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9/18 01:03:41
Name style
Subject [일반] 3번째로 이사 글을 올립니다.

2016년
https://pgr21.com/freedom/66409

2016년 1번째 아파트(80년대 완공)

2018년
https://pgr21.com/freedom/78069

2018년 2번째 아파트(2010년대 완공)

그리고 2021년 다시 이사를 갑니다.
1번째 아파트는 아파트로 가고싶어서
2번째 아파트는 1번째 아파트가 안 올라서라고 글을 썼네요.

결국 제가 다행히도 잘 벗어났던것같습니다.
2016년-2018년 2년 동안 살았던 아파트는 제가 팔았던 2018년과 현재 2021년 매매가를 비교하면 구축이다보니 오르지않았습니다.
오히려 떨어졌다고 보여지네요.
현재 아파트는 그래도 3년 동안 조금씩 상승하여 다행이다 싶었습니다.
하지만 부산과 비교해 크게 오르지는 못했습니다.

그리고 작년부터 발동한 격차, 그리고 향후 더 벌어질 것이라는 불안한 심리가 저를 해운대로 가게 만드네요.
여기서 좀 더 주춤하면 해수동을 못 갈것같아 제가 감당할 수 있는 원리금에 맞춰 가격대를 산정해보고,
브역대신평초 및 입지등을 고려해서 살 곳을 결정했습니다.
해당 아파트 해당 평의 신고가를 제가 만들었네요...
해운대이지만 해운대 취급 못 받는 곳이지마는 대장아파트들이 오르면 키 맞추기로 좀 오를 걸 기대하고 2년 잘 살아보겠습니다.
사실 집값 걱정보다 고바위라 생활하는데 그게 더 걱정..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공항아저씨
21/09/18 02:28
수정 아이콘
좌동 우동 살았었는데.. 살기 좋은곳이죠.. 행복하세요
이라세오날
21/09/18 03:16
수정 아이콘
브역대신평초가 무슨 말일까요?
공항아저씨
21/09/18 04:55
수정 아이콘
브랜드 역세권 대단지 신축 평지 초품아(초등학교 품은 아파트) 부산에서 흔히 쓰이는 말입니다
평지는 부산이 산이 많아서 따지는거구요
여수낮바다
21/09/18 09:22
수정 아이콘
오 처음 들어 봅니다 중요한 요솔 정말 잘 요약했네요
부산은 일단 도시 이름부터 산이 들어가네요 흐흐 정말 산이 많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440 [일반] 둔촌주공 공사비 증액 갈등으로 재건축 공사 전면 중단 [88] 유랑14385 22/04/17 14385 1
95301 [일반] 서울에 갑니다. [230] Heidsieck19935 22/03/23 19935 53
95234 [일반] 국토 균형발전에 대한 단상 [159] meson13445 22/03/12 13445 1
95081 [일반] 건설회사의 변명 [101] Leopold20038 22/02/21 20038 61
95041 [일반] 출산율 떡밥으로 찾아본 해외 출산율 자료 모음.zip [236] 오곡물티슈21366 22/02/14 21366 23
94309 [일반] 합계출산율 0.84 ... 문제가 돈이라고? [453] 스토리북24156 21/12/10 24156 100
93840 [일반] 남녀 갈등 이슈에서 놓치고 있던 조건, 사랑의 부재 [417] 오곡물티슈27185 21/10/25 27185 91
93838 [일반] (주식) 투자 INSIGHT: 박세익 "2022 전망" [13] 방과후계약직11543 21/10/25 11543 2
93806 [일반] 감사합니다 pgr [196] 윤석열15109 21/10/22 15109 37
93721 [일반] 쿠팡이츠 파트너 한달 후기 [35] 트와이스 채영16517 21/10/12 16517 10
93717 [일반] 미국/중국 부동산 시장, 철광석 가격 그리고 한국 경제 [15] kien.14589 21/10/11 14589 0
93693 [일반] <부동산 수요>에 대한 나의 생각 [201] 발이시려워15694 21/10/09 15694 14
93614 [일반] 한국 경제와 나의 경제에 대한 헷지 투자처 [5] kien.10243 21/10/03 10243 2
93600 [일반] 대한민국 정책의 방향성 [7] 코지코지8437 21/10/02 8437 1
93535 [일반] 나라가 있어야 문화가 있다 [130] 코와소14313 21/09/28 14313 13
93474 [일반] 한류가 세계에 인정받는 것을 보는 한 서민으로서 느끼는 감정 [174] 코와소15800 21/09/24 15800 25
93443 [일반] 헝다그룹과 중국 정치의 역사 [56] 김유라27876 21/09/22 27876 143
93413 [일반] 주식과 부동산 투자에 대해서 [79] 김홍기14129 21/09/19 14129 2
93407 [일반] 3번째로 이사 글을 올립니다. [4] style11226 21/09/18 11226 1
93384 [일반] 적당한 수준의 실거주 1주택을 추천하는 이유 [163] Leeka17864 21/09/16 17864 13
93381 [일반] [책이야기] 서울 선언 [10] 라울리스타9682 21/09/15 9682 11
93249 [일반] 취중작성 - 시사정보가 미치는 해악 [9] 구미나8855 21/09/04 8855 8
92980 [일반] 신용대출·마이너스통장을 연봉보다 더 받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102] 맥스훼인23816 21/08/17 2381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