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9/19 12:33:55
Name cloudy
Subject [일반] 40대 후반 달리기
근래 달리기 관련 글들이 자주 보이는 것 같아 저도 글(사실은 질문들)을 써봅니다

> background: 40대 후반 남성, 지난 6~7년간 거의 쉼없이 주 3회, 회당 5km (눈,비 및 열대야 무시하고 달림, 단 통합대기수치 130이상일 경우 제외), 런닝화는 주로 아식스 중저가 모델

- 6~7년을 위와 같이 투자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체력을 소모했다고 가정시
1. 속도 개선 없음
2. 여전히 뛸때마다 힘듬(특히 처음 1~2 km)
3. 본인의 경우 일반 언덕 달리기만으로는 언덕달리기 향상에 필요한 종아리 근육 향상에 한계(자전거로 언덕 달리기 따로 운동하여 어느정도 보강)

원래 생각으로는 이 정도 뛰었으면 속도가 좋아진다거나 아니면 힘이 안든다거나 둘중에 하나 정도는 느껴질 줄 알았건만 그렇지 않아,
다른 달리기 고수 분들은 어떠신지 궁금하네요. 원래 이런 것인지 아니면 제가 기냥 몸이 저질인 것일까요..

* 단점(??)만 언급한 것 같아 개선된 점도 말하자면,
   다른 분들이 언급하신 것처럼,
   1. 정신건강에는 기냥 아주 매우 좋음(본인도 정신건강 관련하여 처음 시작함)
   2. 20대 후반에 입다가 안 맞게된 20년 된 청바지들이 맞음(단 20년 전 청바지들이라 잘 안어울림, 리바이스만 건짐)
   3. 달리기 체력은 똑 같은 것 같은데 일상생활 체력은 향상됨( 아이들과 산책, 쇼핑몰, 놀이동산 시 아이들과 얼추 보조 맞춤), 관련하여 추가로 달리기 할때는 몇년 전과 비슷하게 힘든데 옛날과 다르게 달리기 직후 예전에는 기절했었다고 하면 현재는 일상생활 가능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9/19 12:43
수정 아이콘
신발을 바꿔보는것도 추천해봅니다
평균 페이스가 확 다르긴 하더라구요
22/09/19 12:49
수정 아이콘
기록에 연연하고 하루라도 빼먹으면 불안했었는데 그냥 내려놓으니까 좋더라고요. 그냥 가볍게 천천히 뛰어도 예전보다 기록이 많이 떨어지지도 않고, 웃으면서 달릴수 있어서 좋더라고요. 신발은 아식스 신으시면 매직스피드2 추천드립니다.
22/09/19 13:18
수정 아이콘
생각이 고루해서 런닝화에 큰 돈 쓰는걸 주저했는데 요새 나이키 에어줌 페가수스에 눈이 가긴 하더라고요. 매직스피드2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레드드레곤~
22/09/19 13:00
수정 아이콘
처음 1~2km는 마라토너들도 힘들다고 하더군요
몸이 산소를 받아들일 준비가 아직 안 된상태라더군요
반대로 런닝이 끝난후에도 바로 멈추지 말고 천천히 계속 뛰던지 걸으라고 하는건 산소를 충분히 흡수할수 있는 상태의 일종의 보너스라고 하더군요
죽전역신세계
22/09/19 13:03
수정 아이콘
무릎은 괜찮으신가요?
22/09/19 13:14
수정 아이콘
무릎은 괜찮습니다. 일반적으로 본인에 맞게 페이스나 거리를 조정한다면 달리기는 무릎건강에 오히려 도움을 준다고 알 고 있습니다. 제가 겪었던 문제를 말씀드리면, 몇년전 더위가 극심했던 여름에 평상시처럼 뛰다가 체력소모 때문인지 아치와 힐 부분이 당겨져서 반깁스를 일주일 정도 햇던것을 제외하면 다른 문제는 없었습니다. 위에 쓴 주 3회는 최소 기준이며, 보통은 주 4회를 뛰었다고 보면 됩니다
그럴수도있어
22/09/19 13:16
수정 아이콘
저는 달리기 좋아하는데 무릎때문에 걷기만 하는 중입니다 ㅠㅠ
송파사랑
22/09/19 13:19
수정 아이콘
달리기 아무나 하면 안됩니다. 타고나기를 강건한 무릎으로 타고난 사람들이 하는 운동입니다.
올바른 동작으로 뛰면 된다 뭐다 다 거짓말입니다.
무릎 약한 사람들은 무조건 뛰면 안됩니다. 자전거나 수영 하시기 바랍니다.
22/09/19 13:25
수정 아이콘
지금 자전거도 병행하고 있는데 무릎관련 이슈가 발생하면 런닝을 접고 빈자리를 수영으로 교체하는 것을 고려하겠습니다.
둘리배
22/09/19 14:26
수정 아이콘
헉 그정도로 안좋나요?
22/09/19 17:12
수정 아이콘
자전거는 무릎 괜찮은가요?
송파사랑
22/09/19 17:41
수정 아이콘
자전거는 피팅만 제대로 되면, 무릎 영향 거의 없습니다.
유산소 운동이 크게 런닝, 자전거, 수영, 등산 4가지라고 보는데 다들 장단점이 있어서 개인체질에 맞게 선택하셔야 합니다.
22/09/19 17:44
수정 아이콘
무릎은 아직 안아픈데 허리는 좀 아픈 사람이 하기엔 수영이 제일 나을까요?
송파사랑
22/09/19 18:02
수정 아이콘
수영이 최곱니다. 유산소 운동 중 단점이라고는 찾아볼 수가 없는 완전체 운동이라고 봅니다.
런닝과 등산은 무릎에 최악이고, 자전거는 사고 위험도 있고 상체운동이 안되죠.
다만, 운동외적으로 단점이 있는게 수영장이 있어야 수영을 할 수가 있죠. 옷도 갈아입고 샤워도 해야되고 이런게 불편하긴 합니다.
지하생활자
22/09/19 18:32
수정 아이콘
수영도 오래한 아지매들 보면 회전근개 많이 나가더랍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2/09/23 23:13
수정 아이콘
저도 수십년간 꾸준히 해서 관절에 문제 없이 잘 해내는 사람이 아니라면, 달리기는 권하고 싶지 않네요. 저 자신이 소싯적에 마라톤 완주까지 해 봤음에도, 30대 중반되어서 뛰다가 염증생긴 이후로 낫질 않아 달리기 포기하고 자전거로 전향한지라...
자리끼
22/09/19 13:33
수정 아이콘
운동은 같은 강도로 반복하면 잘 안늘죠.
달리는 횟수를 줄이시더라도 페이스나 거리에 변화를 주는게 좋을거 같네요.
후마니무스
22/09/19 13:39
수정 아이콘
달리기랑 가벼운 무산소 운동 병행도 좋을거 같습니다

하체 운동을 한다든지 복근운동을 한다든지 해서요
Lord Be Goja
22/09/19 14: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거리는 늘어도 속도는 쉽게 안 증가하더군요

그런데 일반인들이 참여하는 남성 10킬로미터 달리기를 보니까,(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eatear007&logNo=221340083610 )시속으로치면 11km,페이스로 치면 킬로미터당 5분30초 기록으로 치면 50분~57분대에 가장 많이 몰려있었습니다.(58분 달리는 사람이 54분으로 줄이면 6백명중에 백명이 재껴집니다)10km달리기는 생초보는 나올수가 없는 대회니.. 이게 일반적인 중년 남성의 한계가 아닐까 싶네요.50분대에 진입은 할수 있으나 벗어나질 못하는..
22/09/19 14: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지금 딱 57분 정도 입니다... 단 제가 달리는 코스 특성상 경사가 꽤 나오는 언덕들이 포함되는데 가끔 한강에서 뛰면 평지라 그런지 아니면 주변에 보는 눈이 많아서 그런지 시간이 조금 더 단축되기는 합니다
라니안
22/09/19 15:30
수정 아이콘
40살입니다. 엊그제 58분 달성했는데 죽고싶었습니다. 흑흑
마르키아르
22/09/19 15:32
수정 아이콘
사실 잘 아시는 것처럼,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특정 임계점이 있죠.

어느정도까지는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 것에 비례해 증가하다가.. 어느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멈추게 되죠.

( 그 지점은 타고 나는 것일테고요 ^^; )

게다가 근육이 자연스럽게 줄어드는 나이가 되신걸 감안하면, 기록을 유지하며 꾸준히 하고 계신 것만으로도 대단하시다는 생각이 드네요.

제일 중요한건 기록향상보다, 부상을 안입는거지 않겠습니까 ^^;

괜히 기록이 욕심내서, 부상확률 높이시는 것보다

지금처럼 꾸준히 하시며, 현재 기록 유지만 하시는게 훨씬 더 좋은 선택같아 보이세요 ^^
국수말은나라
22/09/19 15:47
수정 아이콘
나이 무시하지 마세요 의욕은 신체 나이를 넘게 되고 그런 경우 필연적으로 부상을 수반합니다 기록보단 근질랑계수나 체중감량을 목표하는게 더 도움됩니다
iPhoneXX
22/09/19 16:39
수정 아이콘
기록은 늘지 않아도 뛸수 있는 거리는 점점 늘어날껍니다. 물론 젊은 나이에 일찍하면 더 좋겠지만요. 단기간에 엄청난 향상 노리다간 꾸준히 운동했던 몸이 아니면 다치기 쉬우니 그냥 편하게 오래 건강하게 뛴다는 마음이면 정말 좋은 운동이죠.
22/09/19 17:16
수정 아이콘
수영 15년 넘게하는 중인데 30대 때 반짝 기록단축에 욕심냈지 40대 후반되니 건강 유지 정도로 생각합니다.
Lord Be Goja
22/09/19 17:29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아식스에서 달리기 성능에 맞춰서 타사들이 쓰는 컨셉으로 개발했다는 (요즘은 살짝 한물간 평가였죠)노바블라스트2를 사봤는데..
원래 사던 젤카야노나 젤님버스보다 천장이 낮은 느낌이더군요
결국 얼마 안 신고 모셔뒀습니다.
신규라인들은 직접 신어보시는게 좋을거같아요.
출입문옆사원
22/09/19 18:21
수정 아이콘
지금도 충분히 잘 하고 계신 것 같은데요. 정말 빨라지고 싶으시다면 한달에 150km 이상은 필요합니다. 부상 위험이 큰 인터벌은 피하시고 후반에 빨라지는 빌드업주 스타일로만 150km 한달 마일리지 채우시면 분명 빨라지십니다. 좋은 신발보다 기록용 GPS 시계를 사시는 게 더 도움이 됩니다. 계속 기록하다보면 약간 러닝마일리지 채우는 중독 같은게 생기거든요.
22/09/19 18:27
수정 아이콘
유튜브에서 올바른 달리기 자세 보시고 교정 해보시기 바랍니다.
지하생활자
22/09/19 18:33
수정 아이콘
나이는먹지만 기록은 그대로인게 발전이라고 생각하게되었습니다

안하면, 더빠르게떨어질 체력이니깐요.
뺙뺙뺙
22/09/19 19:32
수정 아이콘
5키로 달리셨으면 6키로 한번 달려볼까 하고 뛰어보세요 크크
생각보다 큰 어려움 없이 될거에요... 그렇다고 다음날 또 5키로 달리는거 힘든건 똑같지만 크크
던져진
22/09/20 00:15
수정 아이콘
오버 스트라이드 문제일수도 있고, 너무 낮은 케이던스 문제일수도 있죠.
노래하는몽상가
22/09/20 03:44
수정 아이콘
인터벌훈련이 속도개선에는 굉장히 도움이 됩니다.
늘 같은거리를 뛰시고 같은 코스를 뛰셨다면 거기에 적응이 되셔서 그럴수도 있어요
나이키,런데이,가민 등등 어플 쓰시면 그중에 인터벌 훈련 세션이 있을겁니다
30초간 전력질주 5분간 마일페이스 달리기 1분간 걷기 이런식으로 템포조절을 하는건데
다양한 세션을 해보시다가 나중에 이전에 하시던 5키로 뛰어보시면 기록이 좋아지실겁니다,
물론 심폐지구력도 좋아질수도 있구요, 단 그만큼 강도높은 훈련이니까 한두번 해보시면서 잘 조절하셔야합니다

런닝화는 나이키 템포 같은 괴물 런닝화는 기록단축에는 도움이 되긴 합니다
너무 비싸서 그렇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356 [일반] 세종시의 출산율과 한국의 미래 [156] darkhero18961 22/12/08 18961 19
97342 [정치] 유승민 경멸하지만 대선 최종경선 때 유승민 찍은 이유 [100] darkhero19106 22/12/07 19106 0
97315 [일반] AGF 2022 토요일 후기 [12] 그때가언제라도8493 22/12/04 8493 8
97271 [일반] [방산] 폴란드 고객님은 왜 납기에 목을 매는가 [15] 어강됴리13956 22/11/29 13956 12
97255 [일반] 배달도시락 1년 후기 [77] 소시23919 22/11/27 23919 132
97233 [일반] 토끼춤과 셔플 [14] 맨발11575 22/11/24 11575 15
97100 [일반] [바둑] 왜 바둑은 남자기사가 여자기사보다 더 강한가? [152] 물맛이좋아요24046 22/11/05 24046 77
97083 [일반] 전화번호부와 카카오톡 친구목록을 정리한 이야기 [8] 지대호13553 22/11/03 13553 13
97057 [일반] 살아남은 행운의 공포 [98] lexicon18113 22/11/02 18113 39
97004 [일반] [단독]10만명 몰린 이태원 ‘핼러윈 파티' 사망 153명 부상자 103명 [511] 카루오스62695 22/10/29 62695 1
96957 [일반] SPC는 진짜 사람이 아니네요 [150] 어강됴리23407 22/10/24 23407 59
96854 [일반] 통신3사: 20대 30대 남성들이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고 있어 굉장히 심각한 상황이다 [275] 별가느게29759 22/10/12 29759 10
96814 [정치] 이준석이 SNS 끊기 vs 조국이 SNS 끊기 뭐가 더 어렵다고 생각하시나요? [125] 아수날17404 22/10/07 17404 0
96672 [일반] 퐁퐁론과 성엄숙주의 [396] kien.22434 22/09/25 22434 19
96622 [정치] 대통령 지지율은 정말 호조세? [39] 유시민24831 22/09/21 24831 0
96607 [일반] [역사] 일제 고등문관시험 행정과 조선인 합격자들 [10] comet2113298 22/09/20 13298 26
96603 [정치] 尹 지지율, 두달만에 30%대로 회복 ‘이재명의 민주당’ 지지율 하락세 [한국갤럽] [105] 아수날19681 22/09/19 19681 0
96597 [일반] 40대 후반 달리기 [32] cloudy12538 22/09/19 12538 2
96590 [일반] '길을 뚫다': 아즈텍 멸망사 하편 [24] Farce23593 22/09/17 23593 45
96588 [일반] 점점 미드속 마약밀수와 이야기들이 현실이 되어가는중 [70] League of Legend18287 22/09/17 18287 3
96540 [일반] 정통 판타지 감성 노래 모음 [20] 라쇼12289 22/09/07 12289 8
96447 [일반] 넷에서 돌고 있는 한국 출산률에 대한 PIIE 보고서 [284] 류지나21348 22/08/27 21348 12
96431 [일반] [역사] 이북에 두고 온 인연, 이북에서 되찾아온 인연 [3] comet219898 22/08/25 9898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