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7/23 14:41:43
Name Leeka
Subject [정치] 가계부채에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비율은? (수정됨)


1. 주담대기준 변동과 고정비율은?
- 변동 46.3%
- 고정 53.7%

주담대만 or 주담대와 적당량의 신용 또는 회사대츨같은 저리를 받은 사람들은 금리 이슈를 버틸수 있는데요
대강 절반은 이슈가 없고, 절반은 이슈가 있다고 보면 될것 같습니다

2. 주담대가 가계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 주담대 44.1%
- 그 외 55.9%

그 외의 대출도 사실 주담대 받고 부족한걸 빌리는 신대등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론 주택구매가 가계부채의 반은 넘는다고 볼수 있고
전세대출같은 임차인 대출까지 고려하면 가계부채는 결국 부동산 지분이 압도적이긴 합니다

3. 모든 대출 계산시 가계부채에서 고정과 변동은?
- 변동 77.7%
- 고정 22.3%


즉 금리를 올릴때마다 가계부채의 77%는 영향을 받는 상태라고 합니다

금액으로 환산시에는 0.25 상승시
연 3조 6천억의 이자부담으로 볼수있다고 하네요

금리 인상이 가계부채와 그로인한 실물경제 영향을 얼마나 줄지에 대한 참고자료로 보시면 될것같네요


https://m.dailian.co.kr/news/view/1133861/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식인
22/07/23 14:47
수정 아이콘
주담대 제외 그 외 부분에 해당하는 대출은 크게 보면 전세자금대출, 생활비대출, 자영업자대출 정도 될 까요? 그 비율도 궁금하긴 하네요. 담보대출 보다는 그 외 신용대출 부분이 리스크가 더 크지 않을까 싶긴 한데요.
지구돌기
22/07/23 14:50
수정 아이콘
보통 주담대의 경우 3년에서 5년 고정 후 변동인 경우도 많은데, 이건 변동으로 분류되는지 고정으로 분류되는지 모르겠네요.
이게 고정으로 분류되었다면, 예상보다 영향이 더 클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변동이라면 반대일 거 같고요.
-안군-
22/07/23 15:06
수정 아이콘
요즘 커뮤니티나 유투브를 보다보면, 금리가 오르고 있는 점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 같아 보이는데, 그것보다는 금리상승이 멈추고 고금리가 얼마동안 유지가 될 것인가도 같이 생각해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전 경우를 살펴보면 짧아도 1년, 길면 수년까지도 유지가 됐는데, 이게 대출자들에겐 더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이거든요. 금리가 좀 올랐다고 그걸 당장 청산해버릴 수 있는 사람들이 그리 많지는 않을테니까요
벚꽃자몽
22/07/23 17:42
수정 아이콘
주담대에 고정은 없다 그러고, 5년고정 변동금리로 대출 받았는데요. 50%넘게가 고정 금리네요? 대출상담원에 낚인건가..
22/07/24 01:38
수정 아이콘
보금자리론같은 정부정책 주담대가 완전고정금리입니다

일반은행은 30~40년 고정 없는게 맞습니다
하아아아암
22/07/24 19:25
수정 아이콘
https://www.standardchartered.co.kr/np/kr/pl/bw/LoanDetail.jsp?id=3237

시중은행 30년 고정 없다하셔서 충격받고 찾아봤는데, 이런것들 있지않나요?
teragram
22/07/23 20:53
수정 아이콘
어차피 별로 상관이 없는게,
금리는 원래 내렸다 올랐다 합니다.
30년 주담대 변동 금리로 받은 사람이 최근에 금리 올랐다고 30년 내내 높은 이자 내는게 아닌거죠.
30년 동안 금리 인상 인하 사이클 몇번은 돕니다.
굳이 비교를 할꺼면 그걸 평균 낸 값을 고정 금리랑 비교해야 맞는 비교죠.
답이머얌
22/07/24 01:10
수정 아이콘
문제는 지금 당장 버티는게 문제라는 거죠.
같은 액수라도 앞으로 과도한 인플레가 진정되고(연 2% 상승률 이내 유지시 안정적인 경제 운용이라고 하죠.) 나이가 들면서 소득이 증가하면 갚아나가는 부담은 저절로 경감되는데, 지금은 과도한 인플레에(고정 지출비 상승) 급격한 금리 인상(대출금 상환 부담)이 이중 충격을 주어서 이 기간이 얼마나 갈지가 굉장히 중요해지죠.
22/07/23 23:57
수정 아이콘
주담대야 어떻게든 잘 버틸거라 보는데 전세 대출이나 신용 대출쪽이 약한 고리인 거 같은데 과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6333 [일반] T-50/FA-50 이야기 6편 - (개발사5) 체계 개발로 가는 길 [18] 가라한11906 22/08/13 11906 21
96331 [일반] 나의 1년반 필라테스 경험 후기 [31] FKJ13792 22/08/13 13792 9
96330 [정치] 이준석 : 양고기라고 쓰고 개고기를 팔았던 건 사실 나였다 [981] 강동원49807 22/08/13 49807 0
96328 [정치] 통일교 한국본부 아베 추모 [8] 나디아 연대기11542 22/08/13 11542 0
96327 [일반] [강제징용] 99엔...조롱잘하네.... [33] Janzisuka12599 22/08/13 12599 3
96326 [일반] 수호지, 명나라 마블 [33] 구텐베르크11960 22/08/13 11960 18
96325 [정치] 정부가 강남 알짜 빌딩을 매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336] Crochen32298 22/08/12 32298 0
96324 [일반] 코로나 피해가는 줄 알았는데 결국 못피해가네요ㅠㅠ [27] 김유라13490 22/08/12 13490 7
96322 [일반] '꼬마 니콜라', '좀머씨 이야기'의 삽화가 장 자크 상페 90세 나이로 별세 [19] EpicSide12104 22/08/12 12104 10
96321 [일반] 마이크로닉스, 침수 피해 자사제품 교환 서비스 나서 [20] SAS Tony Parker 14866 22/08/12 14866 5
96320 [정치] [댓읽기] 윤석열대통령 휴가 5일간의 이슈 총정리 [71] 트루할러데이19421 22/08/12 19421 0
96319 [정치] 수도권 중부 지방 수해 중에 남쪽에서는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42] 미켈슨20085 22/08/12 20085 0
96318 [일반] 망글로 써보는 게임회사 경험담(11) [31] 공염불11471 22/08/12 11471 30
96317 [일반] [테크히스토리] 선풍기와 에어서큘레이터의 차이를 아시나요? / 선풍기의 역사 [17] Fig.1101362 22/08/12 101362 19
96316 [일반] 피를 마시는 새를 읽으며 든 몇가지 질문들 [11] 닉언급금지11032 22/08/12 11032 3
96315 [일반] 런데이 앱 첫날 후기 + 잡다한 이야기 [7] Lord Be Goja13426 22/08/12 13426 6
96314 [일반] 맥주덕후라면.. CU가서 응원합시다.. [52] 대장햄토리17592 22/08/11 17592 9
96313 [정치] 행정안전부, 보수단체와 광화문 태극기행사 취소 [24] 사경행14685 22/08/11 14685 0
96312 [일반] [주식] 2022년 중간결산 - 주린이의 주식 도전기, 주식은 너무 어려워 [54] 탈리스만11353 22/08/11 11353 6
96311 [일반] 수렁으로 빠져들고 있는 러시아 [205] 어강됴리28416 22/08/11 28416 18
96310 [정치] 국민의힘, 수해 현장 봉사활동...주민들 "방해된다"며 항의 [121] Odin20271 22/08/11 20271 0
96308 [정치] 김학의, 뇌물도 무죄 확정…9년 만에 사법부 최종 판단 [128] Davi4ever18931 22/08/11 18931 0
96307 [정치] 국힘발 말실수(?) 어제 하나 더 추가되었네요. [57] 하프-물범17868 22/08/11 1786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