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9/27 09:48:29
Name 여기
Subject [일반] 그래프로 알아보는 각 국가의 코로나 백신 1차 접종과 2차접종의 텀 (수정됨)
작년 12월 코로나 백신이 접종된 이래로 전세계가 수급 대란으로 고생했습니다만

지금은 차차 선진국들은 수급이 거의 끝나가는 모습입니다

한국도 백신 접종 계획이 꼬여 백신 접종기간을 늘었기 떄문에

한국만 이러는거 아닌가 생각하는 분도 계실텐데 그건 또 아닙니다

가장 이상적인 접종 그래프는

ddgShXP.png

일본인데

접종속도,기울기, 1차 2차의 차이의 일정함

뭔가 그래프모양이 일본스럽습니다

여긴 메뉴얼대로 화이자3주, 모더나4주의 텀을 지키는걸 제1원칙 이었기 때문에

2차분이 확보안되면 1차접종도 예약이 안시켜줬었습니다


FeUjJlb.png

전세계에서 백신 물량이 제일 많았던 미국도 1차 2차 그래프가 일정합니다

60%에서 수렴하는게 문제긴 하지만요


하지만 서방 백신으로만 접종중인데 1,2차 텀을 지킨나라는 하지만 정말 희귀합니다

백신수급이 불안정하니 우선 1차접종을 몰빵해놓고 백신수급이 되니 2차접종을 하는 선진국이 오히려 더 많았고요





가장 극단적인 나라는 캐나다입니다

여기는 초기에 화이자,모더나를 포함해 모든 백신의 2차접종 텀을 16주로 잡았습니다

UEaeejo.png

그래프만 봐도 위 나라들과는 다릅니다

극단적으로 1차 63%접종일때  2차접종 8%였습니다

화이자,모더나가 주류인데도요

백신수급이 원활해지니 여기도 기간을 후에 줄였습니다

5NOa4vY.png

1차접종 몰빵 전략이엇던 영국의 그래프 입니다

모든백신의 텀을 8주로 잡았던걸로 압니다

1차 50%달성했을때 2차접종은 10%였습니다


cGiaXYS.png

접종 기간이 6주였던 독일의 그래프입니다

1차 40%때 2차접종 15%까지 벌어졌었습니다


yI3k0c8.png

참고로 한국의 그래프입니다

세계에서 유일무이한 그래프 모양일거 같습니다


세계 전문가들이나 국내 전문가들도 2차접종의 텀이 길어진다고 효과가 문제생긴다고 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걸로 압니다

오히려 텀이 길수록 효과가 좋다는 실험도 나오고 있고요

하지만 2차를 무조건 빨리맞춰야 하는 이유는 1차접종에서 무방비인 시간이 길어지는게 안좋기때문이죠


특히 델타변이가 주류일때는 말이죠

Dx5O3FH.png

하루빨리 전세계가 자유로워졌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27 09:54
수정 아이콘
3~4주만 지나면 우리나라도 2차접종율 70%를 달성하겠죠.
문제는 4분기 접종인데, 임신부와 12~17세 청소년이 주 접종대상자인 것 같던데.
임신부는 접종을 권장할 것 같은데, 청소년은 접종의 실익의 차이가 크지 않아서 권장하기에도 애매한 듯 합니다.
영국도 부작용을 우려하여 12~17세 청소년의 경우에는 화이자 1차접종만 한다고 하더라구요.
21/09/27 10:23
수정 아이콘
참 일본도 웃긴 나라인게 그렇게 일 굼뜨고 욕 오지게 먹고 관료제 폐해가 쩌는데도 결국 제때 접종해내고 다른 국가보다 그렇게까지 밀리지도 않고 이상적인 그래프는 이뤄낸거 보면 어찌보면 진짜 일본답다 싶습니다
척척석사
21/09/27 10:46
수정 아이콘
그래프 모양은 이상적이라기보다는 그냥 혼자 접종텀이 긴 az가 없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본문에 글쓴분이 써 주신 대로 일본스럽기는 하네요;
짬뽕순두부
21/09/27 10:47
수정 아이콘
X축을 특정기간으로 정해서 비교하시지 않으면 그렇게 판단하실 수 있죠. 수급 불안으로 1차 그래프가 이상하긴 하지만 납득하고 본다면 전혀 이상할 건 없고, 간극이 큰 것은 아직 우리나라가 활발하게 접종중인 단계니까 그런 것 입니다. 벌써 뭔가를 말하기엔 이른 것 같습니다. 아울러 완전한 안전을 위해선 2차 접종을 빨리 맞춰야 하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무방비한 상황으로 보기엔 1차 접종만으로 중증으로 갈 확률이 줄어드는 것은 사실이기에 수급이 불안한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전략이었다고 봅니다.
뒹굴뒹굴
21/09/27 11:52
수정 아이콘
결국 접종 간격이 문제되는 국가는 없네요.
사실 정 안되면 1차를 줄이고 2차를 맞추면 간격이야 맞출수 있는거였으니까요.
미국 빼면 전략적으로 1차를 많이 맞추는 선택을 했느냐 안했느냐 차이 정도 같네요.
양말발효학석사
21/09/27 16:22
수정 아이콘
아스트라 11~12주면 지나치게 길긴 했죠.

다른 백신의 경우 4주 -> 6주 정도는 큰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만, 아스트라 경우 수급이 아무리 문제라도 8주 이내엔 완료 시켜야 했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554 [정치] 화천대유가 재밌게 흘러가네요<09.30추가>. [112] StayAway19297 21/09/29 19297 0
93553 [일반] [영화] 약스포)용과 주근깨 공주, 호소다 감독은 뭘 전하고 싶었던걸까? [27] 로각좁8029 21/09/29 8029 1
93552 [정치] 공공 임대주택의 빈집 비율은 얼마나 될까? [32] Leeka12214 21/09/29 12214 0
93551 [일반] 논의 궤도에 오르기 시작한 백신패스 [132] 나주꿀16572 21/09/29 16572 1
93550 [정치] 일본 차기 총리는 기시다가 됐군요 [28] Aimyon11735 21/09/29 11735 0
93549 수정잠금 댓글잠금 [일반] '저건 동물일 뿐이야' (벤야민, 아도르노) [63] 아난11892 21/09/29 11892 3
93548 [일반] 잠수함은 어떻게 물 밑을 보고 다닐까? + 우리에게 핵잠이 필요한 이유중 하나 [41] 나주꿀13776 21/09/29 13776 35
93547 [일반] 오징어게임에서의 깐부 [47] 로드바이크13054 21/09/29 13054 0
93546 [일반] 출생률에 대한 두서없는 사견. [117] 벨로린16480 21/09/29 16480 16
93545 [정치] 고난의 윤석열, 대검 장모 변호문건과 부친 집 매매 [245] 유료도로당23351 21/09/29 23351 0
93544 [일반] 성남시민 초청 힐링 콘서트 [15] 빵pro점쟁이10075 21/09/29 10075 3
93543 [정치] 불공정에 노출될 기회가 많아졌습니다 [61] 삭제됨15847 21/09/29 15847 0
93542 [정치] 나랑 안 놀아주면 아저씨 감옥 간다? [57] 2021반드시합격15835 21/09/29 15835 0
93541 [정치] 10월부터 시행되는 상생소비지원금 정리 [45] Leeka13978 21/09/29 13978 0
93540 [일반] 9월에 찍은 사진들 [23] 及時雨11419 21/09/28 11419 14
93539 [일반] 살살 녹는 업진살 먹으면서 개식용 반대할 수도 있지! [247] 아스라이18081 21/09/28 18081 10
93538 [일반] [역사] 에디슨이 최초가 아니라고? / 전기조명의 역사 [2] Its_all_light82252 21/09/28 82252 7
93537 [일반] 수능의 킬러문항은 불법화되어야 하는가 [121] 나주꿀15151 21/09/28 15151 0
93536 [일반] 혹시 경기도에 거주중인 만19세~34세분들 계신가요?? [69] 대장햄토리20870 21/09/28 20870 7
93535 [일반] 나라가 있어야 문화가 있다 [130] 코와소15544 21/09/28 15544 13
93534 [정치] 국회 세종의사당이 확정되었습니다. [64] Leeka15750 21/09/28 15750 0
93533 [일반] 이제 인간이 설 곳은 점점 줄어드는 것 같네요... [34] 슷하vs슷하13176 21/09/28 13176 0
93532 [일반] 남자의 소득과 결혼의 상관관계? [59] Leeka16562 21/09/28 16562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