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2/04 20:00:45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639009406
Subject [일반] <파워 오브 도그> - 서늘하고 느긋하다.(약스포)

그러니까, 제가 이 영화의 대략적인 (초반부) 내용을 들었을 때 들었던 건, <브로크백 마운틴> 같은 영화였습니다. 카우보이, 서부, 퀴어... 대략적인 이야기가 이렇게 흘러가지 않을까 싶었던 영화였습니다. 그리고, 기차 안에서 넷플릭스를 통해 영화를 보면서 조금 다른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 찝찝하고 기묘한 긴장감, 저는 이런 비슷한 감정을 '폭스캐처'에서 느꼈던 것만 같습니다.


'파워 오브 도그'는 1925년, 서부 개척 시대의 끝자락에서 카우보이 '필'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남성성과 과장된 마초이즘 사이에서 '필'은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캐릭터입니다. (암시만 되지만) '브롱코 헨리'를 사랑했고, '로즈'와는 떨떠름하며, '피터'와는 미묘합니다. 동경과 애정, 미움과 견제가 섞여있는 인간관계에서 저는 <폭스캐처>의 '존 듀폰'이 떠오르는 지점이 있었습니다.


이 영화의 특징 중 하나는 광대한 자연환경에 있을 겁니다. 몬태나 주의 풍광을 한껏 담은 이 영화는 아마도 극장에서 봤으면 더 좋았을 거라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다만 영화의 긴장감을 이끄는 과정에서 때때로 영화는 너무 질질 끄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다양한 매체에서이 영화를 '드라마'로 분류하는데, 이 영화가 '스릴러-워너비' 정도의 느낌인 이유는 느긋하다고 해야할지, 혹은 느슨하다고 할 수 있는 느린 템포와 긴장감에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제인 캄피온 감독의 영화는 처음 보는 데, 섬세하고 그 미묘한 감정선에 대한 연출이 인상적입니다. 캐릭터 간의 긴장, 정서의 표현이라는 측면에서 배우의 힘과 연출의 힘, 저는 양 쪽 모두 뛰어나다고 생각합니다. 네 캐릭터가 충돌하는 순간까지 매력적이네요.


'필'이 '피터'를 바라보는 시각은 기묘합니다. 사랑인지 혹은 어떤 누군가를 (아마도 브롱코 헨리를) 떠올리게 만드는지. 혹은 그 반대의 시각도 독특합니다. 매료인가, 혹은 공포인가, 혹은 그 것도 아니라면 어떤 혐오의 감정인가. 그 감정들의 드라마로써 매력적으로 충돌하고 부딪칩니다. 서늘하게 마무리하는 끝까지도 인상적이었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를 추천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무리 꽉 매도 느슨하게 풀리고 마는 가죽끈처럼 영화의 어떤 지점은 긴장감을 놓쳐버리곤 합니다. 조금 더 치밀하게 심리 스릴러의 흐름을 타도 될 것 같으면서도, 그렇게 된다면 이 영화의 독특한 매력을 놓쳐버릴 것 같아요. 그 미묘한 상황이 영화의 매력이자 단점으로 작용하는 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2/04 20:10
수정 아이콘
저는 영화 중반까지도 이게 어디로 가는 이야기인지 감을 못 잡았네요. 끝나고보니 네 인물을 통해 마음의 약함과 강함에 대해 보여주는 영화였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aDayInTheLife
22/02/04 20:11
수정 아이콘
그렇게 보실 수도 있을거 같아요. 영화 자체가 감정에 방점이 찍혀있고, 많은 부분을 암시로만 던져주기 떄문일수도 있을거 같아 보입니다. 마음의 약함과 강함도 인상적인 말씀이네요.
새벽이
22/02/05 16:52
수정 아이콘
저는 정말 괜찮게 봤습니다. 같은 날 넷플에서 카우보이의 노래에 이어서 봤는데, 둘 다 대만족이었어요.
aDayInTheLife
22/02/05 17:02
수정 아이콘
카우보이의 노래는 봐야지 봐야지 하고선 아직까지 못보고 있네요. 언젠가는 봐야하는데...
참 좋더라구요. 영화든 풍광이든.
새벽이
22/02/05 21:43
수정 아이콘
카우보이의 노래 꼭 보세요.
들깨수제비
22/02/06 05:22
수정 아이콘
중반까지는 지루해서 세번쯤 보다 말았는데 피터가 집으로 돌아온 후부터는 정말 재미있었습니다. 특히 마지막 밧줄 만드는 장면은 누워있다 바로 앉아봤습니다.
aDayInTheLife
22/02/06 07:33
수정 아이콘
거기서부턴 저도 몰입감이 올라오더라구요. 막판에 몰아치는 맛이 있었습니다.
22/02/06 19:31
수정 아이콘
제인 캠피언 영화 잘만든다고 생각합니다. 인더컷이란 영화 재밌게봤어요. 개 영화인가 했는데 봐야겠네요. 추천 감사합니다.
aDayInTheLife
22/02/06 19:36
수정 아이콘
섬세한 연출과 연기가 돋보이더라구요. 인상적이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168 [일반] 올해 서울광장서 6월 1일 시민 책읽기 행사 예정 [46] 라이언 덕후9291 24/03/21 9291 1
100553 [정치] 역시 총신대야 가차없지 [38] 라이언 덕후8545 23/12/25 8545 0
100440 [일반] 오늘 한국 감리교회는 국내 최고의 동성애 혐오 종교 집단임을 자처했습니다. [89] jjohny=쿠마11804 23/12/08 11804 12
100398 [일반] <괴물> : 그럼에도 불구하고 던지게 되는 질문(스포일러o) [20] 오곡쿠키6969 23/12/04 6969 7
98692 [정치] 서울광장 퀴어 퍼레이드 불허 [263] 라이언 덕후24130 23/05/04 24130 0
97353 [일반] 전광훈이 이단이 됐습니다. [78] 계층방정17474 22/12/08 17474 13
96040 [일반] [영화 리뷰] 토르 : 러브 앤 썬더 / 번외 - 얼마나 게이한가? [28] mayuri8230 22/07/17 8230 0
95503 [일반] 왜 요즘 페미니즘은 성적으로 덜 개방적인가 [110] 데브레첸15942 22/04/28 15942 4
94973 [일반] <파워 오브 도그> - 서늘하고 느긋하다.(약스포) [9] aDayInTheLife6243 22/02/04 6243 2
94278 [일반] 왕위를 계승하는 중입니다. 아버지 [8] HJS11432 21/12/07 11432 6
93495 [일반] '그레이트 마인즈'에 동반 또는 후속되어야 할 것 [7] 아난8773 21/09/26 8773 1
92956 [일반] 만화가 열전(4) XYZ 시티헌터와 만나다. 호조 츠카사 [33] 라쇼21337 21/08/15 21337 15
91195 [일반] 바른 마음 -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의 도덕 [24] 토루9947 21/04/05 9947 13
90611 [일반] [번역] 큐어난을 아십니까?(항상 알고싶었지만 너무 황당해서 물어볼 수 없었던 큐어난에 관한 모든 것) [31] 위대함과 환상사이12503 21/02/26 12503 10
88676 [일반] 빌리지 피플 다시 듣기 [12] 及時雨8253 20/11/07 8253 5
87030 [일반]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후기 - 그 해 여름은 따스했네 [15] aDayInTheLife6905 20/07/02 6905 2
86161 [일반] 게이에 대해 뜬금없이 든 생각 [63] 아웅이10254 20/05/11 10254 2
82383 [정치] 태블릿 타령하는 박사모와 동급인 분들 [299] LunaseA24282 19/08/24 24282 74
81803 [정치]  한국당 청년지지자들과 한국당 미디어국장의 문답 [111] 나디아 연대기16989 19/07/13 16989 4
81391 [일반] 숙명여대 레디컬 페미의 기성 진보 여성단체 규탄 대자보 [55] 나디아 연대기12512 19/06/04 12512 3
81348 [일반] 한국 극우 개신교 세력 주한 미국 대사관 앞에서 반미 시위 개최 [59] 나디아 연대기12373 19/05/31 12373 5
81200 [일반]  민주당은 차라리 '퀴어당'으로 커밍아웃하라 [ 자유한국당 민경욱 대변인 논평] [148] 나디아 연대기11700 19/05/20 11700 3
81172 [일반] 요즘 가장 보기 싫은 정치인 --황교안 [83] 에너토크9659 19/05/18 9659 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