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8/01 17:15:27
Name 리니시아
File #1 소설가의.jpeg (45.1 KB), Download : 31
Subject [일반] <소설가의 영화> _ 창작자로서의 홍상수와 유희열 (수정됨)


1.
홍상수의 27번째 장편 영화입니다.
72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은곰상: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김민희와 함께 수상소감을 말하기도 하여 화제가 되었습니다.


2.
데뷔작 이후 홍상수의 영화는 계속해서 바뀝니다. 
제 생각엔 지금 홍상수의 세계는 4부쯤 되는것 같습니다.
1부가 고학력자들의 비루함과 욕망, 부도덕함 이었다면 2부는 아리송한 반복과 차이, 꿈인지 현실인지 모를 영화였습니다.
3부에선 죽음의 이미지와 오브제들의 나열로 의도적 공백을 배치하였고, 지금의 4부는 그동안의 모든 부산물이 제거되고 투명하게 여과된 느낌입니다.
극중 감독의 아내도 '당신 작품이 맑아졌다' 라고 이야기 합니다.
<도망친 여자> 를 제외하고 최근 작품은 12, 15세 관람가로 바뀌기도 하였구요.


3.
영화의 내용은 더 이상 글쓰기가 어려운 소설가가 연기활동을 멈춘 배우와 영화를 만드는 이야기 입니다.
즉흥적으로 이루어지는 창작의 계획에서 주변 인물들이 한두마디씩 거듭니다.
어떤 인물은 감독이 만들 영화의 내용을 듣고는 '그럼 다큐멘터리를 만드는것이냐?' 라고 묻기도 하고.
기주봉 배우는 '출연할 두 인물을 떠올리니 이야기가 생각난다' 라며 본인이 생각하는 영화 이야기를 하려고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소설가는 타인들의 말을 반박하고, 막아 픽션 영화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보이며 완성합니다.


4.
이 영화의 첫 시작부터 화면과는 상이한 소리가 들립니다.
그리고 수화를 배워 듣는 것이 아닌 보는 것으로 말을 하기도 합니다.
드디어 이혜영 배우와 김민희 배우가 마주보고 앉아 대화를 나누는 장면에선 한 꼬마가 가게 밖에서 둘을 바라보는 것에 시선을 강탈 합니다.
그리고 망원경으로 공원을 보는 장면에선 의도적으로 부부의 대화를 넣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영화는 우리가 직접 보는 것과 들리는 것의 균열을 통해 진실을 파악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소들을 배치합니다.
현실의 상황과 이 영화를 보면서 떨어질수 없는 요소들을 관람자가 어떻게 분리하느냐에 따라 진실이 바뀔 것입니다.


5.
https://youtu.be/x9bwIBNREWQ
최근에 보았던 홍상수가 어떻게 영화를 작업하는지 인터뷰한 영상입니다.
시간이 좀 되었지만 지금의 작품들도 저 방법에서 벗어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떠한 상황속에서 본인이 느낀 감정이나 관계, 자기 자신을 투영할 수 있는 형식을 찾아 완성해 나갑니다.
하루하루 쪽대본으로 완성되는 홍상수 감독 영화 제작 이야기는 유명합니다.
감독은 즉흥과 순간의 현실을 영화라는 영원에 포착합니다.


6.
https://m.wikitree.co.kr/articles/769483
부활의 노래를 좋아하는 저는 일전에 김태원의 이야기를 듣고 좀 의아해 하였습니다.
타인의 음악에 영향을 받을까봐 듣지 않는것이 과연 좋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부활의 곡들은 시대와 상관없이 아름답기에 맞는 방법으로 보입니다.


7.
홍상수의 <그후> 라는 작품에 김새벽 배우가 출연하였습니다.
김새벽 배우는 <한여름의 판타지아> 에 출연하였으며 이 작품 평단에 큰 호평을 받았습니다.
홍상수가 사용하는 '반복과 차이' 라는 형식을 판타지와 적절하게 결합시킨 작품으로 유명하였죠.
이후 홍상수 영화에 김새벽 배우가 출연하였으니 당연히 감독이 <한여름의..> 작품을 보고 캐스팅 제의를 하지 않았을까 싶었습니다.
하지만 한 인터뷰에 의하면 홍감독은 <한여름의...> 작품을 보지 않고 김새벽 배우를 캐스팅 하였습니다.
이때 저는 좀 의아하게 생각하며 '홍상수는 영화를 안보나..?' 라는 생각을 하기도 하였죠.
본인의 스타일을 차용하여 크게 호평받은 영화이기에 당연히 봤을 거라 짐작했던거죠.



8.
https://www.youtube.com/watch?v=FnoooWDzbcM
최근 유희열의 표절논란이 번지며 그간 작곡했던 방식에 대해 추측하는 글들이 많았습니다.
우리가 잘 모를법한 좋은 음악, 또는 대중적으로 익히 유명한 멜로디를 가져와 템포, 음정을 손보고 완성시킨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었죠.
위 영상도 그러한 맥락에서 어떻게 음악을 만드는지 알 수 있는 내용입니다.
눈가리고 귀닫고 자기만의 것을 만들어내는 창작자와는 결이 다르죠.
오히려 적극적으로 눈을 열고 귀를 열어 대중이 좋아할 핵심을 녹여내고 변주하여 세상에 내어 놓습니다.
하지만 그 출처가 타인의 작품이라는 사실을 알고 우리는 크게 분노하였죠.



9.
극중 배우활동을 중단한 김민희 배우는 이런 이야기를 듣습니다.
"왜 아깝게 영화를 안하느냐. 재능도 있고 연기도 잘하는데 아깝지 않느냐"

유희열은 대중이 좋아할 만한 멜로디를 뽑아내어 변주하여 아낌없이 선보입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그의 노래를 듣고 부르며 작품을 즐겼던 시간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유희열의 스케치북 마지막 인사는 마치 그동안 공범처럼 다같이 들어놓고 왜 이제와서? 라는 듯한 태도였죠.

한국 영화는 '돼지가 우물에 빠진날'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는 평가를 듣던 홍감독.
하지만 '지맞그틀' 이후 불륜과 함께  모든 작품에 투영되는 홍감독에 대한 소문들.

시간이 지난 후 유희열이 음악을 만들었을 때 대중들은 어떤 음악을 배꼈나 혈안이 되어 찾겠죠.
홍감독의 작품은 순수한 창작물로써가 아닌 '불륜남의 스트레스와 상황' 이 투영되어 듣고 보는 모든 것을 의심하게 되었구요.



10.
<소설가의 영화> 마지막은 소설가가 만든 영화가 끝나고 엔딩 크레딧이 올라갑니다.
이후 관람자이자, 배우인 김민희는 소설가이자 이 영화의 감독을 찾아 옥상으로 올라가며 영화는 끝납니다.

저 또한 창작된 영화를 보는 관람자이자, 극중 인물에 몰입하는 배우로써.
창작된 음악을 듣는 관객이자, 노래방에서 부르는 가수로써.
끊임없이 창작자를 쫓아 다닐것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8/01 18:06
수정 아이콘
소설가의 영화를 봐야하나 말아야하나 고민이있었는데 이 글을 읽고 구미가 당기네요.
리니시아
22/08/01 22:41
수정 아이콘
군더더기없이 핵심들만 명료하게 나열되어있습니다.
베를린에서도 수상한 작품이니 한번쯤 보시고 곱씹어 보시면 어떨까 싶네요.
aDayInTheLife
22/08/01 18:44
수정 아이콘
울산에는 관이 없네요 흐흐
개인적으로 어느 영향을 받았다, 는 배제할 수 없는 성격의 것이지만, 예술가의 삶의 궤적들이 감상에 영향을 끼치는 건 어찌할 수 없는 영역의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어요. 그게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간에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리니시아
22/08/01 22:44
수정 아이콘
https://serieson.naver.com/v2/mcode/212159?isWebtoonAgreePopUp=true

극장에서 보기 어려우시다면 네이버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하늘 아래 새로운 소재는 없기에 어떤식으로 표현하느냐, 그리고 예술가 고유의 어떤 스토리를 지니느냐가 더 중요해진 세상인것 같습니다.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호랑이기운
22/08/01 20:11
수정 아이콘
최근 홍상수 영화를 보고 취향에 맞다 생각했는데 글 속의 1 2 3 4부 나뉘는 기준이나 이런게있을까요?
참고로 최근에 본 영화는 '하하하'입니다
리니시아
22/08/01 22:50
수정 아이콘
지극히 주관적인 구분입니다.
1부 : 돼지가 우물에 빠진날 (1996) ~ 다른나라에서 (2011)
2부 : 해변의 여인 (2006) ~ 밤의 해변에서 혼자 (2016)
3부 : 당신자신과 당신의것 (2016) ~ 강변호텔 (2018)
4부 : 도망친 여자 (2020) ~ 현재

개인적으로 이렇게 구분하고 있습니다.
명확하게 나뉘지 않고 겹치는 이유는 해당 시기에 주제가 혼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보신 '하하하' 는 제 생각에 1부와 2부의 주제가 뒤섞여있으며 과도기처럼 느껴졌던 영화입니다.
두 배우의 천연덕스러운 대화가 기억에 남네요.
라흐마니
22/08/01 21:28
수정 아이콘
홍상수의 세계를 4부로 나눈 발상이 인상적이네요. 잘 읽고 갑니다.
리니시아
22/08/01 22:51
수정 아이콘
그간 느꼈던 감상으로 구분하였는데 반대하시는 분들도 있을것 같네요.
잘 읽으셔서 다행이네요.
삼성전자
22/08/02 10:42
수정 아이콘
홍상수 영화 팬으로서 반가운 글입니다
사실 전 '4부' 에 적응을 잘못했어요.
한 차원 높은 퓨어한 느낌이라는거에는 공감합니다.
리니시아
22/08/02 12:45
수정 아이콘
저 또한 4부에 적응하기 힘들었습니다.
이유는 이야기가 분명하고 일상적인 에피소드일 뿐인데 이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혼자 곱씹어보고 여러 평론가들의 글들을 보며 이건 또다른 경지에 왔구나 싶더군요.
마치 악보에 몇개 안되는 음표들로 이루어진 선율로 깊이 몰입할 수 있는 음악을 듣는 것 같습니다.
그 어느때보다 단순하지만 세련된 느낌이 트랜디하게 느껴졌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050 [일반] 판협지의 시초작들이 웹툰으로 다시 살아나다 - 웹툰 추천 [30] LuckyPop11255 22/11/01 11255 2
96997 [일반] 이제 와서 뒷북치는 2021년 애니 이야기 [21] 이르9905 22/10/29 9905 3
96994 [일반] 요즘 본 영화 후기(스포) [4] 그때가언제라도8699 22/10/29 8699 1
96904 [일반] <블랙 아담> - 기대의 편린만 보인다(약스포) [34] aDayInTheLife9042 22/10/19 9042 2
96821 [일반] 건슬링거 걸 다 봤습니다.(스포) [16] 그때가언제라도9280 22/10/08 9280 3
96668 [일반] 8년간의 추억을 쌓아왔던 그녀의 이야기. [10] 펠릭스10934 22/09/24 10934 3
96554 [일반] 2022년에 방영된 애니 주제가를 들어봅시다 [10] 라쇼14078 22/09/09 14078 6
96540 [일반] 정통 판타지 감성 노래 모음 [20] 라쇼12204 22/09/07 12204 8
96499 [일반] 만화 5편 추천(웹툰 포함) [23] goldfish15684 22/09/02 15684 5
96418 [일반] 올해 읽은 소설 리뷰/추천 [26] kien.10119 22/08/23 10119 4
96347 [일반] [판타지] 행복한 대한민국 [51] Amiel11370 22/08/15 11370 3
96326 [일반] 수호지, 명나라 마블 [33] 구텐베르크9012 22/08/13 9012 18
96183 [일반] <소설가의 영화> _ 창작자로서의 홍상수와 유희열 [10] 리니시아6415 22/08/01 6415 10
96160 [일반] (스포) 우영우는 사랑할 수 있을까? [38] 마스터충달12439 22/07/30 12439 3
96155 [일반] 요근래 본 애니 간단 후기 (스포) [11] 이브이5987 22/07/29 5987 1
96118 [일반] 최근 애니메이션 보면서 재밌던 작품 간단 후기(약스포) [10] 이브이7351 22/07/26 7351 4
96066 [일반] 웹소설 상세리뷰 <폭염의 용제> / 스포주의!! [20] 가브라멜렉7043 22/07/20 7043 1
95995 [일반] 최애의 아이, 하루카 세븐틴. 하이퍼 리얼리즘이 만들어내는 극한의 판타지... 는 개뿔 그냥 하이퍼 리얼리즘. [16] 펠릭스8345 22/07/13 8345 2
95954 [일반] <토르: 러브 앤 썬더> - 후퇴는 분명한. [43] aDayInTheLife9240 22/07/06 9240 1
95953 [일반] (약스포) 토르4 - 마블 페이즈4 중에선 가장 만족스러운 [32] 카트만두에서만두7307 22/07/06 7307 1
95886 [일반] [웹소설] 지난 3년간 읽은 모든 웹소설 리뷰 [76] 잠잘까17369 22/06/28 17369 25
95723 [일반] [15] 작은 항구도시에 살던 나의 어린시절 [7] noname117357 22/05/30 7357 32
95671 [일반] <범죄도시2> 2절과 뇌절 사이 (스포) [26] 마스터충달8394 22/05/21 8394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