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7/26 11:54:13
Name Leeka
Subject [일반] [단독]우리은행 횡령 또 발견...총액 700억원 육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4872868?sid=101


이란에 줄 돈 616억을 후르륵 짭짭한걸로 알려진 우리은행 횡령범이

알고보니 대우일렉트로닉스 인천공항 매각 계약금 70억중 50억을 추가로 횡령한것이 확인되었으며

더 찾아보니 '다른 횡령금 24억이 또또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우리은행은 관련해서 금융사고로 697억을 공시했으며...

추가 횡령이 더 있을수도.. 있을거 같네요

(털면 털수록 다른 횡령이 계속 나오는..  )



역시 오스템임플란트를 제외하고. 원조 킹이였던 만큼 천하제일 횡령대회에서 적수들이 횡령금을 올리자..  가볍게 제압해주시는거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7/26 11:56
수정 아이콘
저래도 되니까 하겠죠? 각종 세탁 방법 이용해서 저기에 10프로라도 빼돌리면 아몰랑 감옥가도 성공이야 이런 것인가..
22/07/26 11:5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오스템임플란트야 급성장한 회사니깐 회사에 허술한 점이 많을수 있다 치더라도, 신용을 최고로 하는 은행에서 이런 일이 터지면 안되는거 아닌가요. 한심한 수준이네요..
22/07/26 12:01
수정 아이콘
여러 금융권 알려지지 않은 횡령은 얼마나 더 많을까요...
평생일해서 고작 몇억 버느니 한탕해서 몇년 감방에서 좀 쉬다 나오면 남부럽지 않게 살수 있으니...
겨울쵸코
22/07/26 12:03
수정 아이콘
오스템임플란트와 우리은행은 급이 다르죠. 오스템임플란트는 그나마 빠르게 빈 금액을 발견했지만, 우리은행의 전모씨는 입사 직후부터 매우 긴 기간동안 저 짓을 계속 반복하고 있었다고 하니 내부 감시 시스템이 없다시피 했다는 거죠. 심지어 추가로 발견된 계좌는 저 대우 자금이 있는 계좌가 아니라죠. 시스템이 저런 상황에서 저 은행이 지금까지 버티고 있었던 게 대단하다고 생각됩니다.
천사소비양
22/07/26 12:04
수정 아이콘
은행이 이렇게 무능한가요? 많이도 해 먹었네요
VictoryFood
22/07/26 12:07
수정 아이콘
아이유가 열심히 광고해봤자 ㅠㅠㅠ
민초조아
22/07/26 12:10
수정 아이콘
정유사 영업이익 = 대부분 수출, 코로나로 19-20년 적자 개꼬라박음
은행 영업이익 = 대부분 내수, 적자? 그게 뭐죠?
게다가 내부통제도 안됨
근데 횡재세는 정유사한테만 걷어야 함 크크크
겨울쵸코
22/07/26 12:25
수정 아이콘
횡재세는 정유사가 횡재를 해서 걷는다기보단, 현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유류값을 낮추려고 걷는 겁니다.
얼마 이상 유류값을 높이지 말라는 경고인거죠.

유류값의 상승 원인인 우크라이나 전쟁때문에 수많은 기업들이 러시아에서 하던 사업들을 멈춰야 했습니다.
그에 반해 정유사들은 오히려 높은 유류값에 반사 이익을 얻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고요.
글 마지막 '크크크'에서 도대체 뭐가 웃긴지는 잘 모르겠네요.
22/07/26 12:38
수정 아이콘
국가주의적 경제관을 선호하는 마음은 이해가 갑니다.
수출 산업에 더 가점을 주시는 것도 이해는 갑니다.

다만 금리상승기 돈 버는 산업인 주제에 수출 산업도 아니고 내부통제가 부족하다는게 정부가 세금을 걷게 할 수 있는 이유가 되기엔 부족합니다.

그리고 걱정안하셔도 될 것은 이미 은행들은 정부 말을 충분히 잘 듣고 금융당국의 권고사항대로 행동하고 있습니다.
Navigator
22/07/26 12:50
수정 아이콘
몇년전부터 [공부하세요]라는 말이 되게 꼴불견인데, 여기 댓글엔 그렇게 적어도 하나 이상하지 않아요.
또바기
22/07/26 13:45
수정 아이콘
은행과 정유산업을 비교하는 논리를 제외하고
횡재세는 어처구니 없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겨울쵸코
22/07/26 14:09
수정 아이콘
이번 유가 상승은 특수한 상황이죠.
이미 공급망 혼란으로 인플레이션이 높은 상황에서, 고유가로 인한 국가 경제에 끼치는 영향이 너무 큽니다.
당연히 정부가 나설 일이죠.
이번 건이 딱히 특수한 경우도 아니고 국가의 모든 산업엔 어떤식으로든 정부가 혜택이나 세금을 매기고 있습니다.

유가가 떨어져서 손해나면 세금 감면해주냐는 질문엔,
그 회사의 부도가 전 산업에 영향을 미칠 경우엔 공적자금 투입과 특혜를 주겠죠.
님이 좋아하는 자유시장이라면 그런 식으로 기업을 살리는 건 옳지 않은 거죠.
마치 언제는 안했다는 듯이 말하시는데 그거야말로 어처구니 없는 질문이네요.
오히려 러시아 투자했다 손실 본 회사들의 손해는 정부가 왜 책임져주지 않나요?
또바기
22/07/26 14:12
수정 아이콘
얼래 제 댓글 또 사라졌네요..
여기에있어
22/07/26 17:27
수정 아이콘
근데 경제학 개론에는 세금을 매기면 가격이 올라긴다고 나오지 않나요? 가격을 올리지 말라고 세금을 매기는게 저는 이해가 안되네요...
답이머얌
22/07/26 22:36
수정 아이콘
이익에 대한 세금 아닌가요? 가격에 대한 세금이 아니라?
부가세는 가격에 대해 붙이므로 물건값이 상승,
법인세는 이익에 대해 세금을 붙이므로 기업의 세후 순이익이 줄어들지 법인이 생산해내는 재화와 용역 가격에는 변동이 없는 그런 경우 아닐까요?
여기에있어
22/07/27 07:37
수정 아이콘
저도 말씀하시는 바에 동의합니다. 그럼 가격에 변화가 없는데 왜 가격을 낮추기위해 세금을 매긴다고 하나요?
겨울쵸코
22/07/27 01:16
수정 아이콘
부가세가 아니라 그 기업의 이익에 대한 세금입니다.
그리고 비율로 세금을 매기는 게 아니라, 일정 수익 이상부터는 세금을 크게 매기겠다고 경고하는 거고요.
생각없이 맹목적으로 텍스트를 받아들이지 마시고, 공부하면서 좀 더 생각을 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특히나 경제학은 정답이 없고, 이론들이 시시각각 변하기에 교과서는 하나의 참고일 뿐이라죠.
여기에있어
22/07/27 07:36
수정 아이콘
세율이 100%가 넘지 않는한 기업의 입장에선 가격을 올려서 이윤을 올릴 수만 있다면 가격을 올리겠죠. 경제학 개론이 완벽한 이론이 아닌 것은 분명합니다만, 그걸 거스르는게 얼마나 힘든진 전 정권이 보여줬죠. 겨울쵸코님은 마치 당연하다는 듯이 교과서와 반대되는 말씀을 하시는데 전 그다지 당연해 보이지 않는군요.
겨울쵸코
22/07/28 02:08
수정 아이콘
그럴 수 없죠. 가격을 올리면 소비가 줄고, 또 가격을 올린만큼 세금이 더 커지기에 가격을 올린 만큼의 이윤을 얻지 못하죠. 그렇다고 손해를 보는 건가 하면 그렇지도 않고요. 이미 큰 이익을 올리고 있기에 그렇다고 생산을 줄일 이유도 없죠. 부동산은 깊게 들여다보진 않았지만 얼핏 들은 정보로는 전 정권 또한 경제학 개론을 크게 거슬렀다고 생각하진 않고요. 단지, 거래 세금을 올리면 시장에 거래가 줄어들고 공급이 줄어들거란 생각을 하지 못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과 원유 시장은 성격이 너무 달라요.
겨울쵸코
22/07/28 02:10
수정 아이콘
이론이 중요하긴 하지만, 그렇다면 왜 그런 현상이 생기는 지 설명이 있어야 합니다. 여기에 있어님은 단순히 이론의 이름만 말하고 왜 그런지 설명하지 않아 생각을 해보시는 게 어떨까해서 이야기 했습니다.
여기에있어
22/07/28 04:00
수정 아이콘
겨울쵸코님은 세금의 부과 이유가 가격을 낮추기 위함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세금이 부과되면 가격이 올라간다"는게 훨씬 당연한 명제라고 생각했고, 세금이 가격을 낮춘다는 이론을 보도 듣도 하지 못했습니다. 제가 열심히 생각해본 바, 가격을 100원 올리면 세금을 100원보다 높이 올리는 100% 이상의 세율일 경우에만 세금이 가격을 낮출 수 있을거라 생각했어요. 근데 이건 당연히 비현실적인 상황이고. 그래서 겨울쵸코 님께서 주장하신 "가격을 낮추기 위해 세금을 부과한다"는 논리에 대해 부연 설명을 부탁드린 것입니다.
22/07/26 12:13
수정 아이콘
또리은행이야?
22/07/26 12:15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taV3i_Qqf9k
오려 붙이기 문서 조작으로 700억 77ㅓ억~
40초부터 보세요.
WalkingDead
22/07/26 12:16
수정 아이콘
이젠 투자 안하면 호구가 아니고 횡령 안하면 호구죠. 무기징역 마렵네.
류지나
22/07/26 12:16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해서 저 정도의 금액은 개인으로서는 비가역적인, 회복불능의 피해라고 할 수 있는데...
지금 군인 전사자 대우가 2억원 정도라고 알고 있는데, 이 사람은 350명 만큼의 물질적 피해를 사회에 입힌거나 다름없죠.
그런데도 금융, 사기, 횡령, 배임 등의 범죄가 한없이 가볍게 취급되는게 통탄스럽습니다.
겨울쵸코
22/07/26 12:24
수정 아이콘
저 정도면 무기징역까지 나올 수 있다고 들었기에 가볍게 취급되진 않을 거 같습니다만, 문제는 저 사람이야 감옥에 얼마나 있던지 그 돈을 회수 할수 있는지가 문제죠. 자금 세탁을 엄청 부지런히 했던 거 같던데...
-안군-
22/07/26 12:48
수정 아이콘
이제 마냥 가볍게만은 안하는 것 같더라고요. 얼마전 옵티머스 펀드 사기범이 40년형 받았습니다.
22/07/26 12:58
수정 아이콘
300억 이상부터 집유 확률 상승이던데 그냥 최저시급 하루 8시간 계신으로 형량 때리자. 얼마나 심플해. 토해내면 거기서 감량해주고. 저렇게 해도 어쩔횡령하고 살다 나오면 밷 두들겨사며 꺼억~ 할텐데
slo starer
22/07/26 12:58
수정 아이콘
저정도 횡령했으면 무기징역 살아야죠. 횡령한돈 다 토해내지 않는한. 노역으로 깔수 있는 벌금을 최저시급에 준하게 법을 고쳐야 되는데 매번 황제노역 논란될때마다 어영부영 넘어가는 듯.
톤업선크림
22/07/26 12:59
수정 아이콘
아니 은행 횡령이 이렇게 쉬운거였나요?
은행인데 돈관리 철저히 안되는게 쇼킹이네요...-_-;;
22/07/26 13:02
수정 아이콘
이제 슈퍼개미 개인이 주식 매수공시 뜰 때마다 이것도 횡령한 돈 아니야? 이 생각부터 들더군요.
22/07/26 13:06
수정 아이콘
이야 역시 Worry은행…
22/07/26 13:08
수정 아이콘
사람의 선의와 시스템을 믿고서만 뭐가 될리가 없고, 구멍이나 생각을 뛰어넘는 헛점은 어디나 존재합니다.

한번 일어난 일이 두번 일어나지 않도록 일벌백계는 당연하고,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는 헛점을 막아내는게 은행이라고 한들 별 다를바 없다는 반증이라고 봅니다.

그나마 최근에 일어난 그 건 이후로 대대적인 감사작업을 하면서, 일어난 일에 대한 발견을 하고 있는거로 보인다는 점에선 차라리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른 금융권이라고 과연 헛점이 없고 저런일이 없을까 의심이 안생길수가 없죠.
소믈리에
22/07/26 13:10
수정 아이콘
공부하라는 이유가 이거였구나
공부해서 금융권으로..
쪼아저씨
22/07/26 13:14
수정 아이콘
드라마 보면 미국은 횡령이나 탈세 금액에 따라 처벌이 어마무시 하던데, 우리도 엄벌했으면 좋겠습니다.
도덕이라는 개념이 점점 희박해 지는데 법도 솜방망이니까 갈수록 태산인듯.
성큼걸이
22/07/26 13:15
수정 아이콘
법을 바꿔야죠. 횡령금액을 횡령당시 연봉으로 나눠서 최소한 그 기간 이상의 형량을 줘야 하고, 형기 동안 중도 출소 못하게 해야합니다. 그래야 대규모 횡령범이 빵 살고 나가서 세탁한 자금 찾고 떵떵거리면서 사는걸 막을 수 있습니다
22/07/26 17:11
수정 아이콘
저는 더 나아가서 미환수 금액에 대해선 추가로 최저임금을 적용해서 때려야한다고 생각합니다.
22/07/26 13:21
수정 아이콘
아니근데 우리은행 정도면 한국에서 최상위 금융회사는 아니라고 해도 나름 메이저한 곳 아닌가요
뭐 같은 놈이 두 번이나 털어먹는데도 그걸 여지껏 몰랐다는게 말이 되나....;;
겨울쵸코
22/07/26 13:26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 5대 은행 중 하나입니다. 그 중 가장 작긴 하지만요.
22/07/26 13:32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요. 국민은행같은 공룡에 비하면야 작지만 나름 탄탄하고 큰 은행인데....
아 이젠 탄탄하다 소릴 붙이면 안되는건가(...)
22/07/26 13:27
수정 아이콘
10원짜리 하나틀려도 퇴근못한다는 거는 도시전설이었나요?
22/07/26 13:51
수정 아이콘
일반 창구영업계에선 그게 맞는데, 은행이라고 창구영업만 하는게 아니니까요.
번아웃증후군
22/07/26 13:35
수정 아이콘
유게에 대우조선 노동자 급여랑 연달아 보니 술 생각이 나네요 하하..
AaronJudge99
22/07/26 13:43
수정 아이콘
참……..
견물생심이라고 사람 마음이 돈을 보면 흑심이 생기는거야 인지상정입니다만은
그거를 시스템적으로 막아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잘 못 막았네요
무너진 외양간이라도 안 고치는거보단 고치는게 백번 나으니 재발 방지 노력을 기울였으면 좋겠습니다
한번 일어난건 한번에서 그치지만 두번 일어난 건 세번 네번…계속 일어날 수 있으니까요…
산다는건
22/07/26 13:49
수정 아이콘
시스템이 뭐 어떠했길래 저러게 된걸까요. 이해가 안가네요.
22/07/26 13:54
수정 아이콘
건너건너 들은거라 정확치는 않은데

계좌에 돈을 넣어둔게 아니고, 금고에 현물(돈)을 넣어두고 그 금고를 관리하는 형태로 유지됐다고 하는거로 알고 있습니다.
금고가 열리고 닫힐때마다 기록이 남는 시스템이 아닌 일반적인 (우리가 아는 그 금고) 였다고 가정하고 금고키를 관리하는 직원인데 업무에 대한 분장이 미묘하게 꼬여버리면서 빈틈이 남았고, 그때부턴 그냥 필요할때 꺼내다 쓰는 상황이 되었다란 이야기가 있습니다.

법정분쟁이 끝나는 순간 바로 줘야 하기 때문에 계좌에 넣고 동결이 아닌 현물을 관리하는 형태로 둔건데 그 관리를 왜 은행의 제대로된 금고가 아닌 사무실 형태의 공간에 뒀냐는 좀 의문이긴 합니다. 아마 이번 사건 이후로 저런 형태의 자산을 거치중인게 있으면 은행금고로 가도록 개선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산다는건
22/07/26 13:57
수정 아이콘
현금을 금고에 보관하고 있으면 현물관리를 주단위든 월단위든 해서 보고하고 사인할텐데, 횡령한 사람말고 사인한 사람들도 문제가 되겠네요.
그런 시스템도 없었다면, 그냥 은행해체가 빠를거 같구요.
마음에평화를
22/07/26 18:33
수정 아이콘
1년 무단결근 기사를 보니 우리은행장 직인도 지가 찍었다는데 그 정도 사인이야 누워서 떡먹기 였을듯
전자수도승
22/07/26 14:02
수정 아이콘
??? : 하지만 범죄는 가난한 사람들이 더 많이 저지른다구요!

자본주의잖아요
액수로 따집시다
Pathetique
22/07/26 14:11
수정 아이콘
1억에 2년씩 때리면 딱 맞을 것 같은데...
22/07/26 14:32
수정 아이콘
경영 잘못해서 10조, 횡령으로 700억, 월 200만원짜리 노동자의 집단행동...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하루네요.
유유할때유
22/07/26 14:57
수정 아이콘
저게 한명이 횡령할수있는 액수인가요?
공범없이 가능한 액수인지 덜덜
마음에평화를
22/07/26 14:58
수정 아이콘
알려진 리스크라 그런가 우리은행 주식은 크게 변동도 없네요..
제3지대
22/07/26 15:16
수정 아이콘
저도 은행에 취직해서 1천억 횡령할걸 그랬나 봅니다
호머심슨
22/07/26 15:25
수정 아이콘
우리은행직원들은 기본적으로
현금 100억이상 있겠군요.
부럽다.프리패스.
던져진
22/07/26 15:55
수정 아이콘
전관 써서 3년 살고 나오겠군요.
페스티
22/07/26 16:01
수정 아이콘
이 은행 그만 쓸 때가 된건가
인간실격
22/07/26 17:38
수정 아이콘
7억도 아니고 70억도 아니고 700억 크크 동네 구멍가게도 돈관리 이렇게는 안할거같은데 말이죠 역시 안해먹는게 바보인 세상이네요
나혼자만레벨업
22/07/26 17:48
수정 아이콘
금융위 파견 간다고 거짓말하고 1년 무단 결근도 했다고 기사 나왔네요.
人在江湖身不由己
22/07/27 07:14
수정 아이콘
금융위요? 크크크크
성큼걸이
22/07/27 11:43
수정 아이콘
횡령보다 이게 더 레전드인거 같네요
고위 임원도 아니고 평사원이 1년 무단 결근이 가능한가
푸크린
22/07/26 18:41
수정 아이콘
lck 같은거로 백날 홍보해봤자 이런거 하나로 호감작 다 까먹을텐데 뭐하냐?
Naked Star
22/07/26 20:26
수정 아이콘
??? : 어설프게 1,2억 말고 한방에 크게 먹으란 말이야
새강이
22/07/27 10:49
수정 아이콘
고객 돈은 '우리' 돈 후덜덜
카페라떼
22/08/01 15:04
수정 아이콘
은행인가 atm 머신인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6213 [일반] 피라미드 상공에 뜬 블랙이글스 비행팀 [23] 어강됴리8995 22/08/04 8995 2
96212 [정치] 똥 싸는 사람과 치우는 사람이 다르네요 [106] 크레토스17062 22/08/04 17062 0
96211 [일반] 짧은,탑건-일반 / 한산-4dx 관람후기 [10] Lord Be Goja6977 22/08/04 6977 0
96210 [정치] 하태경 "국회의장은 펠로시 의장에게 사과해야" [226] Odin23792 22/08/04 23792 0
96209 [정치] 중도층의 현정부 우려점 [38] 가나다11175 22/08/04 11175 0
96208 [일반] AMD Ryzen 7000, 8월 29일 발표/9월 15일 출시? [26] Nacht6228 22/08/04 6228 2
96207 [정치] 펠로시 의장 측 의전관련 메시지 나왔습니다 [523] Tiny29562 22/08/04 29562 0
96206 [정치] 윤석열의 방한하는 펠로시와 접견여부가 또 논란이네요. [1077] 앙겔루스 노부스48815 22/08/03 48815 0
96204 [정치] 국민의 힘 상임전국위 5일·전국위 9일 개최 [142] 카루오스15759 22/08/03 15759 0
96203 [일반] <비상선언> - 더 괜찮을 수 있었던.(강스포) [23] aDayInTheLife7427 22/08/03 7427 0
96202 [일반] 서울아산병원에서 수술할 의사가 없었다는 점에 관하여 [85] 사경행18072 22/08/03 18072 12
96201 [정치] 만 5세 입학 이슈에 대한 초2 학부모의 잡담 [64] Sputnik12064 22/08/03 12064 0
96200 [일반] 일상다반사 [12] Goodspeed7172 22/08/03 7172 56
96199 [정치] 눈시울 붉히는 학부모 달래는 박순애 장관 [143] 동굴곰23032 22/08/03 23032 0
96198 [일반] 넷플릭스 그레이 맨 후기? [37] 헝그르르8602 22/08/02 8602 3
96196 [일반] 컴퓨터 부품 유통사 블랙&화이트 리스트 [83] SAS Tony Parker 18236 22/08/02 18236 25
96195 [일반] 환구시보 = 정치깡패 or 사냥개인데 , 이번에 그 전 편집장이 오바한거겠죠 . [49] 아스라이13306 22/08/02 13306 1
96194 [정치]  대통령 관저 공사, 김건희 여사 후원업체가 맡았다 [215] 밥도둑20670 22/08/02 20670 0
96193 [일반] 임신과 또 다른 고민 [32] 보리차9801 22/08/02 9801 32
96192 [정치] 국가적인 문제점과 정책들이 뭐가 있을까요? [26] 코지코지8587 22/08/02 8587 0
96191 [정치]  거짓말하는 정권의 거짓말 장관 [178] Rio19366 22/08/02 19366 0
96190 [일반] 2차 대유행(오미크론 BA. 5 재유행) 예측과 지속가능한 방역전략 [87] 여왕의심복13010 22/08/02 13010 115
96189 [일반] 후덜덜한 미-중 상황 [205] 퀀텀리프25774 22/08/02 25774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