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7/16 12:43:33
Name 단비아빠
File #1 3f660d7979b4cedc5fe066bc208cd96b.png (52.0 KB), Download : 26
Link #1 https://goodegg.win/it/3050
Subject [일반] gfycat 사용을 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수정됨)


제가 다니는 다른 사이트에 어떤 분이 gfycat에 대해서 질문 글을 올리셨더군요.
한국에서 gfycat을 많이 쓰는거 같은데 광고도 없는데 어떻게 돈을 버는지 궁금하다고..
순간적으로 저도 궁금하더군요. pgr21 유머게시판에서도 gfycat 영상을 정말 많이 봤거든요.

그래서 모자란 검색실력으로 gfycat에 대해서 이래저래 검색해봤는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gfycat이란 회사가 좀 위험한 상태가 아닌가 의심됩니다.

gfycat.com은 2015년 오픈했으며 2015~2016 사이에 총 1200만 달러의 투자금을 받았습니다. 현재 매출은 확인할 수 없습니다만 문제는 현재 직원수가 3명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gfycat이 한국 사이트에선 꽤 자주 보이지만, 사이트 내부 랭킹을 보면 신기할 정도로 한국 사용자의 비율이 압도적입니다. 미국 사람들은 별로 쓰질 않는 것처럼 보이죠.

실제로 gif 짤방 제공 업계에서 1위는 giphy라는 업체이며 2억 5천만명의 액티브 유저를 가지고 1년에 28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린다고 합니다. 직원 수도 16명이구요.

gfycat과는 꽤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giphy는 2014년에 오픈해서 1500만 달러의 투자금을 받았습니다. 투자금 액수도 비슷하고 시작 시기도 비슷하지만 gfycat은 경쟁에서 졌고 그 결과 극단적으로 직원수를 줄이고 남은 투자금으로 버티기 모드에 들어간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여담이지만 giphy의 매출은 기이할 정도로 높은데 짤방 업계에서 1위로 추측되는 imgur의 경우에는 giphy보다 많은 3억명의 액티브 유저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년 매출이 780만 달러에 불과하거든요. 더군다나 imgur은 광고 배너가 있지만 giphy는 광고 배너가 없습니다.

개인적인 추측으로는 giphy의 매출은 구글로부터 오는게 아닌가 합니다. 안드로이드 구글 키보드인 Gboard에 gif 짤방을 삽입하는 기능이 있는데 이 gif가 giphy에서 가져오는 것으로 보이거든요. 아마 이 매출이 어마어마한게 아닐까 추측됩니다. 그외에도 비슷한 gif 짤방 연동을 여기저기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하여튼 직원 3명이면... 실제로 CEO가 한자리 차지하고 뭔가 사소한 사무 처리하는 분이 한자리 차지하고 있을테니.. 기술인력은 거의 없는거나 마찬가지일겁니다.

그나마 지출 비용을 최소화하고 있다면 좀 더 오래 버티는걸 기대해보겠지만 IP 검색을 해보니까 서버 위치가 아마존입니다. 뭐 흔한 일이죠. 첨에 돈 많을때 아마존에서 시작했다가 나중에 돈이 말라서 다른 싼 곳으로 옮기고 싶어도 서버이전도 대공사인데 그 일을 할 사람이 없어서 그냥 울며 겨자먹기로 아마존에 엄청난 비용을 지불하며 버티다가 결국 망하는거죠.

gfycat이란 사이트가 버티는데 있어서 가장 큰 비용은 트래픽 비용으로 생각되는데.. 아마존이 아니라면 꽤 싼 곳도 많지만.. 아마존 트래픽 비용은 진짜...

기적적으로 gfycat이란 사이트가 다른 대기업에 인수되던가 하면 모르겠습니다.

사실 가능성은 있습니다. 실제로 구글은 테너라는 gif 업체를 2018년에 인수했었습니다. 다만 테너가 제대로 발전을 못해서 결국 giphy에 별도로 비용을 지불하고 연동하고 있는 것 같지만.. 그 비용을 지불하는 대신 자체 업체를 갖추는게 낫다고 생각되면 구글이나 마소같은 업체가 gfycat을 인수하려고 들 가능성도.. 없지는 않겠지요? gfycat은 이거 하나 바라보고 버티고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gfycat이 위험하다는 생각이 드니까 옛날에 mncast 망했던 생각이 드네요. 그때 게시판에 링크되어 있던 수많은 영상자료들이 소실되었죠. gfycat이 사라지면 비슷한 일이 발생하지 않을까 싶은데.. 미리미리 조심을 좀 하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nbolot
22/07/16 13:09
수정 아이콘
딱히요 원본영상이 유투브등지에 없는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카피영상이 gfycat에만 올라간것도 아니고요
하루빨리
22/07/16 13:42
수정 아이콘
소스야 다양하게 있겠지만 예전에 쓴 글에 올린 소스 링크 끊기는건 어쩔 수 없으니까 본문의 우려는 공감됩니다. 저도 가끔 제 예전 글 찾아보곤 하는데 그때 링크깨진거 보면 좀 그렇거든요.

유투브 잘 나가는 이유 중 하나가 수익이 되고 글로벌하고 등등이 있지만 가장 큰게 망할거 같지 않다. 그렇기에 여기에 내 소스를 보관해 두면 안전하겠구나 하는 믿음이거든요. 지금 본문은 그걸 이야기하는거라 봅니다.
이선화
22/07/16 13:43
수정 아이콘
어차피 원본을 gif화 시켜서 올리는 용도인데 날아가봐야 옛날 gif 짤들만 못 쓰는 거고 원본 자료가 소실되지는 않을 것 같네요. 이미 올라간 gif야 날아가는 건 어쩔 수 없을테고
Janzisuka
22/07/16 13:53
수정 아이콘
예전에 싸이나 몇몇 플랫폼에 올렸던 영상 이제 못봐서 ㅠㅠ 유튜브로 다 올릴껄
어서오고
22/07/16 14:28
수정 아이콘
gfycat은 원본을 저장한다는 느낌이라기보다는 gif 용량을 사이트 자체적으로 줄이지 못하는 커뮤니티에서 용량 줄이고 외부링크 따려고 주로 쓰죠. 로그인하면 소리 지원도 되구요. 근데 딱히 수익구조가 없어보이긴 해요. 편해서 쓰긴하는데...
콘칩콘치즈
22/07/16 14:31
수정 아이콘
예전에 엠군이나 mncast 에 올렸던 동영상 날린거 생각나네요. 그냥 유튜브에 올려놓을걸
VictoryFood
22/07/16 14:46
수정 아이콘
GFYCAT이 저장용으로 쓰이는게 아니라서 유저 충성도가 낮고 그러다 보니 유지하기 힘든 것 같습니다
꽑꽑꽑
22/07/16 15:10
수정 아이콘
망하면 옮기면 그만인 곳이라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
22/07/16 16:07
수정 아이콘
PGR처럼 움짤 안올라가고 태그넣기 힘든 사이트에서 따오려고 쓰는거지
보통 다른 사이트는 태그 잘 먹혀서 크크크
22/07/16 16:15
수정 아이콘
직원이 3명이라니 크크크
안그래도 언젠가부터 움짤 용도로 굉장히 많이 보이던데,
좀 위험한 상태였군요, 감사합니다.
마음에평화를
22/07/16 16:41
수정 아이콘
망하면 옮기면 된다 가 아니라

심지어 내 하드에 원본이 있더라도 갑자기 서버 터지면 일이 장난이 아닌데..

안 겪어보신 분들이 많은듯..;;
시린비
22/07/16 17:13
수정 아이콘
커뮤에 글 한번 올리려고 쓰는 경우가 많아서
하드의 원본이고 자시고 상관없는 사람이 많겠죠. 보관이 필요하면 당연히 하드든 웹하드든 다른걸 쓰는게 나을것이고
니시무라 호노카
22/07/16 18:16
수정 아이콘
22222
손금불산입
22/07/16 19:58
수정 아이콘
피지알에서 gfycat은 사실 업로더보다 독자친화적으로 사용되는 이유가 큽니다. 같은 길이라도 gif로는 몇십메가바이트를 훌쩍 넘길 짤들을 고작 수메가 이내로 줄여주기 때문에... 짤들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시는 분들이야 말씀처럼 주의할 이유가 있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보안 이슈가 아닌 이상 gfycat 사용을 주저할 이유가 없죠. gfycat이 없다면 십초 이내 gif 3-4개만 붙여도 50MB는 훌쩍 넘게 되는데 이러면 당장 읽는 사람들이 몹시 짜증나게 될겁니다.
윤석열
22/07/16 23:43
수정 아이콘
그냥 정보글인데 딱히 거리는건 무슨 심보인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6192 [정치] 국가적인 문제점과 정책들이 뭐가 있을까요? [26] 코지코지8635 22/08/02 8635 0
96191 [정치]  거짓말하는 정권의 거짓말 장관 [178] Rio19445 22/08/02 19445 0
96190 [일반] 2차 대유행(오미크론 BA. 5 재유행) 예측과 지속가능한 방역전략 [87] 여왕의심복13120 22/08/02 13120 115
96189 [일반] 후덜덜한 미-중 상황 [205] 퀀텀리프25845 22/08/02 25845 3
96188 [일반] 요즘 걸그룹 아이브에 완전 제대로 빠졌습니다 [47] 블랙리스트11467 22/08/01 11467 2
96187 [정치] 검찰 가족은 천룡인 [20] 금적신14388 22/08/01 14388 0
96186 [일반] 데스노트 vs 진격의 거인 파급력이 뭐가 더 쌜까요? [133] 그때가언제라도10275 22/08/01 10275 1
96185 [정치] 의사가 그렇게 힘들고 돈이 궁한 직업인가요? [275] sionatlasia18832 22/08/01 18832 0
96184 [정치] 처벌받지 않는 권력은 청렴하다. Feat. 김건희 [202] 전자수도승16543 22/08/01 16543 0
96183 [일반] <소설가의 영화> _ 창작자로서의 홍상수와 유희열 [10] 리니시아6490 22/08/01 6490 10
96182 [일반] 뇌출혈 발생 서울아산병원 간호사, 수술 의사 없어 전원갔다 사망(본문 내용 추가) [155] 자바칩프라푸치노18584 22/08/01 18584 5
96181 [정치] 대통령실 “국민제안 선정 안해…방해 세력 있는 것으로 느껴져” [71] 빼사스14066 22/08/01 14066 0
96180 [정치] 만5세 입학 방안에 대한 박순애 교육부 장관 인터뷰 (+추가) [273] 덴드로븀20898 22/08/01 20898 0
96179 [일반] 유명 연예인의 안 유명한 시절 이야기 [34] 지니팅커벨여행9482 22/08/01 9482 5
96178 [일반] LG 32un650 핫딜 떠서 글씁니다. [44] 키토11437 22/08/01 11437 0
96177 [일반] 신축 아파트 벽장 똥사태 [86] 소주꼬뿌18110 22/07/31 18110 38
96176 [일반] 예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투의 불법공매도 사태(Feat. 3pro, 슈카) [79] 도뿔이13802 22/07/31 13802 20
96175 [일반] 책 후기 -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 aDayInTheLife5391 22/07/31 5391 2
96174 [정치] 권성동은 직무대행 뿐 아니라 원내대표도 사퇴해야 한다. [248] 이순19067 22/07/31 19067 0
96173 [일반] 특전사의 연말 선물 [36] 북고양이8380 22/07/31 8380 16
96170 [일반] MBTI의 효용성에 관해서 (INTP 관점) [82] 만수르8458 22/07/31 8458 8
96169 [일반] 예장고신의 SFC 폐지 논의: 전통과 실효성 사이에서 [57] SAS Tony Parker 11463 22/07/31 11463 0
96168 [일반] userbenchmark에 7600X 벤치가 등록되었습니다? [14] manymaster7336 22/07/31 733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