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9/23 11:57:07
Name rclay
Subject [정치] 미접종시 감염확률과 돌파감염 확률 비교 (수정됨)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3290

6월부터 7월까지 여름 기간 동안
미접종시 감염확률과 돌파감염 확률을 비교한 뉴스입니다

미접종시 감염확률은 1.21%인데
접종을 완전히 마쳤을 시 돌파감염확률은 0.4%로 줄어들게 됩니다

백신접종은 확률을 줄여주는 것 외에도 중증환자 발생을 감소시켜준다고 하니 감염확률만 따질 일은 아니지만은, 확진자 발생 수가 방역단계를 가늠하는 지표로 쓰이기 때문에 감염확률 역시 눈여겨 봐야할 요소가 아닌가 싶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4855084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5615695

아래의 뉴스는 백신별로 돌파감염확률을 비교한 뉴스인데
위의 뉴스와는 검사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보다는
어느정도 확률이구나 가늠해보는 정도로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얀센 0.161%
아스트라제네카 0.028%
화이자 0.03%
모더나 0.024%

아스트라제네카가 화이자 모더나와 비슷하다는건
특기해볼만한 사실이네요 접종 연령대 별로도 변수가
작용하는가 보네요
뉴스에서는 얀센접종시 돌파감염확률이 7배 정도 높다고
다루고 있네요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5615695

접종인원이 늘어나면서 돌파감염의 비중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여태까지 5880명이 돌파감염 확인되었다는데
일주일만에 1149명이 돌파감염으로 기록되었다고 하네요

뉴스에서 여러 차례 1차 접종율을 홍보수단으로 사용하며
접종율이 70퍼센트인 것을 선전하는데 우리 정부가
방역에서 선전하고 있는건 사실이지만
굳이 1차 접종율을 내세워서 안심시키는 것은
확진자 숫자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드네요
굳이 1차를 내세우지 않아도 40퍼센트 수준이면 높은편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거리두기 완화로 가는 유럽 영미권 국가들이 40~60% 정도에서 시작했던걸로 기억을 하거든요

확진자 숫자도 줄여나가면서 모쪼록 거리두기 완화도 성공적으로 진행이 되길 바래봅니다 피해보상지원이 워낙 지지부진했었으니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23 12:01
수정 아이콘
1차를 강조하는 이유는 1차 맞은 사람들은 결국 2차를 맞을 거기에 최종 접종률의 선행지표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1차만 맞은 걸로는 예방효과가 크지 않으니 그 부분에 대한 주의도 병행되어야겠죠.
김연아
21/09/23 12:25
수정 아이콘
얀센은 부스터를 반드시 맞춰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양말발효학석사
21/09/23 12:26
수정 아이콘
얀센 접종자는 어여 부스터 해줘야겠네요.
응~아니야
21/09/23 12:45
수정 아이콘
2차 접종 70퍼센트 맞춘다 보면 이제 백신을 맞을 수 있고, 맞을 의지가 있는 사람은 다 맞았다고 생각합니다.
나머지는 아직 접종이 허가되지 않았거나, 맞을 생각이 없는 사람들이겠죠.
2차 접종 70퍼센트 완료하면 일일 확진자수는 급격하게 늘지만 않으면 된다고 봅니다.
델타변이가 우점종인 상황에서 일일 확진자수를 더 줄어들게 만든다는 건 (미접종자를 억지로 백신을 맞추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이제는 위중증 환자 수를 주요 목표치로 두고 케어하는 방향으로 가면서 본인이 선택한 안티백서들에게 마지막 기회를 주고, 안 맞으면 디메리트 주는 방법으로 가야죠.
영호충
21/09/23 13:06
수정 아이콘
얀센실드야 힘내!!
유료도로당
21/09/23 14: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얀센의 성능이 AZ 1차접종자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저렇게까지 성능차이가 날 리는 없을것같고.. 한국 얀센접종의 특이점은 유일하게 아주 좁은 집단 (30대 군필 남성)에만 접종했다는점, 저기 있는 돌파감염율 데이터가 단순히 접종완료자 대비 감염자수를 헤아린 데이터라는점을 감안하면 얀센 접종자가 (고령층 비율이 높은 타 백신 대비) 훨씬 사회적 활동량이 많고 그만큼 바이러스 노출빈도가 잦았다는 이야기 아닐까 싶네요.
21/09/23 15:05
수정 아이콘
추석전 1차접종 70% 목표달성했으니 홍보하는게 당연한거 아닌가요
윗분말씀대로 이제 6주후면 11월초에는 2차접종 70%도 가시권에 들었구요
21/09/23 15:27
수정 아이콘
정부에서 1차접종율로 홍보하기 전에
백신접종율을 국가별로 비교할때는 1차로 비교 자체를 잘 안했었어요 다 2차기준으로 접종율이 몇 퍼센트인지 접종속도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가늠해보곤 했으니까요
1차접종율 높은걸로 홍보를 하면 흘려듣는 사람들은 2차까지 70퍼센트 맞았겠구나 흘려듣고 방역에 해이해질 수 있으니까요

돌파감염이 이제껏 전부 합해서 오천명 수준이었는데 일주일만에 천명 늘어났다고 하니 돌파감염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21/09/24 06:54
수정 아이콘
애초에 추석전 1차접종 70% 접종목표를 잡았었고
계획대로 진행되었고 앞으로도 계획대로 진행될 예정이다 라고 접종진행상황 홍보하는데 왜 문제일까요

흘려듣고 2차까지 많이 맞았겠구나 오해한분들이 방역에 해이해진다?
흘려들은 이들이 접종완료상태가 아니면 왜 그들이 방역에 해이해지는지 이해가 안가요

접종완료자가 감염되었을때 돌파감염이라 하는걸로 알고있어요 1차접종 홍보많이하는것과 돌파감염많아진것은 무슨관계인지 모르겠어요
접종완료자 숫자도 늘어났으니 돌파감염숫자 늘어나는건 당연한것같은데 그 비율이 뛴다면 그건 또 생각해봐야겠네요
heatherangel
21/09/23 18:57
수정 아이콘
혹시 지금까지 연구되고 있는 얀센 부스터는 얀센 추가접종으로 예정되나요? 아니면 화이자나 모더나로 교차접종으로 예상되나요?
배고픈유학생
21/09/23 19:51
수정 아이콘
얀센은 얀센으로 추가접종으로 연구중이라 들었습니다. 얀센→ 화이자/모더나는 아닌걸로.
Augustiner_Hell
21/09/23 21:25
수정 아이콘
쳇.. 약해빠진 얀센녀석.. 힘을내라구.
Quarterback
21/09/24 10:01
수정 아이콘
미국에서 나온 데이터들을 보면 얀센이 타 백신 대비 돌파감염률이 약간 높게 나오긴 했지만 2배 이상 차이가 나진 않습니다. 결국 한국의 데이터는 특정 연령대에만 집중해서 접종시켰기 때문에 데이터 해석 시 감안해서 보셔야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965 [일반] 100억 넘게 모았는데 소개팅 안들어오네요 [108] 사와무라12441 25/09/10 12441 11
104964 [일반] 코스피 - 대한민국 역사상 최고점 돌파! [89] This-Plus10140 25/09/10 10140 7
104963 [정치] [단독] 정부, ‘외국인 가사 사용인’ 시범사업 공식 폐기 [80] 유머7335 25/09/10 7335 0
104961 [정치] 협치하자면서 쿠데타 때 대통령과 여당대표가 잡혀 죽었으면 좋았겠다는 야당 [94] 바람돌돌이8413 25/09/10 8413 0
104960 [일반] 이재용 아들 이지호, 미국적 포기 후 해군 입대 예정 [50] 다크서클팬더4657 25/09/10 4657 8
104959 [정치] 언론사의 징벌적 손해배상에 대해서 유튜브는 제외되는군요. [190] petrus7850 25/09/10 7850 0
104958 [일반] 연결주의와 초지능 [5] 번개맞은씨앗4257 25/09/09 4257 1
104957 [일반] 최근 있었던 KT 소액결제 사건의 실마리가 나온듯 합니다. [56] 몰라몰라10288 25/09/09 10288 2
104956 [정치] 조국혁신당 "비대위원장으로 조국 추천"…11일 당무위서 추대될 듯 [118] Davi4ever9215 25/09/09 9215 0
104955 [정치] 대통령 직속 대중문화교류위 신설…공동위원장에 ‘JYP’ 박진영 [62] Davi4ever7423 25/09/09 7423 0
104954 [정치] [NYT] 또다시 프랑스 정부 붕괴, 깊어지는 정치 마비 [142] 철판닭갈비10230 25/09/09 10230 0
104953 [정치] 부산 세계로교회 담임 손현보씨 구속 [63] SAS Tony Parker 7065 25/09/09 7065 0
104952 [정치] ‘교통지옥’ 만든 서부간선도로 평면화···서울시, 잠정철회 [83] 강가딘7884 25/09/09 7884 0
104951 [일반] 범고래 이야기(췟 gpt 검색해보니 신기해서 써봄) [16] 포졸작곡가2998 25/09/09 2998 19
104950 [일반] 도쿄규짱 유튜버가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71] 독서상품권9229 25/09/09 9229 0
104949 [일반] 답을 구하는 방법 [13] 번개맞은씨앗4911 25/09/09 4911 3
104948 [일반] 에어컨은 제습이 안되는군요 [40] 디기둥9226 25/09/08 9226 0
104947 [일반] KISS OF LIFE 'Lips Hips Kiss'를 촬영해 보았습니다. [2] 메존일각5381 25/09/08 5381 5
104946 [일반] 오이디푸스와 페르세우스의 의미 [10] 번개맞은씨앗5094 25/09/08 5094 2
104945 [정치] 레거시미디어와 유튜브의 전쟁 [251] 짭뇨띠13347 25/09/08 13347 0
104944 [정치] 오늘 여야대표와 오찬회동 가진 이재명 대통령 [65] Davi4ever9091 25/09/08 9091 0
104943 [정치] 2023년 발간한 민주당 재집권전략보고서에 나온 부동산에 대한 견해 [387] petrus13538 25/09/08 13538 0
104942 [정치] 김현지 총무비서관은 어떤 사람일까? [238] petrus13426 25/09/08 1342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