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24 13:47:39
Name 어강됴리
Subject [정치] 아마 최초로 인도계 영국총리를 보게될것 같습니다.
이미지


양상추와 대결에서 장렬하게 패배한 리즈 트러스 총리 후임으로 직전 총리이던 보리스 존슨이 논의되었지만
사임 세달만에 다시 복귀하는것은 옳지않다며 출마를 포기 이미 리즈 트러스 총리와 결선에서 붙었던 리시 수낵 전 재무장관의 차기 총리직이 유력해 보입니다.

 보리스 존슨 총리의 사임을 불러운 파티게이트 사건때 가장 앞장서서 총대를메고 재무장관직을 던진전적이 있던지라 보수당 일부 당원사이에서는 배신자 이미지가 있기도 하고 아마 최초의 비-앵글로색슨 총리를 영국인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하긴 했는데 
 당내 유력경쟁자들이 모두 사라져서 이제 총리직이 눈앞에 있군요 

1980년생으로 전임 리즈 트러스 총리보다 5살 젋고 양친은 동아프리카에서 이주한 인도계 2세입니다. 
3선의원이며 보리스 존슨 내각시절에 재무차관 재무장관을 역임했군요 

이미 파운드화 환율은 폭망했고 보수당에 대한 민심도 바닥을 기는지라 앞으로 여정이 수월할것 같지는 않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0/24 13:50
수정 아이콘
해외 정치인들이 젊긴하네요 확실히 80년생이라니
한방에발할라
22/10/24 14:00
수정 아이콘
파운드화 폭망이라는데 왜 원화 파운드는 아직도 1600원대....ㅠㅠ
국수말은나라
22/10/24 16:39
수정 아이콘
한때 1500원 후반도 있었지만 원래는 1900원대였었죠 1 파운드 2달러가 기조인지라
22/10/24 14:01
수정 아이콘
제가 80년대 생이라 충격이네요. 이제 제 또레 세대에서 국가지도자가 나오는군요....
서쪽으로가자
22/10/24 14:11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 어린 국가지도자가 꽤 되긴 한데,
소위 주요국(?) 중에는 가장 어린편이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https://en.wikipedia.org/wiki/Lists_of_state_leaders_by_age#Youngest_serving_state_leaders
22/10/24 14:29
수정 아이콘
윗동네에 이미 한 사람 있기는 했네요. 크크크. 그런데 정상적이면서 제법 체급되는 국가는 처음이라 놀랬나봐요.
나는바보다
22/10/24 14:54
수정 아이콘
엌크크크크 코앞에 한명 있었군요...
됍늅이
22/10/24 15:38
수정 아이콘
정상국가 여부가 중요한 게 아니라 혈통이 권력을 부여해주는 거랑 동료 정치인들이 밀어줘서 권력이 생기는 거랑은 나이와 경력 필요성이 전혀 다르죠. 빈살만도 85년생입니다. 뭐 사우디도 기준에 따라 비정상일 수도 있겠으나..
어강됴리
22/10/24 14:13
수정 아이콘
오스트리아의 전임 총리 제바스티안 쿠르츠는 86년생
뉴질랜드의 저신다 아던 총리는 80년생 입니다.

이미 나왔습니다.
22/10/24 14:50
수정 아이콘
오스트리아에 엄청 젊은 총리 나왔다는 기사를 봤을 때는 안 그랬는데
이번에 영국 총리가 80년 생이라니 좀 기분이 다르네요.
이제는 점점 기성세대가 확실하구나 싶습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2/10/24 14:25
수정 아이콘
사실 우리가 오래 전부터 익히 알고 있는 김정은부터가 84년생이라...
22/10/24 14:04
수정 아이콘
보리스가 말은 그럴싸하게 했지만 결국 출마에 필요한 100명 의원 지지를 막판까지 못받아냈다는 게 정설이고… 길게 보면 배신자 이미지보다(존슨이랑은 갈라서는 게 맞죠) 이중국적 절세 논란이 더 클 것 같긴 한데, 뭐 보수당에 이만한 사람도 찾아보기 어려우니 그나마 최선의 선택일 것 같네요.
계층방정
22/10/24 14: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 이미지는 크롬이나 엣지에서는 바로 보이는데, 파이어폭스에서는 보이지 않고 그림을 따로 새 창이나 새 탭으로 띄워야 볼 수 있습니다. 무슨 일이 일어난 거죠?
NSpire CX II
22/10/24 14:27
수정 아이콘
제 파이어폭스에선 잘 보이는데.. 캐시 한번 지워보세요
계층방정
22/10/24 14:44
수정 아이콘
조언 감사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보이지 않습니다.
22/10/24 19:39
수정 아이콘
파이어폭스에 설치하신 애드온의 영향은 아닐까요?
동년배
22/10/24 14:11
수정 아이콘
트러스가 일으킨 금융위기 생각하면 금융 경력 있는 재무통 정치인이 적절해보이기는 합니다.
다시마두장
22/10/24 14:35
수정 아이콘
IT쪽 수뇌부에 인도계들이 많아서 그런가 일 잘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크크
22/10/24 14:46
수정 아이콘
이제 누가 식민지지?
국수말은나라
22/10/24 17:45
수정 아이콘
프랑스 캐나다 스웨덴 핀란드 어리둥절...의외로 젊은 수장들 많아요
성야무인
22/10/24 22:13
수정 아이콘
근데 캐나다는 도련님이라서 말이죠.
기다리다
22/10/24 18:41
수정 아이콘
테마주는 infosys입니다. adr로 미국상장 되어있습니다 크크.이분 장인이 거기 회장님..
Dr.Strange
22/10/24 18:49
수정 아이콘
영국 상황 정말 심각한 게 느껴지네요 크크
눈물고기
22/10/24 21:04
수정 아이콘
한국 정치권도 좀 젊어졌으면 좋겠네요...
임전즉퇴
22/10/24 22:23
수정 아이콘
영국만 아니라 유럽에서 비유럽 인종 지도자가 나온 것이 전례가 없어보이는데요... 입지전적이라기에는 애초에 갑부이긴 합니다만
22/10/25 04:07
수정 아이콘
출생배경은 좀 넉넉한 중산층 정도이고, 본인이 당대에 이룩한 재산이니까 입지전적이라고 해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트리플에스
22/10/24 22:39
수정 아이콘
독이 든 성배네요.. 현 영국상황을 어떻게 해결해나갈지 궁금하네요.
돼지뚱땡좌
22/10/24 22:53
수정 아이콘
인도가 드디어 영국을 먹었습니다?!
22/10/25 04:11
수정 아이콘
이민 백그라운드를 가진 인물이 주류사회에 확고하게 편입된 경우, 종종 주류사회 기득권익의 열렬한 옹호자가 되곤 하는데, 수낙은 어떤 행보를 보일지 모르겠네요. 흥미롭습니다.
young026
22/10/26 18:23
수정 아이콘
앵글로색슨이 아닌 총리는 이미 여럿 있었죠. 유색인 총리는 처음이지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084 [일반] 큰거 왔다.. 3080ti -> 4090 첫 인상 (스왑) [48] Lord Be Goja18918 22/11/03 18918 20
97083 [일반] 전화번호부와 카카오톡 친구목록을 정리한 이야기 [8] 지대호15144 22/11/03 15144 13
97082 [정치] 박희영 용산구청장 이 사람 문제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네요 [92] 홍철23714 22/11/03 23714 0
97081 [일반] 엉덩이 종기(표피낭종) 수술후기 [51] 기사조련가21182 22/11/03 21182 18
97080 [정치] 천공 발언은 까면서 문재인 발언은 쉴드치는 분들이 계신 것 같은데 [61] 홍철21322 22/11/03 21322 0
97079 [일반] 화섬식품노조 파리바게트지회 투쟁승리 [39] lexicon17345 22/11/03 17345 15
97078 [정치] 윤석열부부 멘토 자처하는 천공, 이태원 참사에 “엄청난 기회” 막말 논란 [158] 삭제됨23599 22/11/03 23599 0
97077 [정치] 경북 봉화 아연광산 사고는 아직 진행중입니다.. [23] 유목민15093 22/11/03 15093 0
97076 [일반] [책소개] 셰일 혁명과 미국 없는 세계 - 파월의 FOMC 발언 즈음에 생각난 책 [30] 헤세드8313036 22/11/03 13036 7
97075 [정치] 대통령실과 참사가 일어난 골목과의 거리 1.5km [70] kurt22226 22/11/03 22226 0
97074 [일반] 앞으로는 전세계가 버블경제 터진 직후 일본처럼 될듯합니다 [59] 보리야밥먹자20073 22/11/03 20073 1
97073 [일반] 11월 FOMC 요약: 설레발 치지마라 [60] 김유라18252 22/11/03 18252 22
97072 [정치] 12년 간 재직했던 성장현 전 용산구청장 인터뷰입니다 [39] 아드리아닠19988 22/11/03 19988 0
97071 [일반] CNN 번역)미 기밀해제 정보, 북한의 대러 무기밀매 정황 포착 [36] 아롱이다롱이15454 22/11/03 15454 2
97070 [일반] 이태원 참사를 조망하며: 우리 사회에서 공론장은 가능한가 [53] meson16817 22/11/02 16817 47
97068 [일반] 어쩌다 그들은 타인의 비극에 조소하게 되었나 [102] NSpire CX II18485 22/11/02 18485 15
97067 [일반] 등기부 등본상 깨끗한 집을 사고 전재산를 날린 사례 [189] 마음에평화를24746 22/11/02 24746 25
97065 [정치] 이태원 참사가 용산경찰서만의 잘못이 아닌 이유 [21] 잉명15724 22/11/02 15724 0
97064 [정치] 세계적으로 정통보수 정치세력이 몰락하고 포퓰리스트 우파가 약진하는 추세가 확실한 것 같습니다. [24] 홍철12753 22/11/02 12753 0
97063 [정치] 새 마스크 뜯자마자 썼는데…그 냄새 몰랐던 위험성 찾았다. [21] The Unknown A16091 22/11/02 16091 0
97062 [일반] 따거와 실수 [36] 이러다가는다죽어11932 22/11/02 11932 68
97061 [일반] 의경들의 희생으로 치안을 지켜온 대가, 이태원 참사 [607] 머랭이31793 22/11/02 31793 127
97060 [일반] 핸드폰은 정말 모르겠습니다 [40] 능숙한문제해결사14145 22/11/02 1414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