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9/06 18:02:25
Name Leeka
Subject [정치] 4대은행의 마통 한도가 모두 5,000만원이 되었습니다.

신한/우리 은행은 올해 초부터 마통 한도가 5,000만원으로

하나은행은 8월 27일부터 마통 한도가 5,000만원으로 제한되었는데요

9월 7일.. 즉 내일부터 국민은행도 마통 한도가 5,000만원으로 바뀌면서

시중 4대 은행의 마통 한도가 모두 5,000만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제 마통 5천만원 이상 빌리시려면 농협에 한해서는 '연소득에 따라 최대 1억까지'는 아직 마통이 나오고 있는 만큼

마지막 보루로는 농협이 남아있다고 볼 수 있을것 같네요..


마통 연장할지 말지 고민하다 연장한게 잘한 선택이였다는 것을 다시 한번..


덤으로 마통 금리도 사실 초고속으로 오르고 있어서..  예전만큼 금리가 널널하진 않습니다 ㅜ
작년에만 해도 제 마통이 이자 2% 후반이였는데.. 지금은 4% 초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년째학부생
21/09/06 18:04
수정 아이콘
갱신은 제한 없을까요? 지금 5천짜리 마통 2개가지고 있는데 하나가 11월 갱신이라... 지금은 쓸일이 별로 없는데 내년엔 쓸일이 많을거 같은데 걱정이 좀 되네요.
킬링조크
21/09/06 18:28
수정 아이콘
아무도 장담은 못하지만 미리 돈을 좀 굴리고 계시는게 나을 수 있습니다. 계속 안쓰면 한도축소하겠다 나올 때 할 말이 없어서ㅡ
기다리다
21/09/06 18:51
수정 아이콘
저 오늘 갱신하고 왔는데(하나은행) 한도는 영향없었습니다. 근데 저는 마통을 풀로 쓰는 사람이라...평소에 쓰지않으셨으면 한도축소되지 않을까요
칸쵸는둥글어
21/09/06 19:15
수정 아이콘
이율은 많이오르셨나요? 저도 이제 두달뒤에 연장해아하는데 걱정입니다
기다리다
21/09/08 10:47
수정 아이콘
1%올랐습니다 엉엉
21/09/06 19:13
수정 아이콘
사용액 어느정도 되면 갱신은 되고 이율만 좀 오릅니다. 얼마 전에 연장했네요
L'OCCITANE
21/09/06 20:11
수정 아이콘
마통 조이기가 의대생 마통까지도 올까요? 생활비 통장이 토막나면 난감한데 말이죠 ㅜ.ㅜ
그냥 금리만 좀 오르는 선에서 멈췄으면 좋겠습니다
21/09/06 20:41
수정 아이콘
가장 먼저일겁니다. 이미 한도축소 많이 됐고요. 의대생 또는 의전원생일때 가급적 마통은 쓰지 마세요...
21/09/06 20:38
수정 아이콘
어머니가 지역농협에서 토지 담보로 5억 마통을 가지고 계신데 이것도 바뀔 수 있을까요? 그럼 문제가 커지는데...
21/09/06 20:43
수정 아이콘
한도 내에서 어느정도 사용을 하고 있다면 당장 줄진 않겠지만 마통한도의 60~70% 이상 금액을 쓰지 않으면 다음엔 칼질당할겁니다.
90% 이상 쓰고 있다면 당장 칼질은 하지 않겠지만 지금 정부 정책 흐름상
이제 다음으로 건드릴 건 기존마통 1년단위 갱신시 칼질밖에 안남았으니 어떻게될지는 모릅니다.
21/09/06 20:51
수정 아이콘
2년단위 갱신으로 알고 있는데 내년 갱신일시 되기 전에 좀 쓰시라고 말씀드려야겠네요. 감사합니다.
회색사과
21/09/06 22:36
수정 아이콘
담보대출이면 형식이 마통이라 그렇지 신용대출은 아잉거 아임니까 괜찮으실거에요
21/09/06 22:44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대출처에 연락해보니 걱정말라도 하시긴 하던데 그래도 걱정이 되긴 했거든요. 답변 감사합니다
지구돌기
21/09/06 21:42
수정 아이콘
저는 오늘 갱신하려고 연락왔는데, 마통 2억에서 안썼더니 20% 깎여서 1.6억이 되었습니다.
금리는 거의 1% 가까이 올랐네요. 기준금리 인상보다 우대금리 항목들이 줄면서 그렇게 된 것 같습니다.
달달각
21/09/06 22:14
수정 아이콘
한군데만 쓰고있는데 몇군데 뚫어놔야겠네요..
회색사과
21/09/06 22:37
수정 아이콘
마통 지금 풀로 쓰고 있는데... 갱신 안해준다카면 어쩌나 고민입니다
사비알론소
21/09/07 00:32
수정 아이콘
풀로쓰고있을때 연장이 안되는경우는 아직 없을겁니다 (앞으로는 모르지만)
대신 금리가 엄청 오르실수도..
21/09/07 00:05
수정 아이콘
일단 마통이 뭔지 검색하고 있는 아재... 나만 모르는 건가.
이라세오날
21/09/07 00:25
수정 아이콘
마이너스 통장입니다.
21/09/07 00:33
수정 아이콘
마통 1억을 뚫어놨다가 하도 안써서 한도가 점점 줄더니 6천 좀 넘는데…올해 갱신때는 얄짤 없겠네요
진작 좀 늘려놓을걸
MissNothing
21/09/08 00:30
수정 아이콘
농협은 사실상 유사금융 수준의 괴담급의 뉴스가 요즘 나오고 있어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450 [일반] 중국은 미국과의 군비경쟁을 따라갈 수 없다. - 블룸버그 칼럼 [103] 한국화약주식회사15638 21/09/23 15638 14
93449 수정잠금 댓글잠금 [정치] 토지 공개념과 개발이익환수제 도입의 필요성 [145] 강변빌라1호16178 21/09/23 16178 0
93447 [정치] 오늘 20대인 친구와의 대화(feat 중혐) [74] 어바웃타임18817 21/09/23 18817 0
93446 [정치] "내 청춘 바친 민주당이 어쩌다 이런 괴물이 됐을까" [208] 청자켓29664 21/09/22 29664 0
93445 [일반] '음악적 분리', 나이젤 케네디, 지미 헨드릭스.. [2] 아난8797 21/09/22 8797 0
93444 [일반] 한국 백신도입이 사실상 완료 되었습니다 [181] 여기29476 21/09/22 29476 17
93443 [일반] 헝다그룹과 중국 정치의 역사 [56] 김유라32391 21/09/22 32391 143
93442 [일반] 여러분 사진 잘 찍으세요 [69] 삭제됨19809 21/09/22 19809 3
93441 [일반] 성매매와 AV 시청은 무엇이 다른가, 성매매와 AV가 불법인 이유는 무엇인가? [116] 비온날흙비린내21186 21/09/21 21186 20
93440 [일반] [웹소설]추석이 끝나가는 이 시점에 웹소설 추천 [33] 헤후13983 21/09/21 13983 3
93439 [일반] [역사] 가장 오래된 인간의 친구 / 개의 역사 [12] Its_all_light17278 21/09/21 17278 16
93438 [일반] 5G 데이터 사용량이 4G보다 많아서 4G로 갈래 [41] 체온15857 21/09/21 15857 7
93437 [일반] 마지막 최후의 한명까지 끌려가게 생긴 대한민국 군대 [347] 비온날흙비린내23394 21/09/21 23394 14
93436 [일반] 카불 공항 자살 폭탄 공격 - 잘 안 알려져 있는 소식 두개 [61] 아난14656 21/09/21 14656 0
93435 [일반] 백신 접종증명 정책 in 캐나다 [21] 이교도약제사12841 21/09/21 12841 7
93434 [일반] 대중의 평가와 평론의 평가는 왜 달라지는가? [49] 김유라12229 21/09/21 12229 27
93433 [일반] 나혼자만 모르고 있던 웹툰계의 변화 [61] 엔타이어20075 21/09/21 20075 9
93431 [일반] 호주의 국방 정책 [24] 아난12766 21/09/21 12766 3
93430 [일반] 격돌! 낙서왕국과 얼추 네 명의 용사들 감상문(본작+기타 짱구극장판 스포주의) [8] 말랑9828 21/09/20 9828 0
93429 [일반] 군대있을때 제일 이해안가는거 두가지 [126] 허스키23063 21/09/20 23063 5
93428 [일반] 어제 운동하다가 본 달 [8] 판을흔들어라11028 21/09/20 11028 6
93427 [일반] 주식 시장에서 돈 버는 방법 (Regime & Frame) [16] 방과후계약직15841 21/09/20 15841 3
93426 [일반] [노스포] 오징어게임을 보고나서 간략한 평 [90] 김유라17455 21/09/20 17455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