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11/03 14:56:59
Name Leeka
File #1 0004623875_003_20211103085901137.jpg (44.0 KB), Download : 75
Subject [정치] '카드 캐시백' 백화점 안된다더니…온라인 결제 다 뚫렸다 (수정됨)


(위 물건들도 모두 캐시백이 됩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4623875


기사 내용을 요약하면

'그렇게 복잡하게 진행했던 상생소비지원금이'

백화점/대형마트/명품매장/애플/가전제품등등..  구입시에

'네이버페이 or 카카오페이'로 결제시엔 모두 인정되었다고 합니다.


온라인으로 명품을 사도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면 프리패스
오프라인 백화점에 가서 물건을 사도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결제면 프리패스..
(신세계백화점만 해도 쓱데이때.. 카카오페이로 5만원 이상 결제시 5천원 페이백 이벤트까지 오프라인에서 진행...)


기사에서는 기재부에서는 해당 문제점을 어느정도 알고 있었지만 강행했다고 하는데요.

어 음..

애초에 이렇게 복잡하게 상생소비지원금 만들어서 카드 쓰게 하는것부터 ?!?!? 였는데..

결말까지 .... 으로 가는거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rateful Days~
21/11/03 14:58
수정 아이콘
정말 가지가지하네요. 과정은 어떻게 되었건 아몰랑 돈뿌리는게 목적이었던 아마추어인가..
21/11/03 15:05
수정 아이콘
페이시스템을 거치면서 결제 세탁(?)이 되는 문제가 꽤 오래된 문제이긴 해서 현실적으로 못잡는 범위라고 봤을거라 생각은 듭니다
21/11/03 15:06
수정 아이콘
몰랐던 사람만 바보만드는 상생지원금 활용법이네요
21/11/03 15:14
수정 아이콘
재난지원금을 온라인이나 배달어플에 쓰기 힘들게 만들어 놔서 항의 받아서 추가된 걸로 알고 있는데... 이러면 다시 기존의 재난지원금 시스템으로 돌아가겠네요
21/11/03 15:20
수정 아이콘
마트나 백화점 오프라인으로 산거 빼고는 다 인정되더라구요. 그래서 이번에 받게되네요.
42년모솔탈출한다
21/11/03 15:34
수정 아이콘
헐....
얼마전에 백화점에서 프로포즈 반지 샀는데...크크크
환불하고 카카오페이로 다시 결제하면 캐시백 받을 수 있는건가요???!!!
하마아저씨
21/11/03 15:42
수정 아이콘
월별로 실적인정이라 10월분은 안되실거에요
21/11/03 15:36
수정 아이콘
업종이 가장 큰 이슈여서 반대로 카페나 네페로 결제 시 백화점 실적등이 쌓이지 않는 이슈도 있습니다.
명품매장에서 카페 받는데가 있었는지도 잘 모르겠네요;;;
내집마련성공
21/11/03 15:41
수정 아이콘
아이고 머리야...
21/11/03 15:48
수정 아이콘
저도 이번에 자동차보험료 결제한거 네이버페이에서 3만포인트 주는 이벤트 있어서 네이버페이로 결제했는데
상생지원금 항목으로 포함되더군요.
카드에서 결제내역에 네이버페이나 카카오페이로 뜨면 다 적용되는거 같습니다.
다만 티몬에서 카카오페이로 결제한건 내역에 티몬으로 떠서 포함이 안되더군요.
결국 내역에 어디로 뜨느냐가 중요한거같습니다.
21/11/03 16:01
수정 아이콘
지난달에 백화점에서 정장 맞췄는데 꼴받게...
환경미화
21/11/03 20:27
수정 아이콘
백화점이면 취소하고 재결제 가능이죠
야크모
21/11/03 16:16
수정 아이콘
돈 뿌리는게 목적이고 달성했으니 된 것 아닌가요.
농심신라면
21/11/03 16:27
수정 아이콘
나만 바보된 느낌...
척척석사
21/11/03 16:37
수정 아이콘
세세한 규정 만들고 다 불만없게 제대로 똑바로 할 능력이 있는 게 아니면 그냥 큰 룰만 정해놓고 대충 하면 좋겠습니다.
웬만큼 능력있는 행정으로도 세부조정 어려울 것 같은데 무슨 자신감으로
커피소년
21/11/03 18:01
수정 아이콘
이게 똑같은 방법으로 온라인 대형쇼핑몰에서 폰 결제하고 폰결제를 카드로 하면 되죠.
별 의미도 없죠. 이마트 같은데 막아서 번거롭기만 할뿐
21/11/03 20:27
수정 아이콘
기재부 저 헛지거리하는 대신에 전국민 재난지원금 줘도 되었겠다
타마노코시
21/11/03 23:24
수정 아이콘
이래서 simple is best 인거죠.
복잡하다는 것은 어딘가에서 함정이 발생할수 밖에요.
21/11/04 00:47
수정 아이콘
기재부 진짜 할말하않…
꿈트리
21/11/04 07:49
수정 아이콘
저딴 기재부 컨트롤도 못하는 바X들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705 [정치] 도시재생의 실패, DDP에 대한 비판 [35] 깃털달린뱀6319 25/08/07 6319 0
104704 [일반] LLM을 통해 여러 인격의 통합으로서의 의식 생성에 대한 작은 실험 [5] 일반상대성이론4802 25/08/07 4802 3
104703 [일반] 연준은 9월에 금리를 인하할 수 있을까?(feat. 스테그플레이션의 딜레마) [32] Eternity5820 25/08/07 5820 2
104702 [일반] 화웨이의 소름돋는 정체: 기술 기업을 넘어선 '군산 복합체'의 실체 [9] 스폰지뚱6648 25/08/07 6648 5
104701 [정치] 尹측 “의자 들어 옮기다 바닥에 떨어져…‘제발 놔달라’ 부탁” [178] lightstone14223 25/08/07 14223 0
104700 [일반] 한국 영화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영화'관'의 문제다 [55] 사이먼도미닉7881 25/08/07 7881 3
104699 [정치] 조국, 광복절 특별 사면 대상 포함.. 오늘 사면심의위원회 개최 [334] 하이퍼나이프14039 25/08/07 14039 0
104698 [일반] 트럼프, 반도체 100% 관세 [59] 어강됴리10384 25/08/07 10384 1
104696 [일반] 너 행복한 합스부르크여, 결혼하라! [1] 식별4275 25/08/07 4275 8
104695 [정치] 일본의 대미 수출 관세는 15프로가 아닌 기존+15프로네요. [31] 설사왕7982 25/08/07 7982 0
104694 [일반] 강속구 vs 변화구 (上) [5] 無欲則剛3611 25/08/07 3611 6
104693 [정치] 작년에 돌아가신 부패방지국장 직무대리의 유서 [16] 설탕물6647 25/08/06 6647 0
104692 [일반] 삼성, LG가 노리는 히타치 백색가전 부문 [36] 어강됴리6928 25/08/06 6928 1
104690 [일반] 돈키호테와 파우스트 — 신이 악마를 보낸 이유 [31] 번개맞은씨앗4639 25/08/06 4639 0
104689 [정치] 이춘석 탈당+법사위원장 사퇴는 진짜 상황이 급하긴 급한 모양이네요. [91] petrus14133 25/08/06 14133 0
104688 [정치] "감사 ^^" 송언석 사면 요청 문자 논란 (이번엔 국힘) [31] 덴드로븀8406 25/08/06 8406 0
104687 [일반] 합스부르크 왕조의 기원을 알아보자 [4] 식별5233 25/08/06 5233 13
104686 [정치] '주식 차명 거래 의혹' 이춘석 민주당 탈당 [133] 덴드로븀12560 25/08/05 12560 0
104684 [정치] 우리나라의 Tor 사용자 수 변화 추이 (2) [7] Regentag5764 25/08/05 5764 0
104683 [일반]  자원 팔아서도 선진국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경제, 호주 [34] 깃털달린뱀7736 25/08/05 7736 18
104682 [일반] 일론 머스크가 얘기하는 6가지 [64] Categorization9622 25/08/05 9622 4
104681 [일반] 경주월드 롤러코스터 체험 후기 [27] Purple8834 25/08/05 8834 8
104680 [정치] 주식시장 세제 개편에 대한 실망감 [110] 양현종12575 25/08/04 1257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