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24 23:20:38
Name 어강됴리
Link #1 https://www.youtube.com/watch?v=vzZLBBAVNCk
Subject [일반] SPC는 진짜 사람이 아니네요




와 메모장좀 켜고 왔습니다. 

엄마가 딸을 마지막으로 보는 입관식에서 경황이 없는 틈을타 접근해서 
[피해보상], [형사고소]를 하지 않는 조건으로 합의금을 제시했다고 합니다. 
 피해자 부모님은 거절하고 다음날 변호사를 선임해서 형사고소절차에 들어갔다고 하고요 

물론 잘못했으니까 유가족에게 금전적 보상이 돌아가야 하는건 맞죠, 그런데 그건 니들 죗값치른 다음 이야기고요 
거기서 싸게 먹으려고 딜을치냐 와.. 

 이런사태를 보면서 늘 생각하는게 왜 한국은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가 없을까 싶습니다.
도덕적인 비난이야 시간이 지나면서 옅어질태고 그 전까지 하기싫은 억지 사과라도 하면서 탱킹하면 이 바람이 지나간다고 생각하겠죠
 20대 노동자가 왜 죽었습니까 인건비 절감한다고 2인1조 근무수칙도 지키지 않았고 12시간 야간 맞교대 했죠 결국 돈벌려고 안전장치도 작동않는 위험천만한 교반기 앞에서 청춘과 생명을 갈아버린거 아닙니까

 벌써부터 이야기 나오는게 SPL과 SPC는 독립된 법인이라 허수아비 아저씨 하나 가져다 놓고 회장은 탱킹시킬 생각인가 본데 진짜 이 사회가 정의로워 지려면 돈을 뻈어야죠 
그것도 제대로 뺏어야죠 

어차피 없는법 지금 뚝딱 만들어낸다고 해도 소급적용 안될까 진짜 이 기업은 쳐 망했으면 좋겠습니다. 오너일가가 가진 주식전부 휴지조각되버리면 좋겠어요 


이 경우없는 기업의 짓거리를 모아보면

- 사망사고 발생한 그 장소에서 천으로 가리고 바로 생산 시작
- 사망사고 목격한 노동자들에게 다음날 출근강요
- 사망사고 이틀뒤에 겨우 SPC회장명의 사과
- 장례식장에 크림빵 2박스 보냄.. 
- 입관식 당일 유족에게 형사고소와 피해보상을 하지 않는 조건으로 합의금 제시 


분명한건 멍청하거나 공감할줄 모르거나 아니면 둘다인것 같습니다. 도대체 사람을 뭐로보는걸까요 그냥 쳐 망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울리히케슬러
22/10/24 23:21
수정 아이콘
사람이 아니라 기계부품으로 생각하니 이모양이죠;;
살려는드림
22/10/24 23: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욕설(벌점 4점)
재가입
22/10/25 06:08
수정 아이콘
개도 저렇게는 안할듯.....쓰레기보다 쓸모없어보여요
22/10/25 19:54
수정 아이콘
삭제된거보고 추천 누릅니다
스토리북
22/10/24 23:26
수정 아이콘
얼마 전에도 같은 일이 있어서 뉴스를 탔는데도 이러는 걸 보면,
"리스크를 감수하고라도 합의를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제시하라."는 게 통용되는 지침인가 보네요.
어강됴리
22/10/24 23:29
수정 아이콘
화섬식품노조 활동가들 이야기 들어보면 그냥 얘네들이 멍청합니다.
이런거보면 참 한국 기업하기 좋은 나라 아닌가 싶습니다 이렇게 멍청한 기업이 시장 지배적인 위치에 있으니,,
스토리북
22/10/24 23:37
수정 아이콘
대전현대프리미엄아울렛 화재로 사망했을 때도 똑같이 하더라구요. 리스크 관리에 그게 더 낫다고 생각하는 건지...
저도 얼마 전에 힘든 일이 있었는데 저런 얘기 들으면 어떤 기분이었을까 싶습니다.
화도 나고, 안타깝기도 하고 그러네요.
22/10/25 17:56
수정 아이콘
여기는 그래도 되니까요

송곳이 생각납니다
VictoryFood
22/10/24 23:30
수정 아이콘
장례식장에서 제시했음에도 거절하지 못할 정도의 큰 돈을 제시했어야죠.
한 1000억 제시했으면 합의했을 거 아닙니까.
작은대바구니만두
22/10/24 23:34
수정 아이콘
빵 보낸건 진짜...
NSpire CX II
22/10/24 23:35
수정 아이콘
지들이 사람을 사람으로 안 보니 부모도 그럴 줄 알았나
전자수도승
22/10/24 23:37
수정 아이콘
거 됐으니까 경영진들 두번 하실 필요 없고 딱 한번만 소스기계 들어간 다음 가동시켜봅시다
아마 색깔이 파란색이 나올거 같은데
22/10/24 23:38
수정 아이콘
송곳에 나온 대사였지 싶은데

"여기서는 그래도 되니까"

산업재해 사망자가 828명인데 계속 줄고 있는 추세라지만 여전히 굉장히 많다고 생각합니다. 인구비례로 영국의 10배는 더 죽는 거죠.

제대로 된 페널티가 있으면 이렇게까지 못하죠.
회사가 망할 정도로 징벌적 배상을 때리고 면피용으로 말단 실무자나 하청 회사, 자회사 사장만 처벌할 게 아니라 그룹 회장까지 감옥에 넣으면.
그냥 안전조치를 과할 정도로 해서 사람이 안 죽게 하는 게 이익으로 봐도 싸게 먹히는 거고, 높으신 분들이 감옥가기 싫으면 글로벌 선진국 기준으로 안전 제도를 완비할 거 아닙니까.

지금 제도대로면 선진국 기준처럼 개선되기 어렵죠.
징벌적 손배, 중대재해처벌법 강화 등 제도적 개선 없인 산업재해 줄어들기 힘들 겁니다.
22/10/24 23:40
수정 아이콘
“여기서는 그래도 되니까.”
“여기서는 법을 어겨도 처벌받지 않고 욕하는 사람도 없고 오히려 이득을 보는데 어느 성인군자가 굳이 안 지켜도 될 법을 지켜가며 손해를 보겠소?”

-'송곳' 중에서
22/10/25 01:00
수정 아이콘
사실 산재는 질병 사망자까지 포함해서 계산하는 게 맞다고 보고, 여전히 대강 2천 여명의 사망자가 매해 죽고 있는 셈이죠. 10년이면 2만 명.. 여기에 카운팅되지 못한 죽음도 다수 있을 거고, 무엇보다 한국은 산업재해 사망에 비해 일반 산재 비율은 다소 낮죠. 인정을 안 해주거나 회사에서 신고하는 걸 막으니까... 한국은 노동의 가치를 정말 너무 낮게 봅니다.
22/10/25 12:31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인정받지 못한 질병사망자까지 포함하면 더 많다고 봐야죠.
또 숨기기 어려운 산재 사망자 숫자에 비해 산업재해 부상 등은 최대한 신고 안 하고 회사 내에서 감추려 하니 숫자로 나오지 않을 뿐이지 훨씬 더 많을 겁니다.
22/10/24 23:4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의 경제형벌이 과도한진 모르겠지만 아무튼 과도해서 기업의 경영활동을 위축시키니 지금 있는 형벌 조항들도 완화 혹은 철폐해야 한다고 하는 정부인데 법으로는 불가능하고 남양처럼이라도 시장지배율 떡락시키는게 현실적인 방안이겠죠..
22/10/24 23:43
수정 아이콘
불매운동도 한 방법이지만 제도적, 입법 개선도 병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경우 산업재해 관련이지만.
임금체불이 극심하고 엄청나게 많은데. 실제 처벌되는 사례는 극히 일부입니다. 그마저도 늦게나마 임금을 지불하면 형사처벌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고요.
법을 어겨도 처벌받지 않고 오히려 법을 어기는 게 이득이 된다면. 법이 있어도 지킬 이유가 없죠.

있는 법을 제대로 적용하고, 법을 어겼을 경우 페널티를 강화하면서 빠져나가는 범법자가 없게 제대로 단속하며, 법을 어기는 게 더 손해이고 법을 지키고 안전을 지키는 게 더 이득이라는 걸 머리 속에 심어놔야 이런 일이 줄어들 겁니다.
22/10/25 12:31
수정 아이콘
옆나라 일본은 체납된 임금을 국가가 선지급하고 사업주에 대한 구상권을 행사하게 되죠. 제도적인 미비가 더없이 치명적이라 생각합니다.
22/10/25 12:36
수정 아이콘
[체납된 임금을 국가가 선지급하고 사업주에 대한 구상권을 행사]
좋은 제도 같네요. 다른 나라 좋은 제도는 보고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DownTeamisDown
22/10/26 00: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국의 경우에도 소액의 경우 퇴직전 3개월 이내에 한해서 일정금액을 주기는 하는데 상대적으로 범위도 적고 좀 더 주는쪽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기는 합니다.
어강됴리
22/10/24 23:43
수정 아이콘
그런데 안타까운건 대중의 [관심]이라는 자원은 굉장히 한정적이라 밤하늘의 별처럼 무수히 많은 제 구실 못하는 기업들을 일일히 응징하는데 무리가있죠.. 어떤 형식으로든 입법이 되긴 되어야 할텐데
22/10/24 23:46
수정 아이콘
그리고 특정 정당이나 정권 이야기를 떠나서, 제도적 개선, 개혁입법은 진짜 엄청나게 오래 걸리고 불가능에 가까워보일 떄가 있지만. 점진적으로 느리게나마 조금씩은 나아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불매운동 등 민간차원에서 시민운동으로 할 수 있는 것도 해야겠지만, 결국 이런 일은 제대로 된 입법과, 현행법을 제대로 적용하기 전엔 해결되지 않습니다. 법을 어기는 게 오히려 이득이고, 법을 어겨도 제대로 처벌 안 하면. 이런 일은 무조건 재발할 수밖에 없죠. 주요 선진국 중 1위 또는 상위권 산재사망 봐도 그렇고요. 노동자가 매년 1천명에 가깝게 죽는 게 더 이득이니 회사는 이렇게 해온 거죠. 이걸 막으려면 정부, 사회의 강제 개입, 즉 규제가 필요한 거고요.
22/10/24 23:52
수정 아이콘
이 기업 뉴스를 보다보면 일부러 이러는건가 의심이 갑니다. 장례식장에 팥빵 가져다 놓은건 정상적 사고로는 이해가 아예 안되더라구요.
지구돌기
22/10/24 23:53
수정 아이콘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금융치료]가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기업인 대상 형벌 조항을 없애거나 완화하려고 하는 거 같은데, 미국 수준의 [징벌적 배상제]가 도입된다는 조건이면 없애도 된다고 봅니다.
이윤이 목적인 기업에서 문제 발생 시 이윤에 심각한 타격이 온다면 알아서 잘 지키려고 하겠죠.
DownTeamisDown
22/10/25 07:39
수정 아이콘
한국의 문제는 대기업쯤 되면 총수의 이득 =/ 기업의 이득인 경우도 꽤 됩니다.
정확히 말하면 회사의 어느정도 손해까지는 회장 개인에게 영향이 없다는게 문제죠.
어설픈 수준이 아니라 혹독한 수준의 징벌적 배상제여야 유의미할텐데 그게 되냐가 문제죠.
톰슨가젤연탄구이
22/10/24 23:59
수정 아이콘
https://www.dogdrip.net/440147049
https://www.dogdrip.net/440283755
든든한 지원군들이 함께하니 든든하겠습니다.
가맹점주들의 고통을 방패로 내세우면 무료 변호사들도 대거 등판해주니 남양꼴은 안날거같네요
키비쳐
22/10/25 00:03
수정 아이콘
거 가만히 좀 있지...

아주 불난 데에 휘발유 붓고, 시너 붓고 있네요.
22/10/25 09:25
수정 아이콘
정치성향을 떠나서 사람이 좀 사람답긴 해야지
어휴 저 인두겁을 뒤집어 쓴 짐승들....
22/10/25 18:00
수정 아이콘
이런부류의 인간이 많은게 현실이고,

개인적으로 이런타입의 인간들이 세상을 가장 망치는 사람들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이런부류를 통칭해서 바보라고 부르는데, pgr에도 꽤많아요

이부류가 제일 최악인점이 뭐냐면 스스로를 객관적이고 공정하다고 생각한다는점이죠..
Extremism
22/10/25 00:04
수정 아이콘
spc는 물론이고 막노동, 안전사고가 잦은 직종들 많은 회사들이 파견업체로만 비정규직 노동자들 받고 다치면 응 우리 직원 아니야 알빠노 시전하는게 하루이틀 된 일도 아니고 이딴짓이 대놓고 몇 십년째 성행해도 국가가 경제 규모를 발전하면서 노동자 권리를 위해 정치권이 노동자 챙겨주는 시늉도 이제 안하고 사람들도 투표 때 관심이 없다는게 참...
22/10/25 00: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비속어(벌점 4점)
EurobeatMIX
22/10/25 00:10
수정 아이콘
여태까지 성공한 비결이 저거니까요
사람갈아서 성공한건데 기업이미지란걸 생각을안함 뭔가 결여되면 그렇죠
22/10/25 00:22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229003?sid=102
사망사고가 났던 동일한 공장에서 8일전 났던 끼임사고 라고 합니다
"기간제네? 기간제는 알아서 병원 가세요"
우자매순대국
22/10/25 00:25
수정 아이콘
어린딸 공장이나 보내는 부모 수준이 뻔하지 뭐. 돈 몇푼 쥐어주면 신난다고 합의해줄걸?
아마 이렇게 생각해서 한 행동이겠죠
세종대왕
22/10/25 00:28
수정 아이콘
SPC 직원들도 직접 채용 아니고 돌려서 외주업체 채용이고 이런식이라서 월급 및 년차 제도도 말 뿐이고 보상도 제대로 안하는걸로도 유명하죠.
22/10/25 00:29
수정 아이콘
정도의 차이만 있지 하청 부리면서 다른 기업들도 비슷하게 행동할게 눈에 보여서 참 슬픕니다.

기업이고 정치고 대한민국이란 나라가 어느 순간부터 잘못 큰게 아닌가 싶은데 다른 나라의 실정을 몰라 단언하기도 힘들군요...
스위치 메이커
22/10/25 00:44
수정 아이콘
그 정도의 차이라는 게 엄청 중요하죠

모두 다 그러지 않냐... 라고 하기에는 사람 죽은 공장에서 당일 나온 빵 4만개(대략 1억6000만원쯤 되겠죠?) 그대로 납품하는 건 국민적 분노를 일으키기에 모자람이 없는 사안이라고 생각합니다.
22/10/25 00:38
수정 아이콘
제시 타이밍이 진짜...
No.99 AaronJudge
22/10/25 00:41
수정 아이콘
어떻게 고르고 골라도 하필 그 타이밍을

악마가 이건 아니라면서 대성통곡하고 가겠습니다 정말로
22/10/25 00:49
수정 아이콘
리얼..악마
OilStone
22/10/25 03:33
수정 아이콘
공감능력은 제로고 상황판단도 못해서, 최대한 빨리 유족들 입막음해야 회사 이미지 망가지는 일이 더 없을 거라는 생각이었겠죠. 그래도 예전보단 오너 리스크란 게 수면 위로 올라와서 이 정도일겁니다.
No.99 AaronJudge
22/10/25 00:42
수정 아이콘
예전에 할머니 입관식때 가족 모두가 할머니와 마지막 인사하면서 펑펑 울던 기억이 오버랩되어서 순간 욱했습니다…

아니 진짜 어떻게 인두겁을 쓰고 저러지?
22/10/25 00:55
수정 아이콘
상당히 까다로운 문제입니다.

저는 일단 불매운동보다는 법이나 제도로 손해배상을 정하는 게 낫다고 생각하고. 법이나 제도를 정한다면 적절한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바람바람바람
22/10/25 05:24
수정 아이콘
일반인이 법과 제도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것도 아니고 게다가 일반인이 지금 불매운동을 하는 것은 순수한 분노의 결과물이죠.
일반인이 할수 있는건 불매 밖에 없으니까요. 게다가 일베가 응원하니 더욱 못가겠네요
22/10/25 01:02
수정 아이콘
여기서도 그렇고 종종 한국 기업하기 어려운 국가라는 프레임이 있는 것 같은데, 이런 노동자 관련 문제를 포함해 실제론 정말 전혀 그렇지 않죠. 산업재해 없는 국가가 없지만, 한국은 경제 규모 대비 산업재해 사망자가 꽤 있는 편입니다. 여전히 노동 쪽으로 법이든 문화든 부족한 게 많고요.
고오스
22/10/25 01:23
수정 아이콘
SPC야 당연히 멍멍이지만, 술먹고 한강에 혼자 빠져 죽은 의대생에게 감정이입 하던 사람들이

가난한 집에서 가장으로 일하다 꽃다운 나이에 하늘나라간 사람에겐 매정할 정도로 무관심하죠

이런거 보면 대중이라는 인간들에 대해 회의감이 느껴집니다
프로 약쟁이
22/10/25 03:08
수정 아이콘
저는 산업재해 사망으로 이정도까지 관심받을 수 있다는 게 다행이라 봅니다.
성별, 나이, 스토리가 있고 SPC가 악덕기업이란 이미지가 있어서 그렇다고 보고요.
예전에 지하철 스크린 도어 끼어 사망한 근로자처럼 뭔가 스토리가 있으니까 이정도 사회적 관심을 받는 거지
평균적으로 매일 최소 2명씩 발생하는 산업재해 사망자 대부분이 1줄짜리 뉴스 자막으로도 못나오는 경우가 더 많을 거라 봅니다.
고오스
22/10/25 11:15
수정 아이콘
옙 묻히는 것 보단 조명이 되어야 유가족에게 조금이라도 피해보상이 커지겠죠 ㅠ
22/10/25 06:40
수정 아이콘
같은날 안성에서는 건설현장 추락사고로 3명이죽고 5명이 큰부상 당했는데 아무도 몰라요
그냥 그런가 보다 해야할듯
22/10/25 08:55
수정 아이콘
이 정도면 엄청 관심 받고 있는 겁니다. 산재 사망자가 1년에 800명 정도 되고, 군대 사망자가 1년에 200명인데요. 산재 사망자 중 40%가 60대 이상인데 해당 사건을 뉴스에서 본 기억이 없네요.
고오스
22/10/25 09:13
수정 아이콘
이번 사건은 spc가 수십년간 쌓아올린 비호감이 터져서 그나마 주목받는거고

술 먹고 혼자 죽은 의대생에겐 감정이입 하는 사람들이 그리 많더군요

씁쓸합니다
Quarterback
22/10/25 09:10
수정 아이콘
원래 그 정도 수준 밖에 안됩니다. 전 기대조차 별로 없네요.
고오스
22/10/25 09:13
수정 아이콘
옙 저도 기대를 더 꺼야 겠습니다
닐리리야
22/10/25 10:46
수정 아이콘
의대생사건은 그 부친이 블로그를 활용해서 공론화를 잘 시킨게 영향이 컸죠.
니하트
22/10/25 15:10
수정 아이콘
그분은 진짜 그 좋은 머리로 언플을 그렇게 때리셔갖고는.......
22/10/25 18:02
수정 아이콘
원래 대중은 그래요
22/10/27 12:49
수정 아이콘
의대생 사건은 왜 죽었는지가 궁금한 미스터리 사건이겠죠.
술 먹고 죽었나, 아니면 친구가 죽었나 등등 이번 사건과 좀 다릅니다.
고오스
22/10/27 13:03
수정 아이콘
아직도 친구가 죽였다고 믿는 사람이 문제있는거죠

그리고 의대생 사건 때 저기 자식처럼 감정이입하고 현장 찾아가고 하는 사람들이 꽤 있었죠
22/10/27 15:12
수정 아이콘
그런면은 있죠 좋아보이는 것과 동류이고 싶은게 인간인지라...
앵글로색슨족
22/10/25 01:45
수정 아이콘
눈물나네요 저 부모마음 생각하면
22/10/25 02:44
수정 아이콘
이 일이 일어난 이후 소위 "수습"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몇 차례나 있었다 생각합니다.
정확히는 피해는 불가피하나 어느 정도 선에서 마무리 되는 방법 말이죠.
그런데 그 모든 걸 피해서 이런 악수만 취하는 것을 보고 제 마음 속에서 완전히 OUT 됐습니다.
프로 약쟁이
22/10/25 03:03
수정 아이콘
나의 행동이 타인에게 어떻게 생각될지 생각을 안하는 걸까요 못하는 걸까요, 저 위치에 서면 사고방식이 저렇게 굳어지는 걸까요?
크림빵 놓고 간 사람이나 입관식에 그런 행동을 한 사람이나 위에서 시키니까 한 거겠지만...
22/10/25 03:20
수정 아이콘
- 사망사고 발생한 그 장소에서 천으로 가리고 바로 생산 시작
- 사망사고 목격한 노동자들에게 다음날 출근강요
- 사망사고 이틀뒤에 겨우 SPC회장명의 사과
- 장례식장에 크림빵 2박스 보냄..

저는 여기까지는 그러려니 했습니다. 회사가 직원 부품으로 보는 게 한두번도 아니고.
흔한 코리아 스타일이잖아요.
그래서 불매도 할 생각 없었어요.

- 입관식 당일 유족에게 형사고소와 피해보상을 하지 않는 조건으로 합의금 제시

근데 이걸 한다고? 어메이징하네요.
22/10/25 03:33
수정 아이콘
우리집에서는 거의 영구퇴출됐습니다.
22/10/25 03:47
수정 아이콘
남양을 위협하는 기업이 나타났네요.
-안군-
22/10/25 04:00
수정 아이콘
솔직히 중대재해처벌법이든, 화이트컬러 범죄 처벌 강화든 다 필요없으니 징벌적 손배제만 제대로 나와주면 좋겠습니다.
SPC 경영진들 싹다 감방에 쳐넣어봐야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 유가족들에게 제대로 된 보상이 돌아가지 않는다면, 그냥 분풀이밖에 더 됩니까?
그리고 불매운동도 좋습니다만, 이런 일이 터졌을때 왜 국민들이 나서서 사적제제(?)를 가해야 하는거죠? 법으로 해야죠.

징벌적 손배법이 제대로 입법만 되면, 그다음부터는 이런 사건 생길때마다 로펌들이 먼저 유가족들에게 달려가서 소송 맡겨달라고 할겁니다.
한 10먹 토해내게 만들테니 10%만 수임료로 달라고 하면 그다음부터는 법 전문가들이 알아서 가해자의 골수까지 뽑아다가 바치겠죠.
미국이 부러운게 딱 하나 있다면, 징벌적 손배제입니다. 그때문에 경제 정의가 지켜지고 있다고 보거든요.
manymaster
22/10/25 06:49
수정 아이콘
징벌적 손배재 대체로 동의합니다.
다만 저는 단순 몇배, 몇배로 배상하는 대신, 저런 식으로 생산된 생산품 자체가 '장물'과 유사하다고 보고, 소비자에 대한 배상 책임도 지웠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알고 산 거면 원래 그 소비자가 받았어야 할 배상책임은 노동자에게 가야하고요.
언제까지 저런 '장물'을 소비자가 일일이 알아보고 사야되는지...
22/10/25 04: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일반 게시물에서 정치적 분란을 유도할 수 있는 표현은 제재 대상입니다(벌점 4점)
manymaster
22/10/25 06:26
수정 아이콘
저도 댓글로 할 말이 있었는데 다시 보니 일반 탭이네요.
따로 글 파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트윈스
22/10/25 08:16
수정 아이콘
아오 좀 정치탭에서 노세요.
22/10/25 08:48
수정 아이콘
대통령+180석이 있을 때가 6개월도 안되었군요.
22/10/25 04:51
수정 아이콘
아무리 봐도 경영진중에 싸패들이 있는듯
임전즉퇴
22/10/25 06: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빵에는 단팥빵도 있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무슨 문제인가요 어디 나와있나요라고 물어온다면 다투고 싶지 않습니다.
다만 진실로 SPC 편을 드는 사람이라면 속으로는 문제없는 게 아니라 운영실력에 유감이 있어야 맞을 겁니다.
문화적 맥락까지 파악했지만 상관없다면 SPC 편이 아니고 그냥 노동자이고 싶지 않은 것이겠죠. 차라리 SPC 팬이 낫습니다.
22/10/25 07:12
수정 아이콘
불매운동이라도 해야겠네요. 햄버거 끊지 뭐 흑흑..
로드바이크
22/10/25 07:21
수정 아이콘
- 사망사고 발생한 그 장소에서 천으로 가리고 바로 생산 시작 [얼마나 있다가 생산 가능?]
- 사망사고 목격한 노동자들에게 다음날 출근강요 [언제부터 출근? 쉬라고 하고 무급 휴가?]
- 사망사고 이틀뒤에 겨우 SPC회장명의 사과 [겨우? 그러면 누구 명의로 사과가 필요?]
- 장례식장에 크림빵 2박스 보냄.. [아마 회사복지차원에서 그런 제도가 있지않을지? C제과 관련 장례식에 과자를 박스로 보내던데]
- 입관식 당일 유족에게 형사고소와 피해보상을 하지 않는 조건으로 합의금 제시 [시기의 적절성? 늦어지면 회사가 책임을 회피하고 합의할 생각도 없다고 비난하지 않았을지?]

흔히 데모하는 현장에서 볼 수 있는 자극적인 어휘들로 되어 있는데 답이 있는 문제인지 궁금하네요
무슨일 있으면 항상 이야기하는게 [책임있는 사과]를 원한다고하는데 책임있는 사과는 과연 무엇일까요
VictoryFood
22/10/25 07:50
수정 아이콘
1. 당일 공장 영업 중단
2. 일주일간 휴가 중 심리상담
3. 이건 정상적이죠
4. 회사복지는 일반적인 장례식일 때나 하는 거죠
5. 이건 시기보다 금액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합의금으로 천억 부르면 대부분 진정성 있는 사과라고 생각하죠.
스물다섯대째뺨
22/10/25 08:03
수정 아이콘
3번은 사과타이밍보다는 사과하면서 웅얼웅얼 잘안들리게 한데다가(다음 사람발언은 잘들림) 기자들 질문 항의 싹 씹고 웅얼웅얼만 거리다가 끝난게 문제죠.
로드바이크
22/10/25 12:03
수정 아이콘
5번이 좀 애매하고 이해하기 어려운데요. 그럼 사과=돈 인가요?
jjohny=쿠마
22/10/25 12:17
수정 아이콘
사과는 기본적으로 진심이고 성의인데,

SPC 정도 되는 대기업이 진심과 성의를 표현하기 가장 좋은 수단이 '충분한 돈'이라는 얘기죠.

그 외에 다른 방식으로 진심과 성의를 표현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하면 됩니다.

현실에서의 SPC는 그 진심과 성의를 표현하는 걸 실패한 거고요.
VictoryFood
22/10/25 14:08
수정 아이콘
돈으로 맺어진 관계에서의 사과는 돈이죠.
회사와 노동자는 서로 돈을 위해서 계약을 했고 사고가 난 것도 돈을 좀 아껴보겠다고 사고가 난 거잖아요.

친구 사이에 우정을 배신했을 때 돈으로 사과하면 돈이면 다냐 되겠지만
노사 사이에 돈을 배신했으면 말로 사과하면 말로 때우냐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돈 때문에 일어난 사건사고에서의 사과는 무조건 돈으로 해야 합니다.
로드바이크
22/10/25 14:20
수정 아이콘
일리가 있네요.
도라지
22/10/25 08:12
수정 아이콘
적어도 장례식장에 경황없을때 나타나서 합의할려고 하는 짓은 책임있는 사과는 아닌걸로 보여요.
manymaster
22/10/25 08:17
수정 아이콘
사망사고가 발생했으면 그 원인부터 조사해서 그런 일이 안 일어나도록 조치하는 것이 우선인데, 그 조사 중에 생산을 하고 있으면 조사를 하기 위한 흔적이 제대로 남아 있을 수가 없죠. 사고가 발생해서 경찰이 개입하면 폴리스 라인 치는 것과 똑같은 겁니다.
러닝의전설
22/10/25 08:21
수정 아이콘
사과는 사과 내용보다는 너무 억지로 한다는 티가 나는거라 문제였습니다. 좋은 사과의 예시로 삼성 이재용이 있는데 거기의 1%도 진심이 안느껴집니다.

크림빵을 보낸 것도 문제지만 단팥빵을 보내는건 예의에 맞지 않는행동이고, (귀신을 쫓는 풍습상) 그래서 다들 재고 털이냐? 라고 말한겁니다.

장례식장에 합의금 제시는 일반적으로는 저어얼대 하는일은 아닙니다. 시기의 적절성은 장례가 끝나고 난뒤에 해도 비난이 없었을거예요..
라 레알
22/10/25 08:53
수정 아이콘
답 없는 문제입니다. 언급하신 행위 자체보다는 그 행위로 인해 기분이 나빴다는 것이 문제이기 때문인데요. 상대방의 기분이 나쁘지 않게 행동의 수위를 조절하거나, 설사 똑같은 행위를 하더라도 기분이 안 나쁘게, 덜 나쁘게 할 수도 있는데, 그건 어떤 기준을 정할 수 있거나 누가 쉽게 글 몇 줄로 가르쳐 줄 수 있는 건 아니죠.
로드바이크
22/10/25 11:58
수정 아이콘
동감합니다.
노련한곰탱이
22/10/25 08:58
수정 아이콘
1. 중대재해시 작업정지권은 모든 노동자에게 법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 작업재개는 최소 전문가가 모든 위험요소가 사라졌다고 판단이 되었을 때 가능한거구요.

2. 위 항으로 갈음. 동료 직원의 사망으로 정신적 충격을 받은 직원들이 어느정도 안정될때까지는 휴가 줘야죠.

3. 최소한 즉각적인 사과와 동시에 법적 처벌 다 받겠다고 밝히고 피해유족들에 대한 보상은 어떻게 할지 그리고 재발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실행안이 있어야 하는데 아무것도 없는 말잔치 뿐이네요?

4. 빵 줄수는 있는데 최소한 유족에게 의사는 물어봤어야죠? 지들도 욕쳐먹을 건 아는데 뭔가 회사 프로토콜이긴 하니 그냥 던져놓고 간거겠죠?

5. 아니 당연히 장례는 치르고 해야죠;; 사회 생활 안해보셨어요? 상중에 누가 와서 일 얘기만 해도 피꺼솟인데 가해자 입장인 인간들이 상중에? 상중에는 그냥 납작 엎드리고 원하시는 때에 저희가 자리 마련해서 배상 등등 말씀드릴테니 언제든 말씀 주시라… 이게 정상 아니에요?????

그럼 회사의 손실은 어쩌냐구요? 그럼 최소한 사망사고는 안 나게 조치를 했어야죠. 이게 회사가 뭘 다 하고 운이 없어서 일어난 사곱니까?

최소한 저 비용을 다 치루는게 덜 손해일 정도의 징벌적 배상이나 법적 처벌이 있어야 정상인 사회인데 그게 아니니 불매로 아주 쳐맞아야죠.
레드불
22/10/25 09:54
수정 아이콘
혼자 답을 못내리신 거면서 [데모하는 현장에서 볼 수 있는 자극적인 어휘]라는 자극적인 어휘를 사용하시다뇨..
소독용 에탄올
22/10/25 10:58
수정 아이콘
답은 내렸지만 욕을 같이 드시긴 싫으신거 아닐까 합니다.....
황제의마린
22/10/25 10: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회원 대상 공격적 표현(벌점 4점)
로드바이크
22/10/25 12:06
수정 아이콘
과격하시네요. 화가 잔뜩 나셨구요? 인신공격하신거예요.
22/10/25 15:03
수정 아이콘
이게 가장 놀라운 댓글이네요. 타인의 비극에는 감정 하나 없는 빈카운터마냥 따지다가 본인이 인신공격을 당했다고 생각하니 바로 감정을 드러내네요.
니하트
22/10/25 15:16
수정 아이콘
컨셉이시죠..?
스파이도그
22/10/25 10:52
수정 아이콘
인간인가...
로피탈
22/10/25 10: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회원 대상 비아냥(벌점 4점)
Brandon Ingram
22/10/25 11:41
수정 아이콘
인간이라 죄송합니다.
그럴수도있어
22/10/25 13:14
수정 아이콘
이런 생각을 하시는게 조금 무섭습니다.
키르히아이스
22/10/25 14:25
수정 아이콘
1. 사체 수습과 안전점검이 기본 아닙니까? 같은 기계 같은 공정인데 이걸 그대로 돌림?
2. 옆자리에서 일하던 동료사망 목격했는데 그일을 바로 시켜요? 근로자를 사람으로 보긴 합니까?
3. 이건 뭐 넘어간다 치고
4. 단순히 사망한게 아니라 생산도중 산재죠. 그 생산물을 보낸다는게 조롱으로 느껴지지 않는다면
진지하게 병원 내원하셔서 상담받아 보십쇼.
5. 이것도 상동이군요. 장례식장은 고인을 추모하고 유가족을 위로 하는 행사죠. 그 자리는 사과가 필요한 자리지 돈부터 들이밀라고 있는 자리가 아닙니다.
키르히아이스
22/10/25 14:26
수정 아이콘
본인이 남들보다 냉철하고 이성적이어서 우매한 비이성적인 대중들을 지적하고 싶은 마음이라면
세상은 그걸 중2병 이라 부릅니다. 본인 언행을 잘 고찰해 보시죠.
22/10/25 14:40
수정 아이콘
쿨찐이신가요
22/10/25 16:27
수정 아이콘
세상에 정답이 있는 문제는 적어도 오답이 확실한 문제는 많죠. 이것도 똑같아요. 정답이 뭔지 야 각각 다른데 오답이 뭔지는 확실하죠.

질문을 어떻게 해야 하지? 가 아니고 뭘 하면 안되지? 로 바꿔서 해보면 보통 중간은 갈 수 있습니다.
22/10/25 18:00
수정 아이콘
흔히들 펜의 힘이 칼보다 세다고들 하죠.
본인이 작성한 글을 유족에게 가서 그대로 읊어본다고 생각해보세요. 과연 할 수 있는지...
-안군-
22/10/25 22:41
수정 아이콘
그래서 누가 공순이 하라고 칼들고 협박했음? 꼬우면 너도 사장하든가.
딱 이렇게 읽히네요. 뭐.. 네.. 존중합니다.
22/10/25 07:23
수정 아이콘
어마어마하네요 크크크
Grateful Days~
22/10/25 07:48
수정 아이콘
일부러 어그로끌려고 저러는건지 의심스러울정도.,
Your Star
22/10/25 08:21
수정 아이콘
사람이 죽었는데 그걸 가지고 장난으로 아는 녀석들
아드리아닠
22/10/25 08:46
수정 아이콘
불매운동말고 법과 제도 개선으로 해결하라고 하는 건 말은 참 좋은데 그 말하는 본인들 솔직히 입법이나 제도 정비에 정말 관심이 있는지,, 남성 노동자들이 사상당할때도 별 관심없었으면서 뭐 옆에서 성별 뭐라뭐라하면서 투덜대지 좀 말았으면..
abc초콜릿
22/10/25 08:53
수정 아이콘
징벌적 손배는 어디까지나 정부가 개입을 안 하고 냅두는 자유주의적인 영미에서나 통할 얘기고 거기서도 부작용 엄청 심각한데 차라리 저렇게 당한 사람은 가해자를 죽여도 된다는 복수법을 제정하는 게 낫죠.
말도 안 되는 소리고 나라가 안전기준을 확실히 세우고 똑바로 감시한다면 애당초 이런 일이 안 납니다. 징벌적 손배제 하면 오히려 저런 사람들이야말로 제1의 피해자가 될 건 명확한데 미국에서도 말 많은 거 들여오자는 거 보면 한국인 종특 자체가 어디서 안 좋은 것만 들여오는 DNA가 있나 싶고
22/10/25 09:25
수정 아이콘
유감스럽게도(혹은 다행스럽게도), ‘어디서 안 좋은 것만 들여오는 DNA’는 한국만의 종특은 아닙니다. 다른 대륙법 국가에서도 징벌적 손해배상이란 개념 자체에 대해서는 완전히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1900년 시행된 독일 민법에서 처벌이라고 하는 요소가 배제되면서 징벌배상은 독일의 법체계와는 부합하지 않는 제도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2006년 독일 법률가대회(Deutscher Juristentag)에서도 징벌배상이 논의된 것에 알 수 있듯이 징벌배상에 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 위자료, 인격권 침해, 차별금지 등 일부 영역에서 독일법상 전통적인 전보배상이라고 보기 어려운 손해배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이미 독일법 체계 내에서 위법행위자에 대한 처벌과 위법행위의 억지를 의도한 손해배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2005년 Pierre Catala 교수를 중심으로 34명의 민법 교수들이 프랑스 민법 제정 200주년을 기념하여 만든 채권법 개정시안이 법무부에 제 출되었는데, 징벌배상제도의 도입도 포함되었다. … 그러나 개정시안에 대해서는 경제계를 비롯하여 법조실무와 학계에서 많은 반대가 있었고, 따라서 일반론적 도입을 예정한 징벌배상에 대한 입법에 관한 논의 는 줄어들 전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환경법 분야 등 개별 법 영역에서는 악성이 높은 위법행위자를 처벌함으로써 유사 행위를 억제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 징벌배상의 도입이 주장되고 있고, 논의도 계속 지속될 전망이다.

http://www.kca.go.kr/repo/handle/2015.oak/85
22/10/25 09:02
수정 아이콘
크림빵 두 박스는 볼 때마다 치가 떨리네요. 나머지야 이윤 극대화라 치더라도 이건 선 넘은 거 아닌가...
Emas Parker
22/10/25 09:21
수정 아이콘
이 세상 진리지만 물 빠지면 드러납니다. 뭐든..
냉이만세
22/10/25 09:24
수정 아이콘
정말 이 회사는 실망의 연속입니다.
얼마나 일하는 직원들을 아니 직원이라고 생각을 하는지도 의심스럽습니다.
그냥 쓰다가 망가지면 버리는 도구 정도로 생각하는게 너무나도 보여서 진짜 너무 화가 납니다.
셧더도어
22/10/25 09:32
수정 아이콘
이번 사건의 결과가 궁금해지네요.
스띠네
22/10/25 09:46
수정 아이콘
이 기업은 룰상 '법인'으로 취급합니다
그런 재정이에욧
율리우스 카이사르
22/10/25 09:50
수정 아이콘
그냥 모든 언론접촉과 대회활동을 쌩까고 조용히 한채로 김앤장하고 제일기획같은데다가 컨설팅 받아서 대처하는게 좋을텐데.. ..

이게 뭐하는짓인지.. 이러다 정말 SPC 망하겠네요.. 남양 때보다 더한듯.
22/10/25 09:57
수정 아이콘
원래 급작스런 위기상황에 냉철하게 판단하고 행동하는게 쉽지 않죠. 돌아가는 꼴이 여럿 거리에 나앉거나 한강갈 삘인데 무사히 잘 헤쳐나가시길 바랄뿐.
율리우스 카이사르
22/10/25 10:23
수정 아이콘
초등 저학년 우리아들이 이제 포켓몬 빵 안사줘도 된다고 SPC나쁘다고 하는걸 보고 깜놀함.. 분위기가 심상치 않아요..
22/10/25 09:55
수정 아이콘
이런 것 하나하나가 젊은 부부들이 사회에 실망하고 이런 사회에 아이를 낳을 수는 없겠구나 하는 생각에 일조한다고 보여집니다.
청춘불패
22/10/25 10:06
수정 아이콘
아이때문에 포켓몬빵은 구입하겠지만
베라랑 파빠는 얼씬도 안해야겠네요
이런 쓰레기같은 기업
닐리리야
22/10/25 10:49
수정 아이콘
아이가 몇 살인지는 모르겠는데 말을 이해할 수 있다면 사지 않도록 가르치세요. 그게 교육입니다. 그 빵에 사람의 피와 눈물이 들어있다는 것을 가르쳐주세요. 그게 부모이십니다.

위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님 아들같은 반응이 나오도록요.
-안군-
22/10/25 15:07
수정 아이콘
아이들일수록 이런 사건이 괴담 형태로 변형돼서 잘 퍼집니다. "SPC 빵에는 사람 시체가 갈려들어가있대." 뭐 이런식이요.
율리우스 카이사르
22/10/25 16:42
수정 아이콘
뭐 제 아들은 그런느낌은 아니고 학원 선생님과 친구들과 이야기한거 같더라고요… 띠부실 많이 모아놨다고 더 안사도 된데요
황제의마린
22/10/25 10:21
수정 아이콘
사탄은 도대체 헬조선에서 몇번을 패하는걸까..
StayAway
22/10/25 10:40
수정 아이콘
저게 그나마 말이 되려면 회장 혹은 사장급이 직접가서 어마어마한 액수를 제시했어야..
비뢰신
22/10/25 10:48
수정 아이콘
쓰레기 기업이란거 알았지만 진짜 파도 파도 괴담만
스위치 메이커
22/10/25 11:05
수정 아이콘
불매운동이 감정적일 수 있는데 그건 SPC가 수습을 더럽게 못해서 그런거죠.

솔직히 기회가 없었냐 하면 그것도 아닌데...
고오스
22/10/25 11:16
수정 아이콘
남양하고 하는 행태가 똑같죠

스스로의 연속된 삽질로 호미로 막을걸 가래로도 못막고 있으니까요
22/10/25 11:06
수정 아이콘
굳이 따지면 비슷한 산업군이랑 비교하는게 맞고 이런 부분에선 독일을 참고하는게 여러 면에서 도움이 되죠.
정부가 관리감독할 의지가 있기만하면 법령을 안 바꿔도 참사는 막을텐데 아쉽습니다
22/10/25 11:28
수정 아이콘
우리 나라 노동법은 꽤 빡빡한 수준은 맞죠. 현실이 괴리되었을 뿐...
22/10/25 11: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국의 노동법이 빡빡한(것이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이유 중 하나는, 노동자의 권리 중 가장 강력한 파업권이 극도로 제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단적으로 주요 선진국중 헌법 상에서 단순파업에 따른 업무방해죄를 인정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처벌하는 곳은 한국이 거의 유일합니다.

https://amnesty.or.kr/14961/
22/10/25 11:37
수정 아이콘
SPC 그동안 행태보면 남양처럼 기업이미지 추락해서 망해봐야 정신을 차릴까 말까 할겁니다. 그남양도 하는 짓보며느그대로지만
Dr.Strange
22/10/25 12:01
수정 아이콘
해외 수출 짱짱한 기업도 아니고 서민하고 상생하는 것도 아니고 자사 직원/계약인들 존중하는 것도 아니면 대체 저 기업은 우리나라에 무슨 효용이 있는 걸까요 크크 포켓몬 라이선스비 갖다 바치는 거?
탑클라우드
22/10/25 12:32
수정 아이콘
10년도 넘게 예전에 컨설턴트로 이 회사에서 프로젝트 한 적이 있는데, 이 회사 상상 이상입니다.
도대체 이런 회사에서 어떻게 파리바게트라는 (당시에는) 센스있는 네이밍이 가능했는지,
이후로도 꽤나 매력적인 브랜드들이 꾸준히 런칭되는지 당황스럽더라구요.

회사 문화나 주요 의사결정권자들의 혜안은... 그냥 답이 없는 수준이었다고 기억합니다.
22/10/27 12:47
수정 아이콘
파리바게트 매장 90년대 초반? 쯤 부터 열고 있던 친구 집도 그러더라고요.
내부에서 자료 오는 거 보면 기본적인 컴퓨터 프로그램도 잘 못 다룬다고. 근데 또 장사는 잘 됨.
22/10/25 13:05
수정 아이콘
최소한의 예의범절을 안다면 입관식때 합의시도는 하지 않아요.
빵가져다 준거 저희가 정말 잘몰라서 그랬습니다. 죄송합니다 하면 아아아아아주 쪼오오오오그으으음은 이해 할 수는 있어요.
공장라인 돌린거 가맹점주를 생각해서 정말 짧은 생각으로 그랬습니다.죄송합니다 하면 언론에서 마사지 해줄수는 있어요.

근데 저가 상주로 있는곳에서 입관식에서 저런 행동을 했다?
관뚜껑으로 머리 찍어버립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22/10/25 13:44
수정 아이콘
저도 기업 노동자 입장 양쪽을 생각하려고 해서. 그리고 파바 베라 등 가맹점주등을 생각해서... 왠만하면... SPC 가 적당히 사과잘하고 보상금 잘 지급하고 향후대책 잘세우고 넘어갈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 ;; ;진짜 입관식에서 그런건.... 그 기업문화가 보여서.. 걍 오너가 까라면 까는 문화니.. 담당자가 그런 무리수를 둔거겠죠.. .. 좀 세게 망할듯..
22/10/25 13:4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상치룬 경험으로는 제일 힘든게 입관할때 그 다음이 화장할때 하관할때였죠.
정말 관뚜껑으로 머리 찍어버리죠.
쪼아저씨
22/10/25 13:46
수정 아이콘
 경우없는 기업의 짓거리를 하나더 보태자면,
- 시신 수습을 동료직원들 한테 시킴.

피투성이가 된 동료의 시체 수습을 저한테 시킨다면 전 그냥 바로 퇴사 할 것 같습니다.
22/10/25 14:48
수정 아이콘
인간 아니죠. 애당초 거부 가능한 일이겠구요.
22/10/25 19:23
수정 아이콘
그만둘 생각이면 거부가능이지만
그걸 보통 거부가능이라고 표현하진 않죠
22/10/25 14:26
수정 아이콘
그냥 식품업계 전반적인 문제 아닐런지 싶네요
22/10/25 14:48
수정 아이콘
안 그런 곳 많습니다.
쿵술사
22/10/25 14:28
수정 아이콘
사고 때는 그래도 지켜봐야지 하는 입장이었는데... 대응에 실망이 큽니다.
22/10/25 15:3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꽤나 상장례 문화에 예민한 민족입니다. 다른 곳도 아니고 빵 만드는 공장에서 사망한 유가족에게 장례식장에 답례품으로 빵을 갖고 왔다는 건 기본 상식에서 많이 벗어난 행동이죠.
이 사건이 기존의 청년 근로자의 사망과 다르게 국민들이 공분하느건 한국인이 갖고있는 특유의 장례문화와 예를 거스르는 SPC의 행동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코인언제올라요?
22/10/25 16:56
수정 아이콘
충분한 사과와 보상, 그리고 방지 대책
말은 쉽지만 어렵긴 한가봅니다.
깔롱이
22/10/25 18:24
수정 아이콘
Spc 문닫는거 보고 싶네요
좋구먼
22/10/25 19:12
수정 아이콘
정신 차릴리 있겠어요?
포켓몬 빵 여전히 줄서서 사더만....
천연딸기쨈
22/10/26 16:37
수정 아이콘
멍청한 거랑 공감 못하는 거랑은 같은거라고 봅니다.
재벌 경영권자들이 특출나게 능력이 좋은 것도 아닌데, 일반 상식이나 민심을 모르는 경우가 많아 보이거든요.
땅콩 회항 때도 그렇고...
상식적이지 못한 사람이 경영자로 앉아있으니, 생산이고 마케팅이고 위기극복이고 간에 될리가 없을 것 같아요.
Capernaum
22/10/27 14:28
수정 아이콘
SPC 폐업 시켜요..

사업도 사람이 하는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356 [일반] 세종시의 출산율과 한국의 미래 [156] darkhero18971 22/12/08 18971 19
97342 [정치] 유승민 경멸하지만 대선 최종경선 때 유승민 찍은 이유 [100] darkhero19116 22/12/07 19116 0
97315 [일반] AGF 2022 토요일 후기 [12] 그때가언제라도8495 22/12/04 8495 8
97271 [일반] [방산] 폴란드 고객님은 왜 납기에 목을 매는가 [15] 어강됴리13962 22/11/29 13962 12
97255 [일반] 배달도시락 1년 후기 [77] 소시23928 22/11/27 23928 132
97233 [일반] 토끼춤과 셔플 [14] 맨발11581 22/11/24 11581 15
97100 [일반] [바둑] 왜 바둑은 남자기사가 여자기사보다 더 강한가? [152] 물맛이좋아요24049 22/11/05 24049 77
97083 [일반] 전화번호부와 카카오톡 친구목록을 정리한 이야기 [8] 지대호13556 22/11/03 13556 13
97057 [일반] 살아남은 행운의 공포 [98] lexicon18120 22/11/02 18120 39
97004 [일반] [단독]10만명 몰린 이태원 ‘핼러윈 파티' 사망 153명 부상자 103명 [511] 카루오스62702 22/10/29 62702 1
96957 [일반] SPC는 진짜 사람이 아니네요 [150] 어강됴리23411 22/10/24 23411 59
96854 [일반] 통신3사: 20대 30대 남성들이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고 있어 굉장히 심각한 상황이다 [275] 별가느게29770 22/10/12 29770 10
96814 [정치] 이준석이 SNS 끊기 vs 조국이 SNS 끊기 뭐가 더 어렵다고 생각하시나요? [125] 아수날17413 22/10/07 17413 0
96672 [일반] 퐁퐁론과 성엄숙주의 [396] kien.22444 22/09/25 22444 19
96622 [정치] 대통령 지지율은 정말 호조세? [39] 유시민24842 22/09/21 24842 0
96607 [일반] [역사] 일제 고등문관시험 행정과 조선인 합격자들 [10] comet2113306 22/09/20 13306 26
96603 [정치] 尹 지지율, 두달만에 30%대로 회복 ‘이재명의 민주당’ 지지율 하락세 [한국갤럽] [105] 아수날19690 22/09/19 19690 0
96597 [일반] 40대 후반 달리기 [32] cloudy12546 22/09/19 12546 2
96590 [일반] '길을 뚫다': 아즈텍 멸망사 하편 [24] Farce23602 22/09/17 23602 45
96588 [일반] 점점 미드속 마약밀수와 이야기들이 현실이 되어가는중 [70] League of Legend18290 22/09/17 18290 3
96540 [일반] 정통 판타지 감성 노래 모음 [20] 라쇼12300 22/09/07 12300 8
96447 [일반] 넷에서 돌고 있는 한국 출산률에 대한 PIIE 보고서 [284] 류지나21355 22/08/27 21355 12
96431 [일반] [역사] 이북에 두고 온 인연, 이북에서 되찾아온 인연 [3] comet219903 22/08/25 9903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