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7/29 01:41:03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833272625
Subject [일반] <한산: 용의 출현> - 성실하게 쌓아올리다.(약스포)

리뷰를 시작하기 전에, 미리 말해두자면, 저는 <명량>을 안봤습니다. 뭐 이런 저런 이유가 있긴 했습니다만, 결론적으로 저는 <명량>을 안봤습니다. 막 영화 채널에서 틀어줄 때 지나치면서도 안봤었습니다. 뭐라고 해야할까요, 일종의 반항심? 내지 남들 다 보니까 나는 안봐도 되겠지 하는 홍대병?이든 뭐든, 결론적으로 안봤습니다. 그래서 <명량>과의 비교는 조금 어려울 것 같네요.


영화를 보면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빌드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실제 역사와 얼마나 비슷한지, 혹은 실제 기록을 얼마나 따왔는 지는 잘 모르겠지만, 세작들의 정보전, 이에 대한 반응과 대응 등의 빌드업이 상당히 성실하게 이뤄져 있습니다. 한산도의 해전까지 전반적인 전황들과 흐름들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성실하고 부지런하게 양 진영을 오가면서 만들어져 있습니다. 비슷한 맥락에서 전투 장면의 자막들도 전장의 상황을 부지런하고 성실하게 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영화의 군살이 상당히 많이 빠져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소위 말하는 '국뽕'과 '신파'는 어느 정도 먹히는 영화를 위해서 필요하다. 정도로 생각하는 사람이긴 합니다만, 또 영화 상에서 그런 감정적으로 과잉되는 장면이 없지는 않지만, 상당히 많이 빠져있습니다. 부지런하게 양쪽의 상황을 오가고, 한산도의 해전 묘사까지 영화는 성실하게 달리는 오락영화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아예 '국뽕'이 없냐면 그건 아닌 것 같긴 합니다만, 전쟁 영웅, 그것도 이순신을 다루는 영화에서 이 정도면 잘 다뤄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 반대급부로 얻게 된 단점은, 인물의 감정선입니다. 정확하게는 상당히 많은 부분을 박해일 배우의 개인기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요. 혼란스럽고, 힘든 상황에서 흔들리는 인물의 감정선을 영화는 어느 정도 버리고 가는 느낌이 많이 있습니다. 이 부족한 부분은 배우의 개인기로 채우고 있는 느낌이네요. 전쟁 영화로써, 비유하자면 전황의 상황과 대전략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성실하게 영화가 채워가지만, 소전술에서 아쉬움이 드러나는 영화라고 해야할까요. 때때로, 일본 장수 와키자카 역할을 맡은 변요한 배우가 더 많은 대사를 치고 더 많은 행동을 하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측 가능한 지점, 그리고 역사가 스포일러하는 이야기입니다만, 이 정도면 꽤 성실하게 여름 영화로써 만족스럽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부지런하고 성실하게 단점을 메꾼 영화라는 생각이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혼자만레벨업
22/07/29 02:40
수정 아이콘
영화 음악을 어떻게 썼을 지 궁금하네요. 평들만 보면 음악을 드라이하게 사용한 게 아닐까 싶기도 하고요.
aDayInTheLife
22/07/29 02:45
수정 아이콘
일단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는 1. 전투 소리에 딱히 두드러지지 읺음 2. 시간적으로 감정 이입을 많이 사용하지 않음 3. 음악은 전쟁 영화에 걸맞는 소리 느낌? 정도네요. 어느 정도 어? 좀 오나? 싶을 타이밍이 없는 건 아닌데 저한테는 약간 아슬아슬하게 세이프라고 해야할까요.
22/07/29 03:10
수정 아이콘
결정적인 장면에 마치 히어로물 배경음악처럼 사용된 음악 말고는, '어? 현장음 외에 다른 배경음악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딱히 귀에 걸린게 없네요.
22/07/29 02: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분위기가 좀 튀는 전주성 파트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방송 여러 회 분량 제작비 털어넣고 공들여 만든 '역사 스페셜' 특집편 같았습니다. 샛길로 빠지는 일 없이 해당 회차의 주제만을 향해 뚜벅뚜벅 걸어가는...(당연히 시각효과나 배우들의 연기 수준을 비교한 것은 아닙니다)
안그래도 할 말 많은 한산대첩의 내용이 너무 길어지지 않게 분량조절도 됐고 또 얼핏보면 쿨해보이기도 하고.
최종 스코어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경쟁작들을 제치고 올 여름 영화 중 흥행 1위를 차지하는건 별 문제 없을 겁니다.

+ 선장의 능력 및 특징에 따라 학익진 내 배열 위치를 고심하는 모습이, 중요한 경기를 앞두고 오더지에 적어넣을 선발 라인업 고민하는 야구나 축구 감독의 모습과 겹쳐보여서 혼자 좀 피식 웃었네요.
Davi4ever
22/07/29 03:00
수정 아이콘
??? : '아 원균 이걸 대체 어따가 넣지...'
aDayInTheLife
22/07/29 07:19
수정 아이콘
집중도와 몰입도가 좋은 영화 같아요.
삼성전자
22/07/29 06:51
수정 아이콘
박해일이 연기비중은 거의없고 주인공이 거의 변요한이던데요.
명량보다 깔끔해서 좋았습니다. 이정도면 한국판 탑건 아닙니까.
aDayInTheLife
22/07/29 07:20
수정 아이콘
가장 활발하게 많이 움직인 쪽은 변요한의 와키자카긴 했죠. 크크크
22/07/29 07:19
수정 아이콘
비슷한 이유로 명량을 거른 저로써는 필요한 리뷰네요! 한산 꼭 봐야겠네유 재밌나보군요
aDayInTheLife
22/07/29 07:20
수정 아이콘
괜찮습니다. 전반적으로 이동진 평론가님 말처럼 단점 억제가 잘 되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삼성전자
22/07/29 08:15
수정 아이콘
어제 용아맥에 감독이랑 변요한 배우 등의 왜군 무리들이
깜짝 무대인사 오셨더라구요. 첫날 성적이 안좋아서 불안해서 올라왔다는 늬앙스였습니다.
집을 아예 여수 셋트장 옆에 사놓고 전입신고까지 하시고 이순신 장군님의 정기를 받으며 촬영중이신듯 하더라구요.
감독님 말씀하는거 들으니 노력파신듯, 전작보다 담백해지고 장점을 살린 이유가 있구나 했습니다.

변요한 인생배역 중 하나라는 이야기도 나오네요. 여자들 사이에 멋있다고 난리.
와키자카 올려치기 너무 심한듯 하긴 했습니다. 큭큭
aDayInTheLife
22/07/29 08:19
수정 아이콘
오 그랬군요. 지방러는 웁니다. 크크크
와키자카가 가장 많이 움직이는 캐릭터고 가장 많은 분량이 할당되어 있어서 그렇게 느껴질 수 밖에 없는 구조 같아요.
찬공기
22/07/29 08:34
수정 아이콘
왜군 무리들이라뇨 크크크크
삼성전자
22/07/29 08:53
수정 아이콘
감독과 배우들이 직접 친 드립입니다 큭큭 왜놈무리랬나.
SAS Tony Parker
22/07/29 08:56
수정 아이콘
이거 감독님이 여수에 계시다가 갑자기 긴급소집 해서 왜군들이랑 같이 침입하셨다고 크크크
퀀텀리프
22/07/29 11:05
수정 아이콘
왜군 무리..크크
22/07/29 08:58
수정 아이콘
저도 명량보다는 한산이 많이 낫다고 생각했는데
어제 한산을 한번 더 보고
집에와서 늦은 저녁 먹으면서 명량을 다시 틀어서 쓱쓱 넘겨보니
크게 나아지지는 않았다는 느낌이 오더군요

명량보다는 조금 낫다로 평가를 바꿨습니다
명량처럼 별 3개로 똑같은데 명량보다는 나아진...
노량을 기대해봅니다

근데 한산보고 명량을 다시보니
박해일에서 최민식으로
변요한에서 조진웅으로
이어진건 확실히 느낌이 별로 없긴하더라구요
aDayInTheLife
22/07/29 09:28
수정 아이콘
저도 제가 쓰는 영화 앱에서 3개 줬더라구요. 명량은 안보긴 해서 직접적 비교는 어렵습니다만.
다만 무난하게 괜찮은 영화라고는 생각합니다.
22/07/29 09:26
수정 아이콘
박해일 연기 비중이 너무 적어서 아쉬웠습니다

다 알고 보는건데도 거북선 나타나서 일본놈들 다 때려뿌시니까 영화관에서 박수가 막 터져나오더군요 크크크크크
aDayInTheLife
22/07/29 09:29
수정 아이콘
박해일 배우는 헤어질 결심에 이어서 폼이 되게 좋더라구요. 거북선은 나오는 건 확정인데, 예측가능한 타이밍에 예측가능하게 나오지만 원래 히어로 랜딩이라는게 그런거 아니겠습니까 크크크
삼성전자
22/07/29 09:38
수정 아이콘
전설적인 리뷰어 '참붕어' 님의 명량 리뷰가
이번에 한산 버젼으로 바뀌어 돌아다니는데 은근 현실반영해서 웃기더군요 큭큭.
영화관에서 거북선 나오니 박수치고 탑건에 나오는 지상직들처럼 수신호로 gogo! 하고 다들 난리
알콜프리
22/07/29 09:50
수정 아이콘
저는 명량과의 흥행성적 비교가 좀 흥미롭습니다.

명량은 1700만 관객을 동원하여 한국 흥행 1위인데, 국뽕 신파가 많은 영화란 말이죠.

그런데 국뽕과 신파를 상당히 많이 뺀 한산의 성적은 과연 어떨지? 국뽕과 신파는 흥행에 얼마나 영향을 줄지 궁금합니다. 한산의 흥행 스코어를 보면 어느 정도 가늠이 될 것 같아요.
aDayInTheLife
22/07/29 09:53
수정 아이콘
조심스럽네요. 관객이 얼마나 들지 예상하는건.. 워낙 라인업들이 센 편이기도 하니.
알콜프리
22/07/29 09:55
수정 아이콘
명량 개봉 당시에도 해적1 등 강력한 영화들이 있었습니다. 빈집털이는 절대 아니었으니 대에~충 비교견적은 나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Rorschach
22/07/29 09:52
수정 아이콘
명량보다 조금 나았습니다.
aDayInTheLife
22/07/29 09:54
수정 아이콘
명량은.. 보고 나도 딱히 안땡기고 오히려 저는 칼의 노래 소설이 더 보고 싶어 지더라구요. 예전에 읽었던 거 같긴 한데.
페스티
22/07/29 09:54
수정 아이콘
헌트 보고싶은데 한산을 볼 지 고민되네요 음...
aDayInTheLife
22/07/29 09:54
수정 아이콘
둘 다 평가는 나름 괜찮더라구요?
사다드
22/07/29 09:58
수정 아이콘
aDayInTheLife님과 비슷한 이유로 저도 명량을 아직까지 안보고 있습니다. 명량보다 담백하다는 감상평이 많아서 명량은 한산보다 국뽕과 신파가 많구나 짐작만 하고 있습니다. 명량을 안본 저로서는 한산도 국뽕은 그렇다치고 않넣어도 되는 신파가 거슬리더라구요. 대놓고 노림수가 보여요. 웅장한 장면에 음악이, 배우들의 감정이 녹아든다는 느낌보다는 딱 예상했던 대로 움직이는 느낌? 아래 글에서 넣지 않아야될 국뽕 두어숫가락이라고 했는데 다시 생각해보니 그건 국뽕이 아니고 신파가 아니었나 합니다. 전투씬이 괜찮긴 했지만 그냥 무난했다는 아쉬움이 크더군요. 그래서 이 감독이 이런 평가를 받아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aDayInTheLife
22/07/29 10:00
수정 아이콘
다만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혹은 허용 가능한) 국뽕과 신파는 여름 블록버스터, 이순신 이야기라는 특성 상 좀 관대하게 봐야하는 거 아닌가 싶긴 합니다. 다만 김한민 감독님의 ‘최종병기 활’을 재밌게 보긴 했지만 마지막 오글거리는 상황을 생각하면 그냥 감독님 성향인가 싶기도..
시라노 번스타인
22/07/29 10:5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명량 보다 한산이 전체적으로 가볍고 빠르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왜 그런지는 잘모르겠지만 인물과 인물 간에 갈등 요소나 대화가 많이 없었다고 느껴서 그랬나 싶습니다.

명량때 자폭하는 임준영 컷 같은 질질 끄는 느낌이 전혀 없었어요.
aDayInTheLife
22/07/29 12:42
수정 아이콘
깔끔하더라구요. 소재에 비해서.
상대는가난하다구
22/07/29 15:16
수정 아이콘
어제 밤에 용산 아맥으로 봤는데 전 그냥그냥 그랬습니다. 같이 본 여자친구도 그냥 그랬다고 하는데..
끝나고 갑자기 엄청 잘생긴 분 한분이 들어오더니 가지마세요~~! 이러고 일본군 맡은 배우들이랑 감독이랑 들어와서 인사하시더라구요.
감독이 재밌었냐고 질문하니깐 모든 관객들이 네!! 했습니다. 변요한 배우 얼굴에서 빛이 나더라구요.

영화는 정말 그냥 그랬습니다. 박해일 배우는 뭔가 찌질함이 좀 있어야 어울리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어요.
aDayInTheLife
22/07/29 15:20
수정 아이콘
흐흐 지방러는 웁니다ㅠㅠ
영화는 모난 데 없이 잘 깎여서 나온거 같아요. 이동진 평론가가 장점보다 단점이 잘 안보이는게 눈에 띈다. 고 표현했던데 동의합니다.
키비쳐
22/07/29 19:49
수정 아이콘
오늘 용산 일반관에서 보고 왔는데, 보면서 '이 영화의 주인공은 이순신이 아니라 '조선 수군'이 아닐까'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순신에게만 스포트라이트를 비추지 않고, 조선 수군 구성원을 골고루 비추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글에서 말씀하신 빌드업이 이 영화의 장점이자 동시의 단점이라고 저는 생각을 하는데, 빌드업이 전투 장면을 볼 때, 전투 장면이 단순히 눈과 귀 뿐만 아니라 머릿 속으로도 이해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만들기도 하지만, 문제는 그 빌드업 과정이 길면 버티기가 힘들어집니다. 한산이 그런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빌드업의 단조로움을 이겨낼 수 있다면, 한산은 충분히 볼 만한 영화라고 생각합니다.(원래, 전쟁사라는 게 모르고 봐도 흥미롭고, 알고 봐도 흥미로운 거라서)
사실, 그래서 저는 보고 나서, 감독은 다르지만, <남한산성>과 비슷한 인상을 받았습니다.
aDayInTheLife
22/07/29 20:13
수정 아이콘
말씀해주신 부분도 동의하게 되네요. 조선 수군, 특히나 (저 같은 경우는 어린이 난중일기..) 당시 상황이나 사람들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라면 아니 이 배우가 여기 이 역할로 나오네? 싶은 경우도 종종 나와서요. 정보전을 다루는 방식은 꽤 매력적이었다고 생각하는데, 여기서 군살이 없진 않다는 느낌이 좀 들긴 했습니다. 요약하든지, 아니면 조금 더 다채로운 장면을 담았어도 될 것 같아요.
22/07/29 20:42
수정 아이콘
잘 만든 영화지만 이순신의 존재감은 크게 와닿지 않더라고요. 뭔가 007 시리즈로 치면 제임스 본드보다는 M에 가까운 느낌...?
aDayInTheLife
22/07/29 20:45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개인의 고뇌를 다루기에는 전황에 더 집중한 느낌이긴 하더라구요. 그나마 박해일이라는 배우의 개인기로 그 정도로 전달된 건 아닐까 싶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6267 [일반] 서울 1일 강수량 최고 기록이 경신됐네요 (+중대본 비상 3단계, 위기경보 '심각') [33] Davi4ever13264 22/08/09 13264 1
96263 [일반] T-50/FA-50 이야기 4편 - (개발사3) 초음속 훈련기 [14] 가라한7645 22/08/08 7645 31
96262 [정치] 우선 기본적인건 잘해야 하지 않을까요... [308] Darkmental19526 22/08/08 19526 0
96261 [일반] [리뷰] 피식대학 05학번 시리즈 - 추억팔이에서 공감 다큐로 [20] 라울리스타8432 22/08/08 8432 15
96260 [일반] 제 외가쪽 사촌동생이 입대 후 최근에 현부심을 받았답니다 [35] 산딸기먹자16349 22/08/08 16349 7
96259 [정치] [1보] 박순애 부총리, 취임 34일만에 사퇴…尹정부 장관 첫 사임 [114] 화천대유16904 22/08/08 16904 0
96258 [일반] [일반] 내가 아는 상식이 틀린 것인가? (정치 아니고 자영업 관련입니다) [21] BK_Zju10935 22/08/08 10935 9
96257 [일반] [눈마새/피마새]엘시 에더리의 그녀는 누구였는가 [23] 닉언급금지6330 22/08/08 6330 2
96256 [일반] 퇴사후 세계여행 - 100일 업뎃 (태국라이프) [31] reefer madness6796 22/08/08 6796 6
96255 [정치] 보수 콘크리트 지지층의 균열 [57] 치느12592 22/08/08 12592 0
96254 [일반] 책 후기 - <지구 끝의 온실> [8] aDayInTheLife6472 22/08/08 6472 4
96252 [정치] 내가 윤석열 정권에 원했던 것 [233] 스토리북19794 22/08/08 19794 0
96251 [일반] 실제로 유용하지 않은 윈도우 단축키 Win + D 키 [22] Pika489281 22/08/08 9281 6
96250 [정치] 윤석열 대통령, KSOI 여론조사 부정평가 70%대 돌파-리얼미터 지지율 30% 붕괴 [114] Davi4ever15816 22/08/08 15816 0
96249 [일반] 컴퓨터 파일 작업시 의외로 안 되는 기능 Pika486776 22/08/08 6776 3
96248 [일반] T-50/FA-50 이야기 3편 - (개발사2) 탐색 개발로 가는 길 [19] 가라한7271 22/08/08 7271 28
96247 [일반] 의사 간호사 협회 1인 시위 논란 [135] 달은다시차오른다16713 22/08/07 16713 16
96246 [정치] 칩4 선택의 기로에 놓였네요. 드디어. [109] 빼사스16798 22/08/07 16798 0
96245 [일반] [일상] 바람나오는 통풍 매트리스 후기 [17] VictoryFood11943 22/08/07 11943 4
96244 [일반] T-50/FA-50 이야기 2편 - 개발사1 [19] 가라한8041 22/08/07 8041 34
96243 [일반] 읽고 싶은 만화책 목록입니다. [32] 애플댄스7101 22/08/07 7101 0
96242 [일반] 잘차려놓은 비빔밥 한 상 - 넷플릭스 카터 [37] 닉언급금지9895 22/08/07 9895 7
96241 [일반] Wccftech 주인장 핫산. 그래픽카드 제조 준비 확인 [10] SAS Tony Parker 8989 22/08/06 898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