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9/29 12:11:49
Name 로드바이크
Subject [일반] 오징어게임에서의 깐부
화제가 되고 있는 오징어 게임인데요.

너무 잦은 노출로 인해 게시판이 도배되다시피 하다보니 싫어하시는 분도 있는 것 같긴 하지만,

이 기회에 저도 오징어게임 코인 올라타봅니다.


"깐부" 라고 일종의 동맹을 극 중에서 이야기 하는데요. 저는 처음 들어보는 표현이라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부른게 아니었나 싶습니다.

어쨌든, 딱지든, 구슬이든 동맹을 맺으면 자유로이 빌려주기도 하고, 빌리기도 하고 그랬는데요.


쌍문동에 사는 성기훈씨는 깐부라고 불렀던 거 같은데

저희동네는 "뻔지" 맺다 라고 부르는 동네에서 자랐습니다.

지역마다 다르게 표현하는 것 같은데, 어렸을 때 여러분의 지역에서는 저걸 뭐라고 부르셨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29 12:18
수정 아이콘
'깜보'
Dondante
21/09/29 12:18
수정 아이콘
깜보
대말마왕
21/09/29 12:21
수정 아이콘
저도 깜보
서쪽날개
21/09/29 12:23
수정 아이콘
저도 깜보 먹는다고 했었습니다.
장헌이도
21/09/29 12:25
수정 아이콘
저희 동네는 동맹 없었습니다. 프리포올임.
21/09/29 12:35
수정 아이콘
전 깐부였네요.
깐부치킨은 일남할아버지 CF섭외해서 닭다리 들고 찍으면 대박날거같은데.
잉여잉여열매
21/09/29 12:37
수정 아이콘
저희 동네는 가부라고 불렀습니다.
cruithne
21/09/29 12:38
수정 아이콘
저희도 프리포올..보면서 저게 뭔가 했었네요
21/09/29 12:38
수정 아이콘
경기 남부는 깐부
애플리본
21/09/29 12:40
수정 아이콘
타짜에는 깜보라고 나왔던 것 같네요. 저 어렸을 떈 그런 말을 안썼..
꿈트리
21/09/29 16:29
수정 아이콘
허영만 원작 중에 깜보라는 말이 제일 먼저 나온 작품이 미스터Q 였죠.
21/09/30 01:02
수정 아이콘
저 만화얘기를 해도 아는사람이 없었는데..
여기서 보네요.
반갑습니다.
나막신
21/09/29 12:41
수정 아이콘
삼촌이 깐부라고 하시네요~@@
케이아치
21/09/29 12:42
수정 아이콘
80년대생 서울 깜보 였습니다.
기술적트레이더
21/09/29 12:46
수정 아이콘
깜보가 대중적
시린비
21/09/29 12:50
수정 아이콘
경기도- 첨들어봄 뭔소린지 모르겠음
싸구려신사
21/09/29 12:50
수정 아이콘
80년대후반생. 대구.
'가부 맺다.'고 했었습니다.
21/09/29 12:52
수정 아이콘
서울 서초. 뺀지라고 했던 걸로 기억
21/09/29 18:08
수정 아이콘
저도 뺀찌 (경북)
비밀친구
21/09/29 12:58
수정 아이콘
하하 내가 아직 피지알에선 어리구나!!
해질녁주세요
21/09/29 13:01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 들음. 아직 어리구만.
국밥마스터
21/09/29 13:01
수정 아이콘
저는 오징어게임을 어릴때 해본 기억이 없어요.. 깐부라는 단어도 치킨집으로 서울에서 처음 봄
21/09/29 13:13
수정 아이콘
서울 중량구70년대 중후반 ~ 80년대 중반 깐부...
밀크공장
21/09/29 13:29
수정 아이콘
서울 중량구 90년도 초반 깜보로 기억
민방위면제
21/09/29 13:16
수정 아이콘
70년대 후반. 대구
'가부'라고 했습니다.
여담인데...제가 딱지치기를 동네 본좌급으로 잘해서 집에 딱지를 쌀포대 서너자루에 담아서 가지고 있었는데, 저랑 가부를 맺자는 친구들이 줄을 섰었다는 흐흐.
메가트롤
21/09/29 13:34
수정 아이콘
깜보
wersdfhr
21/09/29 13:40
수정 아이콘
타짜 만화에서 처음 봤는데 그전에는 한번도 못들어본 단어였습니다

거기서는 깜보라고 하더라고요
21/09/29 13:52
수정 아이콘
저도 구슬치기는 안해보긴했는데, 따조라고 과자 먹으면 들어있는 딱지 같은 게 잠시 유행한 기억은 있네요. 깐부같은 개념도 없었습니다..
바카스
21/09/29 14:07
수정 아이콘
깐부치킨 땡기네요.
오렌지꽃
21/09/29 14:14
수정 아이콘
깐부 개념은 있었는데 호칭은 없었습니다
flowater
21/09/29 14:38
수정 아이콘
깐부치킨 떡상 각이네요
21/09/29 15:06
수정 아이콘
저희 지역도 저런 말 없었습니다. 타짜에 나오는지도 몰랐네요.
이호철
21/09/29 15:08
수정 아이콘
아예 처음 듣는 단어여서 작중 창작인 줄 알았는데 예전에 지역별로 썼었나보네요
깐프인줄
21/09/29 15:30
수정 아이콘
딱지치기 구슬치기 전부 독고다이로 뛰는 거지 동맹이 무슨 필요?
노래하는몽상가
21/09/29 15:42
수정 아이콘
저도 깜보
pc방 점장
21/09/29 15:53
수정 아이콘
깜보나 깜부였던것으로 기억하네요 서울 80년대입니다
페스티
21/09/29 16:13
수정 아이콘
타짜?에서도 나오죠. 깜보
열혈둥이
21/09/29 17:29
수정 아이콘
시흥시 깜보요
블랙핑크
21/09/29 18:09
수정 아이콘
깜보였던듯요
대한통운
21/09/29 18:27
수정 아이콘
깜보
완성형폭풍저그
21/09/29 18:44
수정 아이콘
지우개 따먹기할 때 있었던 것 같기도 한데...
깐부는 낯설고 깜보, 뺀지는 뭔가 익숙하네요.
21/09/29 21:03
수정 아이콘
울산 가부 엿어요
퀀텀리프
21/09/29 22:03
수정 아이콘
뭔지 모르면 다행인건가? 크크
21/09/29 23:05
수정 아이콘
편?
영호충
21/09/30 04:05
수정 아이콘
깜보라는 영화도 있었던거 같은데.
겨울삼각형
21/09/30 11:10
수정 아이콘
어릴때도 아싸여서 모르겠습니다
21/09/30 21:52
수정 아이콘
동맹이라고 했던 거 같은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744 [일반] 토스뱅크 사전신청 가입 대기가 풀렸습니다. [13] 맥스훼인9825 21/10/14 9825 0
93743 [일반] 날 끝장낼 비밀을 디지털로 보관해도 괜찮은 시대는 끝났나 [33] 오곡물티슈14313 21/10/14 14313 5
93742 [일반] 요양병원 54명 집단감염..."간병인이 확진 사실 숨기고 취업" [29] Leeka16236 21/10/14 16236 0
93741 [정치] 윤석열에 격노한 홍준표·유승민 "눈에 뵈는 게 없나" [124] myK20530 21/10/14 20530 0
93740 [일반] 이공계 대학원생을 위한 논문 쓰는 팁 [66] 해바라기23276 21/10/14 23276 67
93738 [일반] 고3 10월 모의고사 수학영역 공통, 미적분 4점 문제 리뷰 [68] 물맛이좋아요11966 21/10/14 11966 8
93737 [정치] 이낙연, 경선결과 승복 선언...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 확정 [73] Davi4ever19255 21/10/13 19255 0
93736 [일반] 미스터 우마이, 고로상이라면 이해해 주실거야 + 안산(짤주의) [13] 판을흔들어라9918 21/10/13 9918 6
93735 [정치] '무야홍'의 현실화? 심상치 않은 홍준표 후보의 약진 [231] 피잘모모20678 21/10/13 20678 0
93734 [일반] 두번째 집을 샀습니다 [55] Goodspeed13291 21/10/13 13291 22
93733 [정치] 정의당 20대 대통령 후보로 심상정 의원이 선출되었습니다. + 알고보면 재미있는 정의당 이야기 [80] 토루13755 21/10/13 13755 0
93732 [일반] 마지막 거리두기 조정안 v3 진짜 마지막 파이널 최종본. hwp [98] 오곡물티슈19670 21/10/13 19670 6
93731 [일반] 압력솥으로 라면을 해본 후기 (의식의 흐름 주의) [20] Lord Be Goja11675 21/10/13 11675 9
93730 [일반] <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 - 걱정대로, 예상대로 (스포) [19] aDayInTheLife9089 21/10/13 9089 0
93728 [정치] 서울 아파트값 평균이 평당 4,600만원을 돌파했습니다. [132] 로하스16663 21/10/13 16663 0
93726 [일반] 격투기 좋아하시는 분 계신가요? [23] 문재인대통령9453 21/10/12 9453 5
93725 [정치] 성남시의회 '대장동 특혜의혹 행정조사' 민주당 반대로 불발 [35] 박세웅12970 21/10/12 12970 0
93724 [정치] 2015년의 가계부채 대응방안은 어땟나? [42] Leeka12654 21/10/12 12654 0
93723 [일반] 미국의 최신 핵잠수함의 비밀이 단돈 1억, 싸다 싸 [27] 오곡물티슈13496 21/10/12 13496 0
93722 [일반] 엄마에게 사랑해요! 라고 처음 말했습니다. [46] 엄마 사랑해요10616 21/10/12 10616 98
93721 [일반] 쿠팡이츠 파트너 한달 후기 [35] 트와이스 채영16406 21/10/12 16406 10
93720 [일반] 고전(?) 무협/판타지 소설 추천 10선 [66] Meliora16963 21/10/12 16963 8
93719 [정치] 부동산 전세대출 규제 앞으로의 시장은 어떻게 될까요. [86] 문재인대통령15793 21/10/11 1579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