음 볼 때 보단 이해하는 것 같습니다.
22/10/30 00:03
수정 아이콘
2046을 비롯한 왕가위 감독의 다른 영화와의 알레고리 속에서 보면 더 재미있죠.
물론 해당 영화 자체만으로도 정말 '완벽'하다고 생각합니다.
국수통 들고 국수 받으러 가는 게 어찌나 섹시한지...크

2006년에, 당시 여자친구가 승무원이었는데
씨엠립에 오후에 도착해서 그 다음날 인천으로 돌아오는 거의 퀵턴에 가까운 비행 일정이었는데도
순전히 앙코르와트 하나 보자고 같이 따라가서, 정말 아무 것도 안 하고 앙코르와트만 딱 보고 왔던 기억이...
aDayInTheLife
22/10/30 00:17
수정 아이콘
왕가위 감독은 되게 즉흥적으로 짜고 찍는다는 작업 스타일 얘기는 많이 들었는데 그 안에서도 묘하게 연결성이 있는 서사를 좋아하는 것 같아요.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084 [일반] 큰거 왔다.. 3080ti -> 4090 첫 인상 (스왑) [48] Lord Be Goja18909 22/11/03 18909 20
97083 [일반] 전화번호부와 카카오톡 친구목록을 정리한 이야기 [8] 지대호15142 22/11/03 15142 13
97082 [정치] 박희영 용산구청장 이 사람 문제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네요 [92] 홍철23705 22/11/03 23705 0
97081 [일반] 엉덩이 종기(표피낭종) 수술후기 [51] 기사조련가21164 22/11/03 21164 18
97080 [정치] 천공 발언은 까면서 문재인 발언은 쉴드치는 분들이 계신 것 같은데 [61] 홍철21320 22/11/03 21320 0
97079 [일반] 화섬식품노조 파리바게트지회 투쟁승리 [39] lexicon17338 22/11/03 17338 15
97078 [정치] 윤석열부부 멘토 자처하는 천공, 이태원 참사에 “엄청난 기회” 막말 논란 [158] 삭제됨23596 22/11/03 23596 0
97077 [정치] 경북 봉화 아연광산 사고는 아직 진행중입니다.. [23] 유목민15090 22/11/03 15090 0
97076 [일반] [책소개] 셰일 혁명과 미국 없는 세계 - 파월의 FOMC 발언 즈음에 생각난 책 [30] 헤세드8313023 22/11/03 13023 7
97075 [정치] 대통령실과 참사가 일어난 골목과의 거리 1.5km [70] kurt22221 22/11/03 22221 0
97074 [일반] 앞으로는 전세계가 버블경제 터진 직후 일본처럼 될듯합니다 [59] 보리야밥먹자20071 22/11/03 20071 1
97073 [일반] 11월 FOMC 요약: 설레발 치지마라 [60] 김유라18247 22/11/03 18247 22
97072 [정치] 12년 간 재직했던 성장현 전 용산구청장 인터뷰입니다 [39] 아드리아닠19985 22/11/03 19985 0
97071 [일반] CNN 번역)미 기밀해제 정보, 북한의 대러 무기밀매 정황 포착 [36] 아롱이다롱이15451 22/11/03 15451 2
97070 [일반] 이태원 참사를 조망하며: 우리 사회에서 공론장은 가능한가 [53] meson16805 22/11/02 16805 47
97068 [일반] 어쩌다 그들은 타인의 비극에 조소하게 되었나 [102] NSpire CX II18478 22/11/02 18478 15
97067 [일반] 등기부 등본상 깨끗한 집을 사고 전재산를 날린 사례 [189] 마음에평화를24740 22/11/02 24740 25
97065 [정치] 이태원 참사가 용산경찰서만의 잘못이 아닌 이유 [21] 잉명15722 22/11/02 15722 0
97064 [정치] 세계적으로 정통보수 정치세력이 몰락하고 포퓰리스트 우파가 약진하는 추세가 확실한 것 같습니다. [24] 홍철12746 22/11/02 12746 0
97063 [정치] 새 마스크 뜯자마자 썼는데…그 냄새 몰랐던 위험성 찾았다. [21] The Unknown A16091 22/11/02 16091 0
97062 [일반] 따거와 실수 [36] 이러다가는다죽어11928 22/11/02 11928 68
97061 [일반] 의경들의 희생으로 치안을 지켜온 대가, 이태원 참사 [607] 머랭이31792 22/11/02 31792 127
97060 [일반] 핸드폰은 정말 모르겠습니다 [40] 능숙한문제해결사14145 22/11/02 1414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