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2/17 11:21:29
Name 타카이
Subject [일반] 영화리뷰)프리가이(간단 스포 포함)
15_29_54__60f7bee24150b<span class='bd'>[S700,700]</span>.jpg

20세기 스튜디오 제작
디플에서 본 작품 리뷰입니다.


게임 속 가상현실 세계(gta 온라인 정도)를 배경으로 합니다. gta 패러디인지 배경 도시 명칭도 프리 시티(리버티시티)입니다.
은행원npc 프리가이(라이언 레이놀드 역)가 주인공입니다.
주요 스토리라인 : A가 B가 개발한 게임의 인공지능 등의 소스를 복사해서 프리시티라는 게임 서비스를 런칭함. 엄청 잘됨.
B는 A가 코드 베꼈다고 소송 걸지만 증거가 없음. 게임 속에서 자기 코드로 구현된 것을 찾기 위해 게임 속을 누빔. 소동 중 프리가이가 B에게 반해서 함께하기 위해 노력함.
게임 속에서 다양한 소동 끝에 원본 소스로 구현된 월드를 찾아내고 해피엔딩입니다.

NPC가 본인이 게임속 존재임을 깨닫는 것도 그에대한 고뇌도 별거 없이 전개되고 반전도 없고 하다못해 배우개그도 없는 그냥 가벼운 영화입니다...
최 후반부에 가서야 나는 디즈니다!를 보여주는 간단한 장면이 이거 디즈니였지? 하게 할 뿐...

그래서 제 점수는
1/5

솔직히 디즈니가 라이언 레이놀즈 데리고 영화를 찍었으면 데드풀 개그 한 번은 쳐 줘야지!
나는 디즈니다! 장면도 토탈 30초도 안되는게 말이되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2/02/17 11:23
수정 아이콘
이거 찍을 때는 디즈니가 아니었거든요(...)
Arya Stark
22/02/17 11:59
수정 아이콘
초반에 보다가 저랑 안맞아서 바로 껐네요.
비슷한 내용을 다룬 레디 플레이어 원은 엄청 재밌게 봤는데
Rorschach
22/02/17 12:29
수정 아이콘
전 레디 플레어 원 보다 이 쪽이 훨씬 재밌었습니다. 뭐 레디플레이어원이 완성도 측면에서는 더 낫다고 보긴 합니다만 그 영화는 개인적으로 초반 레이싱 이후로 재미가 계속 내리막으로만 내려가서...
22/02/17 16:09
수정 아이콘
저도요 프리가이도 허접했지만, 레디 플레어 원보다는 훨 낫죠
22/02/17 12:32
수정 아이콘
레디가 훨씬 재밌었고 이 영화는 그냥 심심풀이 땅콩 정도의 재미는 있었습니다.
단비아빠
22/02/17 12:47
수정 아이콘
이런 영화가 재밌을려면 패러디가 잔뜩 나와줘야 하는데...
GTA를 닮았다는거 빼고는 재미요소가 별로 없었죠.
예고편이 영화의 거의 전부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처음 몇분만 그럴듯했음...
22/02/17 14:07
수정 아이콘
그냥 광고나 소개영상만 보면 재미있고 딱 그정도일거라 생각했어서...
상하이드래곤즈
22/02/17 14:14
수정 아이콘
그냥 가족들과 가벼운 팝콘 영화로는 좋았습니다.
22/02/17 16:46
수정 아이콘
레드노티스 같은 영화 한번 보고 다시 보시면 선녀같은 영화입니다
그냥 딱 기대만큼 할거만 하는 영화
22/02/17 22:01
수정 아이콘
서사가 너무나 약한 영화. 뭔가 게임 한 번도 안해본 작가가 만든 듯한 설정들. 고민없이 썼나보다 이해는 가는데 그걸 그대로 제작하고 투자한 사람들한테도 책임이 있겠음. 라이언 레이놀즈 급호감이라 디플로 봤다가 실망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183 [일반]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 같아서 소개하는 전화 사기(중고차 사기) 사례 [20] 제랄드8814 22/03/04 8814 14
95097 [일반]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연설 전문 해석 [95] KOZE23850 22/02/23 23850 22
95053 [일반] 영화리뷰)프리가이(간단 스포 포함) [10] 타카이6984 22/02/17 6984 0
94996 [일반] 사기업의 직원 성비 균형에 대하여 [174] Gotetz17187 22/02/08 17187 27
94792 [일반] 우량주식 장투가 어려운 이유 (2) - 코카콜라, 나이키, 맥도널드, LG 생활건강 [35] 사업드래군16943 22/01/11 16943 28
94668 [일반] 결혼 10년차를 앞두고 써보는 소소한 결혼 팁들 [62] Hammuzzi15419 22/01/02 15419 85
94667 [일반] [주식] 2021년 결산 - 주린이의 첫 주식 도전기 [30] 탈리스만9405 22/01/02 9405 2
94607 [일반] 삼전에 물린 개미들과 절대신 FAANG [43] 사업드래군15325 21/12/30 15325 6
94598 [일반] 2021년 1년간 한국과 미국 증시의 성적. (지수추종 - 레버리지 포함) [19] 사업드래군7112 21/12/29 7112 4
94544 [일반] 국익관점에서 바라본 시사 평론 [10] singularian11331 21/12/26 11331 0
94446 [일반] 신세계는 어떻게 광역시들을 접수했나? [71] Leeka13676 21/12/19 13676 12
94103 [일반] 나의 면심(麵心) - 노포의 냉면과 레거시 아카이브 [4] singularian7889 21/11/19 7889 9
93977 [일반] 박인희 - 세월이 가면 [4] 진산월(陳山月)5229 21/11/06 5229 4
93949 [일반] 신해철, '해'에게서 '소년'에게 (2) [13] 글곰9201 21/11/04 9201 33
93932 [정치] 전세대출의 분할상환 산정 기준이 나왔습니다. [43] Leeka12459 21/11/02 12459 0
93887 [정치] 내년부터는 전세대출도 분할상환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35] Leeka11836 21/10/28 11836 0
93810 [일반] NH나무 소소한 이벤트(금 거래) [11] 로켓9918 21/10/22 9918 2
93762 [정치] 정책의 일관성이 없는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43] Leeka12856 21/10/16 12856 0
93746 [정치] 정부 “전세대출·집단대출 중단 없도록 하겠다” [104] Leeka19217 21/10/14 19217 0
93724 [정치] 2015년의 가계부채 대응방안은 어땟나? [42] Leeka12776 21/10/12 12776 0
93717 [일반] 미국/중국 부동산 시장, 철광석 가격 그리고 한국 경제 [15] kien.14592 21/10/11 14592 0
93698 [일반] 5대 종합상사를 통해 알아보는 건물주 국가 일본의 돈 버는 방법 [84] 이그나티우스24871 21/10/09 24871 136
93689 [정치] 하나은행, 러시앤캐시에 첫 대출…1호 은행 [65] Leeka15835 21/10/08 1583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