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6/09 20:43:53
Name 푸크린
File #1 1654669318.jpg (32.5 KB), Download : 27
Subject [일반] 심상치 않은 아이폰 14 가격 예상 (수정됨)


1. 가격 인상

이번 주 있었던 맥북 발표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입니다

M2 맥북에어가 $1199로 발표됐는데 고환율 떄문에 원화로 169만원이라는 가격이 책정됐습니다.

또한 기존에 1년 6개월 간 팔던 M1 맥북에어가 $999에서 고환율 적용으로 가격이 올랐습니다,

아이폰14는 인플레를 반영해서 $100 일괄 올릴 것이라는 기존의 많은 루머들과 부합하는 결과라 사실상 출고가 인상은 거피셜급으로 취급받고 있습니다.

더해서 처음 말한 고환율(달러 강세) 기조가 적어도 아이폰 공개 시점인 9~10월까지는 이어질거란 예상이 많아 급격한 환율하락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정리하면 인플레이션 출고가에 반영 + 고환율 = 13대비 원화기준 16~20만원씩 오를 거란 예상이 지배적입니다.

한국만 그런게 아니라 달러 강세인 여러 나라에서도 자국화폐로 가격이 많이 오를 것이라 보고 있네요



2. 일반 , 프로

프로 라인업은 수많은 루머에서 변하는게 꽤나 많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직관적으로 가장 크게 다가오는 것은 펀치홀)

일반 라인업은 큰 변경점이 없다는 말이 많고 램이 2GB 늘어난다. 끝! 이라는 말이 지배적입니다.

한 가지 예상하기 힘든 건 미니를 없애고 새로 추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14 맥스'가 판매량이 얼마나 나올 것인지? 네요



3. 수요-공급

1) 수요

GOS와 삼성의 거듭된 삽질 때문에 갤럭시에서 이동하는 수요가 분명히 존재하는 상황이라

제 생각으로는 한국 수요가 이번이 역대급이지 않을까 합니다. (특히 프로, 프맥)

2) 공급

그런데 지금 13 시리즈 4개 모델이 현재 중국 봉쇄 이슈로 공급이 잘 안 되는 상황입니다.

특히 미니 모델이 심각한데, 미니는 자급제, 통신사 할 거 없이 물량이 부족한 상황이고 (5월이 피크, 6월은 어느정도 해소됨)

나머지 모델은 자급제 할인이 22년 초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상황입니다.

자급제는 보통 카드할인을 점진적으로 늘리거나 깜짝 핫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번이 이례적이죠

통신사 기변, 번이 정책이야 들쭉날쭉이 심해서 추후 예상이 어렵다 쳐도

14시리즈도 공급이 크게 원활하진 않을거란 뉴스가 많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지금 아이폰 구매자들 박스를 보면 생산월이 5월이라는 경우도 심심찮게 보이고 있습니다.


요약하면 전작대비 수요는 증가, 공급은 유지 혹은 감소 => 2차 판매자의 좋은 정책이나 핫딜은 나오기 어렵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4. 그래서 어쩌라고요

14 프맥/프로 살 생각인데 -> 대체재가 없으니 비싸도 4개월 버티고 구매

14 일반 살 생각인데 -> 지금 13 일반이나 미니 사는 경우도 적극적으로 고려 필요

14 맥스 살 생각인데 -> 확정이 아닌 부분이니 어찌됐든 존버밖에 답이 음슴

라고 보는게 현 시점으론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유게에 먼저 올렸는데 자게가 더 알맞은거로 판단해서 글삭제 및 내용 추가해서 새로 씁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ownTeamisDown
22/06/09 20:47
수정 아이콘
가격이 너무 비싸서....
이거 애플 사려다가도 흠할 가격이긴 합니다.
다음버전은 라이트닝을 안쓸것 같으니 존버?
(어짜피 본인은 통녹때문에 아이폰 못갈아탑니다. 앱은 좀 못믿겠고...)
우스타
22/06/09 20:54
수정 아이콘
애플의 행보를 생각하면 통화녹음을 풀어줄 리가 없다고 봐서 저도 아이폰으로 되넘어가기가 힘드네요.
업무용 폰을 안드로 따로 두면 되지 않겠냐 → 업무에서만 통화녹음이 필요했던 게 아니니까...
22/06/09 20:51
수정 아이콘
전 프로 노리고 있어서 결국은 그냥 사야할것 같습니다.
라이트닝->usb야 뭐 무선충전 쓰면 그만이고…
하루빨리
22/06/09 20:53
수정 아이콘
[또한 기존에 1년 6개월 간 팔던 M1 맥북에어가 $999 였는데, 인플레이션을 반영해서 가격을 $100 올려 &1099 가 됐습니다.]
아니 미국 애플 공홈 들어가시면 바로 알 수 있는 정보도 틀리시면… M1맥북에어 가격 그대로 $999 입니다. 가격 변동 없어요.
환율때문에 국내 M1맥북에어 가격이 10만원 오른겁니다. 그것도 며칠 전에 조정된 가격이에요.
푸크린
22/06/09 20:55
수정 아이콘
이 부분은 제가 큰 실수를 했네요.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지적 감사합니다
Your Star
22/06/09 21:03
수정 아이콘
아이폰은 성능도 뛰어난 동시에 감성도 있죠. 가격? 다른 것들도 오르는데요 뭘
22/06/09 21:04
수정 아이콘
요즘 물가 생각하면 뭐 그러려니
영호충
22/06/10 06:08
수정 아이콘
뭐 다 오르니까 거부감도 안생기네요
22/06/09 21:06
수정 아이콘
근데 애플이 통화녹음을 막는 이유는 뭔가요
보안관련 문제인가요?
Lord Be Goja
22/06/09 21:54
수정 아이콘
미국,유럽법때문인걸로 압니다.(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2021181151 ) 허용되는 다른 나라(한국도) 거기에 맞춰서..
갤럭시같은 경우는 카메라버튼음도 그렇고 통녹도 그렇고 대상국가에 맞춰서 변경하던데 애플은 중국제외하곤 1정책으로 그냥 쭉 미나봐요
뉴타입
22/06/09 21:56
수정 아이콘
굳이 따지면 세계적으로 막는 추세입니다.이제와서 풀어줄 가능성은 애플페이 도입여부보다 낮다고 보시는게...
네이버후드
22/06/10 08:59
수정 아이콘
애플페이야 애플 문제가 아니라 국내카드사 문제라 전혀 다르죠
뉴타입
22/06/10 12:00
수정 아이콘
그 국내카드사 문제 꼬인거보다도 통녹 풀어줄 확률이 낮다는걸 강조하는겁니다.
22/06/09 22:13
수정 아이콘
콘칩콘치즈
22/06/09 21: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노치없어지면 사고 아니면 안살랍니다...
크로스로드
22/06/09 21:18
수정 아이콘
에어까지 노치 박힌 마당이라.. 팀쿡 씨는 진심으로 그게 쩌는 디자인이라고 믿고 있는 게 분명합니다.
iPhoneXX
22/06/10 08:20
수정 아이콘
쟤들이 미는 그 페이스 아이디 보안 성능 때문에 축소화 되기 쉽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어요. 노치 없애려면 아마 폰이 길어지는 수 밖에 없는거 같습니다.
22/06/10 09:01
수정 아이콘
폰이 길어져도 윗 베젤을 두껍게 할 게 아니면 길어지고 노치가 있겠죠?
iPhoneXX
22/06/10 10:52
수정 아이콘
저는 베젤 두껍게 간다는 의미였습니다. 아마 애플 자체에서는 그게 디자인적으로 더 매력 없다고 생각해서 노트북에도 노치 넣은게 아닌가 싶네요.
크로스로드
22/06/09 21:19
수정 아이콘
통화녹음 없으면 읍읍... 서비스업은 이거 목숨줄입니다. 크크크
사랑해 Ji
22/06/09 21:20
수정 아이콘
보급폰이 최고야.....ㅠㅠ
척척석사
22/06/09 21:21
수정 아이콘
(169/1.1)/1199=1281 로 계산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1409는 환율계산할 때 나올 숫자가 아닌거같은데 -.-
제육볶음
22/06/09 22:22
수정 아이콘
애플 환율...
척척석사
22/06/09 22:39
수정 아이콘
부가세까지 집어넣고 계산한 다음에 [애플 환율] 이라고 하는 게 이상해 보인다는거죠. $1199는 세금 미포함이고 169만원은 포함이잖아요.
비둘기야 먹쟛
22/06/10 03:06
수정 아이콘
크크크 답답한 심정 이해합니다
22/06/16 00:55
수정 아이콘
저게 정가는 맞아요
원화가치 폭락에 VAT따지면
22/06/09 21:28
수정 아이콘
안드야 힘내라
22/06/09 21:34
수정 아이콘
카드 안 들고 다니는 게 너무 좋아서...애플페이는 언제오나요
여수낮바다
22/06/09 21:50
수정 아이콘
이번에 프맥 사려고 존버 중입니다. 더 쓰고 싶은데 4년 버티니 배터리도 문제고 여기저기 깨진 곳도 많고;; 그런데 오르다뇨 ㅠㅜ
antidote
22/06/09 21:56
수정 아이콘
아이폰 안산다고 죽는것도 아니고... 비싸면 안사면 되는건데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네요.
22/06/09 22:06
수정 아이콘
아마 삼성폰 성능 장난질에 환멸을 느껴서 조금이나마 돈을 더 들여서라도 아이폰으로 넘어갈 생각인 사람들이 많았죠.
나도 그중 하나였구요.
그런데 노멀인데도 20만원 껑충 뛰어버리면...
허저비
22/06/10 08:33
수정 아이콘
단순히 아이폰 안사면 되지 그런 문제가 아니죠.
일단 애플이 가격 올린적은 있어도 내린적은 없어서 앞으로 아이폰 가격 기준 자체가 저렇게 갈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아이폰이 가격 올리면 삼성도 재빠르게 대응해서 올립니다. 결국 휴대폰 가격이 전체적으로 다 올라가게 되지요.
당장 필요 없어도 어쨌든 수년 내로 휴대폰 사긴 사야될텐데 결국엔 소비자들 전부 다 영향권에 들게 되는 문제예요 그리고 휴대폰은 반은 필수품이나 마찬가지라 안사면 되지 하고 말 물건이 이제는 아니구요.
22/06/10 13:26
수정 아이콘
BBQ가격 올릴 때 반응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그때 반응에 비교하면 굉장히 우호적인거죠. BBQ가 억울할 수준
Janzisuka
22/06/09 21:57
수정 아이콘
감성있는 삼성폰도 아닌데 너무 비싸네!!!!

se 나오면 그때 봐야징...
22/06/09 22:00
수정 아이콘
SE3이 한 2년뒤에 나오다면 70만원 이상일듯요...
Janzisuka
22/06/09 22:59
수정 아이콘
se가 그렇게 쌌어요? 가격 안보고 사서....
손에 딱 들어와서 좋은데 이 사이즈가
스위치 메이커
22/06/09 23:26
수정 아이콘
59만원이죠
Janzisuka
22/06/09 23:37
수정 아이콘
..속은건가 ㅜㅜ 80가까이 준거 같은데...
스위치 메이커
22/06/09 23:40
수정 아이콘
뭐 256GB를 사셨다면 80만원 맞습니다
Janzisuka
22/06/09 23:42
수정 아이콘
앗!! 맞아욤! 젤 용량큰거!
그렇구만
22/06/10 09:16
수정 아이콘
SE3는 이미 출시..
22/06/10 09:36
수정 아이콘
기존 SE3 다음폰을 의미한건데...
일반상대성이론
22/06/10 09:43
수정 아이콘
SE3가 나온지 3달인가 밖에 안됐으니 최소 2년은 있어야겠군요
동년배
22/06/09 22:00
수정 아이콘
이번에는 아이폰 써볼까 했는데 환율이 너무 올라서... 그돈씨 갤S에 갤탭까지 살
9렙고정
22/06/09 22:05
수정 아이콘
13일반은 지금이네요 참고로 꽤 쓸만합니다
cruithne
22/06/09 22:12
수정 아이콘
usb c 전 까진 12pro로 존버할거라 당장은 영향 없긴 한데.... 인플레 진정된다고 가격이 내려가진 않을 것 같아 두렵네요.
지니팅커벨여행
22/06/09 22:13
수정 아이콘
애플 매출액과 영업이익률이 더더욱 높아지겠군요
22/06/09 22:14
수정 아이콘
설마 또 라이트닝이겠어.... 에이 설마
박수영
22/06/09 23:17
수정 아이콘
14는 라이트닝 확정이라고 보셔도
한방에발할라
22/06/09 22:14
수정 아이콘
환율을 대체 어떻게 계산하면 저 가격이 되는지...크크 장난하는 것도 아니고 양아치들 같으니 진짜 말도 안되는 짓 하네요
22/06/09 22:21
수정 아이콘
환율 계산 자체를 이상한게 한거 같습니다.

미국은 부가세 제외 가격이고
한국은 부가세 포함 가격이라 그냥 달러로 나누면 안되고.. 부가세 계산을 한번 해야 실제 환율인데...

실제 환율은 1409원으로 들어간게 아니라 1281원으로 들어갔습니다.
인증됨
22/06/09 22:20
수정 아이콘
아이폰13미니 빠삭에서 10만원대던데 그냥 갈아탈까나...(물론 욕음제 6개월)
55만루홈런
22/06/09 23:14
수정 아이콘
솔직히 가성비만 생각하면 아이폰 사기엔 넘 비싸죠 크크
점프슛
22/06/09 23:17
수정 아이콘
14 출시되면 13일반 가격 인하되지 않나요?
작년보다 환율이 많이 올라서 어떻게 될지..
스위치 메이커
22/06/09 23:41
수정 아이콘
원래 100$ 깎아주는데 인플레 때문에 어떻게 될 지 모르죠. 당장 M1 맥북에어도 가격 인하 없이 그냥 파는 거 보면...
22/06/09 23:48
수정 아이콘
일단 M1 맥북에어는 달러가 동결 한화가 10만원 인상이니까 13도 최소 동결 최악엔 인상일 듯요
별빛정원
22/06/10 01:56
수정 아이콘
이번 14중 프로, 프로맥스는 AOD도 들어간다는 것 같은데..
그럼 전 15 프로정도쯤 해서 고민해봐야겠네요..
펀치홀에 AOD도 들어가고 C타입 충전도 지원한다?
이러면 슬슬 서브폰으로 한번 사봐야죠..
(어차피 통녹 안되니, 메인폰은 불가능)
SG워너비
22/06/10 02:09
수정 아이콘
와 이번에 아이폰으로 넘어가보려 했는데 아.......... 가격 난리나네요. 그때되면 갤노트20 2년 넘어서 시기는 맞는데 으어
WhiteBerry
22/06/10 08:11
수정 아이콘
10년 앱등이 생활 했고 앞으로 다시는 아이폰 쓸 일이 없지만..

아이폰은 좋은 폰이지만 ios는 개쓰레기라고 생각합니다.

다시는 쓰고 싶지 않아요. '스마트'폰을 쓰고 싶거든요.
22/06/10 08:19
수정 아이콘
11프로맥스 쓰는 중인데, 14 프맥을 사느냐 15 프맥을 사느냐 고민이네요.
iPhoneXX
22/06/10 08:21
수정 아이콘
매년 바꾸니까 사실 어느 순간부터 가격 잘 안봄 크크
22/06/10 09:02
수정 아이콘
환율+인플레 여파가 거세네요...
어쨌거나 빨리 출시해서 손에 쥐고 싶음
벌점받는사람바보
22/06/10 09:14
수정 아이콘
삼성아니라도 누가 제발 애플견제좀;;
StayAway
22/06/10 09:26
수정 아이콘
그 뭐 이상한 바퀴가 50만원해도 살 사람은 사죠.
만사여의
22/06/10 09:37
수정 아이콘
아이폰 10년 쓰다 갤럭시 3년 쓰고 이제 다시 아이폰 가볼까 하고 알아봤는데 불편한게 한두개가 아니네요.
통녹이야 포기한다 해도 삼성페이와 NFC까지 안되니..
현관문도 핸드폰 NFC로 찍고 들어갔었는데 아이폰으로 바꾸면 지갑에 집키 까지 들고 다녀야 하니 도저히 엄두가 안나네요.
시무룩
22/06/10 10:02
수정 아이콘
아이폰은 서브로만 쓰는 입장에서 신제품이 나온다니 가격이 어찌됐든 환영할 일이네요
이제 12나 13 노멀판이 중고로 싸게 풀리는거만 기다려야지!
22/06/10 10:04
수정 아이콘
이건 뭐 애플이 베짱부린다기보단 환율이 캐리하는게 커서 그러려니 합니다..
커피소년
22/06/10 10:31
수정 아이콘
지금 13mini 쓰는데 진짜 99%만족이어서 15,16 때나 바꿀서 같아서 다행이네요
다만 서브로 갤럭시를 무조건 들고다녀야해서 좀 불편하지만요
깻잎튀김
22/06/10 10:38
수정 아이콘
13프맥 회사에서 사준지 1달밖에 안됐는데... 좀 더 기다릴걸!
네이버후드
22/06/10 11:13
수정 아이콘
4달을 더 기다려야 하는데요 ?
HighlandPark
22/06/10 11:00
수정 아이콘
어차피 살꺼니까 얼마가 됐던 빨리 좀.. 12 쓰는중인데 13 카메라 성능때문에 넘어가고 싶은걸 꾹꾹 참고있는중
작은마음
22/06/10 11:07
수정 아이콘
6S 배터리가 완전 맛이 갔는데 3달 넘게 버틸 수가 있을려나?
노치 없어진 14 프로 디자인이 끌리긴 하던데
피지알맨
22/06/10 20:28
수정 아이콘
애플:오호 가격을 올리니까 오히려 더 팔리는군요 개꿀!!
라프로익
22/06/10 23:28
수정 아이콘
미국 물가 상황에서 100달러 정도 올리는거면 혜자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889 [일반] 100일 간 10키로 씩 두번 빼고 쓰는 다이어트 요령 [28] 6520 22/06/28 6520 14
95887 [일반] 공교육이 무너진 것이 아니라 맞벌이 가정의 교육적 기능이 무너진 것 [111] nada8212793 22/06/28 12793 43
95886 [일반] [웹소설] 지난 3년간 읽은 모든 웹소설 리뷰 [76] 잠잘까17385 22/06/28 17385 25
95885 [일반] 서울대에서 논문 표절 사태가 일어났습니다. [63] Meliora10632 22/06/28 10632 9
95884 [정치] 尹대통령 “공기업 호화청사 매각·임대해 비용절감 필요” [208] 굄성23250 22/06/27 23250 0
95883 [정치] 전기 안 쓰기로 이웃과 경쟁. 이게 무슨 발상이죠…. [124] 19633 22/06/27 19633 0
95882 [정치] 현재의 공교육은 과거에 비해 무너졌는가 [223] kien.19704 22/06/26 19704 0
95881 [일반] [애니/스포O] 스파이 패밀리 1쿨이 끝났네요 [38] 이브이9760 22/06/26 9760 6
95880 [일반] 더 이상 로 대 웨이드에 의지할 수 없습니다 [281] 구텐베르크18994 22/06/26 18994 20
95879 [일반] 마지막을 함께한다는 것 - 을지면옥 [46] 밤듸10371 22/06/26 10371 37
95878 [일반] 배철수의 음악캠프 30주년 특별기획 - 배캠이 사랑한 음악 100(9) [15] 김치찌개5042 22/06/26 5042 12
95877 [일반] 기술사 필기시험 답안지를 적는법.(feat. 건축시공기술사) [10] 대왕세종7405 22/06/25 7405 11
95876 [정치] 이재명 "정부, 한시적 공매도 금지해야" [85] 산딸기먹자15366 22/06/25 15366 0
95875 [일반] 종이의집:공동경제구역 - 사상최악의 1화 [90] 어서오고14291 22/06/25 14291 6
95874 [일반] 항공 매니아 입장에서 본 탑건 후기(약 스포) [45] 가라한8992 22/06/25 8992 17
95873 [일반] [팝송] 오늘의 음악 "에이브릴 라빈" [25] 김치찌개6152 22/06/25 6152 3
95872 [일반] 주식 하락을 새삼 실감하게 되는 어머니와의 전화 통화 [28] giants11456 22/06/24 11456 10
95871 [일반] 탑건: 메버릭 후기 Not today (스포있음) [25] 제3지대6738 22/06/24 6738 10
95870 [일반] 2022년의 소소한 목표, 다이어트 이야기-절반의 성공? [20] giants5179 22/06/24 5179 3
95869 [일반] '아는 맛'이 좋은 나이가 되었다 [14] 마스터충달8709 22/06/24 8709 14
95867 [일반] 비트겐슈타인, 야갤러, 공약불가능성 [13] 나는모른다9135 22/06/24 9135 6
95865 [일반] 골드만삭스 연준 금리인상 행보 코멘트 [138] 여의도클라쓰17578 22/06/23 17578 1
95864 [일반] 지인의 장례식 [30] CastorPollux10617 22/06/23 10617 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