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8/22 14:18:30
Name 비후간휴
File #1 6a5df282cf5c6dcf2af6352e867112ba4fb6ee4f8b680a282f16f73d774fd4ae0267dd70285f4c827503502d2e4b80770e3b614cfc0715ac28ef14a443361b3ec25b92e35a79071f9036652b4bce8f28d98aa9b195dc50fbefe55cc50ab935f2.jfif (75.7 KB), Download : 82
File #2 istockphoto_178793491_1024x1024.jpg (361.4 KB), Download : 20
Subject [일반] 셜록 홈즈에서 간지나는 설정


범죄 컨설턴트(코디네이터) - 범죄 계획을 대신 세워주는 자
이름부터가 뭔가 있어보임

셜록 홈즈에 질린 코난 도일이 어지간히 연재 하기 싫어서 죽이기 위해 만들어진 인물, 제임스 모리어티의 직업(?)
그러다보니 능력치 다 때려박은 캐릭터인데 추리소설 특성상 힘캐보단 두뇌캐로 만든 끝판대장
급조캐릭터다 보니 서사없고 뜬금 등장이지만 뒤에서 조정하는 흑막이기 때문에 그동안 안나옴 크크

추리 소설 특성상 주인공 라이벌이 계속 등장하려면 범죄 계속 저질러야하는데 그럼 범인은 똑같아지니
새로운 인물 꼭두각시 + 추리대결은 라이벌과 함
거기에 범행 동기가 있는 자들을 부추겨 범죄를 저지르게 하는 악당짓,
트릭이 들통나도 실행자가 잘못해서 그런거니 악당 위상은 유지
돈이나 권력보다 완전 범죄를 추구하는 예술가 타입 등 설정이 괜찮더군요

코난 도일은 쓰기 싫다싫다 하면서 덕후들 좋아할만 설정 잘만 만드는듯
*나무위키 참고해서 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잘모모
21/08/22 14:23
수정 아이콘
먼치킨 주인공
간지나는 악당
엑스트라들이 모두 주인공의 힘에 기댐
유아독존 같지만 누구보다도 인망이 두터움
은근한 브로맨스
극성 팬덤

이거 완전...?
Hudson.15
21/08/22 14:27
수정 아이콘
심지어 주인공이 은근히 열등감을 느끼는 형제까지
21/08/22 14:30
수정 아이콘
http://maidsuki.egloos.com/4195631
>천재범죄자면서 하는 짓은 저능아
>설정만 있지 그 두뇌를 단 한번도 뽐낸 적이 없음
>최강의 적이 최종화에 뜬금없이 등장

지금와서 진지하게 따져보면 진짜 어이없음 크크크크
21/08/22 14:44
수정 아이콘
그래도 설정 자체가 워낙 매력적이어서 이후 작품들에선 맛깔나게 쓰고 있죠 크크
탈리스만
21/08/22 15:16
수정 아이콘
와 덕분에 글 재미있게 봤습니다~ 쥬라기월드도 코난도일이 썼다니 덜덜
21/08/22 20:22
수정 아이콘
쥬라기 공원의 원작자인 마이클 클라이튼이, 영화화된 코난 도일의 '잃어버린 세계'를 보고 영감을 얻어 집필한 것은 사실이지만, 쥬라기 공원 시리즈와 코난 도일의 원작과는 거리가 상당하죠.
탈리스만
21/08/22 21:12
수정 아이콘
아하 어쩐지 크크크 제대로 이해했습니다.
21/08/22 14:31
수정 아이콘
"그래! 이 녀석을 통해서 홈즈를 골로 보내고 이 지긋지긋한 시리즈도 이제 끝이다! 이제 내가 좋아하는 역사소설이나 실컷 써야지!"
요슈아
21/08/22 14:39
수정 아이콘
"그래서 아들아 홈즈는 언제 쓸 거니??"
21/08/22 14:39
수정 아이콘
모리어티는 진짜 별 볼일 없는 캐릭턴데(묘사도 제대로 안함) 범죄 컨설턴트라는 직업? 설정이 미쳤죠.
심지어 '수사 고문'(셜록홈즈가 본인 직업을 지칭할 때 쓰는 말)을 완벽하게 뒤집은 거니까...
티모대위
21/08/22 14:54
수정 아이콘
현재의 창작물에서 아주 잘 쓰이는 흑막류의 추리소설 버전이라니
굉장히 혁신적인 설정이고, 이후 셜록홈즈 관련 창작물에서도 원작보다 훠얼씬 멋지게 다루어지죠.
21/08/22 14:54
수정 아이콘
최코디?
보라준
21/08/22 14:56
수정 아이콘
김전일에서도 쏠쏠히 써먹죠
굿럭!
탈리스만
21/08/22 14:59
수정 아이콘
글 보면서 딱 지옥의 광대 생각했어요 크크 고대로 써먹었군요.
내년엔아마독수리
21/08/22 15:01
수정 아이콘
작품 끝내려고 대충 만든 설정이에 덕후들이 환장하다니 코난도일은 정말 씹뜨억몰이를 위해 태어난 사란인 듯
파랑파랑
21/08/22 22:54
수정 아이콘
트릭이 들통나도 실행자가 잘못해서 그런거니
악당 위상은 유지 ---- 이거 완전개꿀이잖어
21/08/23 13:09
수정 아이콘
뭐야 흔한 평행선이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165 [일반] 백신, 부작용? 그리고 응급실 [7] 로빈16371 21/08/29 16371 12
93163 [정치] 은행권, 신용대출 '연봉이내'·마통 '최대 5천만원'으로 묶는다 [92] 쁘띠도원24162 21/08/29 24162 0
93162 [정치] 임대주택에 사는 사람들은 죄다 이상한 사람들이다? [300] 분란유도자22921 21/08/29 22921 0
93160 [정치] 반난민 정서를 해결하고 난민을 수용할 수 있는 국가 [52] 양말발효학석사23080 21/08/28 23080 0
93159 [일반] 넷플릭스 신작 드라마 'D.P.' 감상 (스포일러 주의) [77] BTS21408 21/08/28 21408 4
93158 [정치] '예산낭비'라고 생각했던 서울런 정책, 알고보니 '괜찮네' [63] Alan_Baxter21164 21/08/28 21164 0
93157 [일반] 영국은 아프간 사태로 인해 발등에 불 떨어진거 같습니다 [40] elaborate21401 21/08/28 21401 3
93156 [일반] 中 리투아니아와 단교 카드 만지작, 곧 결정할 듯 [29] 아롱이다롱이16301 21/08/28 16301 4
93155 [일반] 미국이 백신접종률이 얼마나 낮은지 그래프로 한눈에 체감해봅시다 [53] 여기17444 21/08/28 17444 8
93154 [일반] [속보] 미국, 낭가르하르 주 IS 타깃 드론 공습 [58] 아롱이다롱이19934 21/08/28 19934 0
93153 [일반] 미라클 작전.. 현지 외교관들과 공군 장병들의 노고에 박수를 보냅니다. [28] 유목민14167 21/08/28 14167 48
93152 [일반] 일본, 아프간 탈출작전 자국민 1명 으로 마무리 [82] 아롱이다롱이26691 21/08/27 26691 2
93151 [일반] 활자 창작물 검열에 관한 최신 사례.JPG [54] 실제상황입니다20877 21/08/27 20877 16
93150 [일반] 광악의 무한전생-더빌런- 유료화 임박!! [25] wlsak14221 21/08/27 14221 1
93148 [일반] 현재 난리가 난 웹소설 '후회 안하는 프로듀서'(스포유)+작가가 사과글 올림 [137] wlsak29603 21/08/27 29603 0
93146 [정치] 윤희숙 "공수처 수사받겠다".."그 땅 사회환원" 父 편지도 공개 [164] 만월25534 21/08/27 25534 0
93145 [일반] (스포)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애니 리뷰 [19] 그때가언제라도11439 21/08/27 11439 2
93144 [일반] '효'는 정말 우리만 갖고 있는 개념인가, 애초에 '효'란게 뭐지 [29] 나주꿀13088 21/08/27 13088 3
93143 [정치] 오늘의 사진 [239] 카루오스27259 21/08/27 27259 0
93142 [일반] 일본의 아프간 탈출작전 현재 상황 [208] 아롱이다롱이28586 21/08/27 28586 9
93141 [정치] 하태경 "병사 노마스크 실험, 문대통령지시" [299] 뜨와에므와25018 21/08/27 25018 0
93140 [일반] 국내의 인터넷 서비스 환경은 점점 폐쇄적으로 되어가고 있지 않나? [37] 체온14628 21/08/27 14628 3
93139 [일반]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제도 [12] 죽력고13470 21/08/27 13470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