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7/03 23:58:14
Name manymaster
Subject [일반] [14]글쓰기의 무거움과 의미를 생각하며
"Pgr이 글 쓰는 사람의 일방적인 욕구 해소만을 위한 [배설]의 공간이 아닌, 글을 쓰는 사람과 글을 읽는 사람의 정서적, 지적인 [소통]을 위한 공간이길 희망합니다. 전자를 목적으로 하는 공간은 이미 수많은 사이트들이 이미 수행하고 있고, 그런 공간이 가지는 가치와 순기능도 분명 존재합니다. 하지만 후자를 목적으로 하는 공간은 흔하지 않으며, PGR이 추구해야 할 커뮤니티적 이상은 여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 PGR21 통합 규정 2017.5.5. (https://pgr21.com/notice/371)

PGR하면 글쓰기의 무거움을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으실껍니다. 이번 글쓰기 이벤트 응모글에서도 서문에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을 강조한 글들이 눈에 띄더라고요. 위에서 소개한 규정도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을 이야기 하고 있다 생각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일방적 욕구 해소만을 위해 글쓰기 버튼을 누르지 말아야 하며, 정서적, 지적 소통을 위한 의미가 없다면 여기서 글 쓰는 것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겠죠. 댓글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댓글이란, 본문과 관련하여 본문 밑에 나타내기 위해 쓰는 짤막한(?) 글이니까요.

이런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 때문인지 지적인 소통을 위한 글이 많이 올라오고, 정서적 소통을 위한 글은 그렇게 많이 올라온 것을 보지 못했습니다. 물론 정서적 소통을 위한 글에서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 관련한 댓글이 잘 눈에 띄지 않았던 것을 보면 나름 공감받는 글들이 올라오는 구나 하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 저는 정서적 소통에 대해 함부로 재단할 능력이 없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그만 이야기하겠습니다.

그러면 지적인 소통이란 무엇일까요?

소통이란 표준국어대사전(https://ko.dict.naver.com/#/entry/koko/6c58c9ea49ac4e82959a40bc1d91343e)에 나와있기를 '뜻이 서로 통하여 오해가 없음'이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만으로는 잘 와닿지 않을 수 있으니 구글에서 "지적 소통"으로 검색을 해봤습니다. 저는 학계 관련해서 많이 걸리네요. 교수와 학생간의 지적 소통이 전통적 대학의 역할이었다고 언급하는 성균관대 총장의 칼럼(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443358899560.pdf)이나 학술대회가 지적인 소통의 장이 되길 희망한다는 안내문(http://www.koala.or.kr/html/?pmode=BBBS0012800002&smode=view&seq=13)을 참고해볼 수 있겠습니다. 오해가 없다는 말은 학술적으로 오류를 지적당하지 않는다고 치환해 볼 때, '학술적으로 이야기를 나눠 학문의 완성을 추구한다'가 학계에서 이야기하는 지적 소통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물론 여기는 대학도, 학회도 아니고 PGR21입니다. 여기 오는 사람들이 모두 학계에 통용되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것도 아니고, 학문의 발전을 위해 글을 읽고 연구하는 사람도 아닙니다. 이를 생각한다면 PGR21에서 말하는 지적 소통의 의미는 '지식을 교환해 서로간의 지식의 풍부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위의 의미를 정리한다면 지적인 의미가 담겨있지 않은 글이야 말할 것도 없습니다. 댓글과 관련해서도, 지적인 소통을 위한 글에는 본문에 언급되지 않은 새로운 사실을 댓글로 단다던가, 좋은 글이라는 칭찬에서도 어느 점에서 특히 생각해볼 가치가 있는지 다는 것도 지적인 소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짤막한 댓글이라 할지도 지적인 의미 자체를 담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물론 지적 소통에 실패하는 것은 이 뿐만이 아닙니다. 상대방이 잘 아는 것이 명백한 뻔한 이야기는 교환해봤자 의미도 없고, 상대방이 아예 이해를 못하는 글은 교환이 실패한 글이 되니 지적 소통에 실패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상대방의 날카로운 반응을 내보일 수 있는 글도 상대방이 불수용할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지적 소통에 실패하기 쉬운 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마지막 케이스는 그나마 서로간에 아예 소통의 창구를 막지 않아 잘 수습된 댓글 흐름이 있기는 합니다. 이는 상대방을 잘 알아야 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지적인 의미를 담지 않은 것에 비하면 익스큐즈(?)될 부분도 있습니다.

정리합니다. PGR21에서 말하는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은 대개 지적인 소통을 위함을 의미하고, 지적 소통의 의미는 국어사전의 정의나 학계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생각해 볼 때 '지식을 교환해 서로간의 지식의 풍부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의 지적인 의미를 담아 글과 댓글을 쓰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도 PGR21에서 소통을 하기 위해 글을 올리지만, 아예 이해를 못하는 글(https://pgr21.com/freedom/90060)을 올린 적도 있고, 지적인 의미가 담겨있지 않은 글이나 뻔한 글을 올렸다고 100% 장담하기도 어렵습니다. 다만 가급적이면 지적인 소통을 위해 최소한의 지적인 의미를 담아 댓글을 달려고 노력할 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2435 [일반] 현장에서 체험한 협동 로봇(collaborative robot)에 대한 장단점 분석글 [22] 리자몽11866 21/07/07 11866 7
92434 [일반] 이건희 미술관의 위치는 서울로 정해졌습니다 [253] VictoryFood24382 21/07/07 24382 27
92433 [정치] 野 '여가부 폐지' 공약에 정치권 갑론을박 [207] 피잘모모20152 21/07/07 20152 0
92432 [정치] 이재명 저격한 남양주시장 근황.jpg [86] 어서오고19118 21/07/07 19118 0
92428 [일반] 코로나 시국에서 발휘되는 인지상정 [61] Gottfried15241 21/07/07 15241 19
92427 [일반] 델타 바이러스와 백신에 대한 질의응답 [34] 한이연21813 21/07/07 21813 10
92425 [일반] 쓰러진 여성은 남자가 도와야 하나 [255] 아케이드28814 21/07/07 28814 3
92424 [일반] 코로나19와 공존해야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는거 같습니다. [64] 김은동18519 21/07/06 18519 22
92423 [일반] 아 차 사고 싶어라 2 (투싼 vs 스포티지) [82] 길갈18039 21/07/06 18039 2
92422 [일반] 다시 확진자 1000명이 넘었네요 일반탭입니다.. [410] 김경호28377 21/07/06 28377 12
92421 [일반] 이소룡 딸, '아버지 비하' 타란티노 감독에 "지겨운 백인 남성" [44] 及時雨19871 21/07/06 19871 3
92420 [정치] 슬슬 미친 사냥개에 재갈을 물리는 여야 정치권 [100] 나주꿀26419 21/07/06 26419 0
92419 [일반] 14차 글쓰기 이벤트 결과 안내입니다. [16] clover10667 21/07/06 10667 9
92418 [일반] 안보면 인생 손해인 웹툰-당신의 과녁 [31] lasd24118376 21/07/06 18376 7
92417 [정치] 백신 접종률 순위가 일본과 바뀌었습니다 [55] 네이비크림빵16686 21/07/06 16686 0
92416 [일반] 정말 괴물같은 드라마 괴물(노스포) [27] 이쥴레이13808 21/07/06 13808 0
92415 [정치] 또 하나의 가족, 애완동물과 관련 정책 이야기들 [27] 나주꿀12396 21/07/06 12396 0
92414 [정치] 보고 있으면 뭔가 웃긴 대선 후보 지지도 [106] 일간베스트20859 21/07/06 20859 0
92413 [일반] 보고 있으면 뭔가 웃긴 맛집유튜버 [35] 판을흔들어라21595 21/07/06 21595 4
92412 [정치] 뉴스버스가 김건희씨 모녀 관련 의혹을 상세보도했습니다. [281] echo off23881 21/07/06 23881 0
92411 [일반] [역사] 원도우11이 출시되기까지 / 윈도우의 역사 [36] Its_all_light23701 21/07/05 23701 11
92409 [정치] 건강을 이유로 재판 못나간다던 전두환,혼자서 골목산책 [60] TWICE쯔위17545 21/07/05 17545 0
92408 [정치] 국민의힘 대변인 선발 토론배틀이 끝났습니다. [29] 피잘모모18716 21/07/05 1871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