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7/03 23:58:14
Name manymaster
Subject [일반] [14]글쓰기의 무거움과 의미를 생각하며
"Pgr이 글 쓰는 사람의 일방적인 욕구 해소만을 위한 [배설]의 공간이 아닌, 글을 쓰는 사람과 글을 읽는 사람의 정서적, 지적인 [소통]을 위한 공간이길 희망합니다. 전자를 목적으로 하는 공간은 이미 수많은 사이트들이 이미 수행하고 있고, 그런 공간이 가지는 가치와 순기능도 분명 존재합니다. 하지만 후자를 목적으로 하는 공간은 흔하지 않으며, PGR이 추구해야 할 커뮤니티적 이상은 여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 PGR21 통합 규정 2017.5.5. (https://pgr21.com/notice/371)

PGR하면 글쓰기의 무거움을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으실껍니다. 이번 글쓰기 이벤트 응모글에서도 서문에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을 강조한 글들이 눈에 띄더라고요. 위에서 소개한 규정도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을 이야기 하고 있다 생각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일방적 욕구 해소만을 위해 글쓰기 버튼을 누르지 말아야 하며, 정서적, 지적 소통을 위한 의미가 없다면 여기서 글 쓰는 것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겠죠. 댓글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댓글이란, 본문과 관련하여 본문 밑에 나타내기 위해 쓰는 짤막한(?) 글이니까요.

이런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 때문인지 지적인 소통을 위한 글이 많이 올라오고, 정서적 소통을 위한 글은 그렇게 많이 올라온 것을 보지 못했습니다. 물론 정서적 소통을 위한 글에서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 관련한 댓글이 잘 눈에 띄지 않았던 것을 보면 나름 공감받는 글들이 올라오는 구나 하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 저는 정서적 소통에 대해 함부로 재단할 능력이 없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그만 이야기하겠습니다.

그러면 지적인 소통이란 무엇일까요?

소통이란 표준국어대사전(https://ko.dict.naver.com/#/entry/koko/6c58c9ea49ac4e82959a40bc1d91343e)에 나와있기를 '뜻이 서로 통하여 오해가 없음'이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만으로는 잘 와닿지 않을 수 있으니 구글에서 "지적 소통"으로 검색을 해봤습니다. 저는 학계 관련해서 많이 걸리네요. 교수와 학생간의 지적 소통이 전통적 대학의 역할이었다고 언급하는 성균관대 총장의 칼럼(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443358899560.pdf)이나 학술대회가 지적인 소통의 장이 되길 희망한다는 안내문(http://www.koala.or.kr/html/?pmode=BBBS0012800002&smode=view&seq=13)을 참고해볼 수 있겠습니다. 오해가 없다는 말은 학술적으로 오류를 지적당하지 않는다고 치환해 볼 때, '학술적으로 이야기를 나눠 학문의 완성을 추구한다'가 학계에서 이야기하는 지적 소통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물론 여기는 대학도, 학회도 아니고 PGR21입니다. 여기 오는 사람들이 모두 학계에 통용되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것도 아니고, 학문의 발전을 위해 글을 읽고 연구하는 사람도 아닙니다. 이를 생각한다면 PGR21에서 말하는 지적 소통의 의미는 '지식을 교환해 서로간의 지식의 풍부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위의 의미를 정리한다면 지적인 의미가 담겨있지 않은 글이야 말할 것도 없습니다. 댓글과 관련해서도, 지적인 소통을 위한 글에는 본문에 언급되지 않은 새로운 사실을 댓글로 단다던가, 좋은 글이라는 칭찬에서도 어느 점에서 특히 생각해볼 가치가 있는지 다는 것도 지적인 소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짤막한 댓글이라 할지도 지적인 의미 자체를 담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물론 지적 소통에 실패하는 것은 이 뿐만이 아닙니다. 상대방이 잘 아는 것이 명백한 뻔한 이야기는 교환해봤자 의미도 없고, 상대방이 아예 이해를 못하는 글은 교환이 실패한 글이 되니 지적 소통에 실패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상대방의 날카로운 반응을 내보일 수 있는 글도 상대방이 불수용할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지적 소통에 실패하기 쉬운 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마지막 케이스는 그나마 서로간에 아예 소통의 창구를 막지 않아 잘 수습된 댓글 흐름이 있기는 합니다. 이는 상대방을 잘 알아야 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지적인 의미를 담지 않은 것에 비하면 익스큐즈(?)될 부분도 있습니다.

정리합니다. PGR21에서 말하는 글쓰기 버튼의 무거움은 대개 지적인 소통을 위함을 의미하고, 지적 소통의 의미는 국어사전의 정의나 학계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생각해 볼 때 '지식을 교환해 서로간의 지식의 풍부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의 지적인 의미를 담아 글과 댓글을 쓰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도 PGR21에서 소통을 하기 위해 글을 올리지만, 아예 이해를 못하는 글(https://pgr21.com/freedom/90060)을 올린 적도 있고, 지적인 의미가 담겨있지 않은 글이나 뻔한 글을 올렸다고 100% 장담하기도 어렵습니다. 다만 가급적이면 지적인 소통을 위해 최소한의 지적인 의미를 담아 댓글을 달려고 노력할 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193 [일반] AI 음악 딸깍! 도전해보기 [11] 여행의기술8320 25/05/16 8320 8
104192 [일반] 닭비디아 주가 [43] 퀀텀리프15911 25/05/15 15911 0
104191 [일반] <해벅> - 장점과 단점이 동시에 보인다는 것. (노스포) [7] aDayInTheLife7574 25/05/16 7574 1
104190 [일반] 북한은 과연 김주애가 권력을 승계받는게 가능할까요? [69] 독서상품권14141 25/05/15 14141 2
104189 [일반] 어쩌면 PGR의 미래? [45] bifrost10296 25/05/15 10296 4
104188 [일반] 중동외교의 대전환을 꾀하는 듯한 트럼프 [30] 크레토스9270 25/05/15 9270 1
104187 [일반] 유나이티드 헬스그룹의 행보가 매우 심상치 않습니다 [24] 독서상품권15256 25/05/15 15256 6
104186 [일반] 더 적게... 더 적게! 46키 키보드 [63] Kaestro8287 25/05/15 8287 12
104185 [일반] AI Agent와 MCP [12] 모찌피치모찌피치5558 25/05/14 5558 5
104184 [일반] 일본 여행중 지갑 잃어버렸다 찾은 썰.ssul [27] 오징어개임7850 25/05/14 7850 9
104183 [일반] 본조비... [38] a-ha10298 25/05/13 10298 5
104182 [일반] 걸레빤 물.. 평양냉면을 먹고 오다. [107] 김삼관12671 25/05/13 12671 4
104181 [일반] 고양국제꽃박람회에 다녀왔습니다 [11] 及時雨6304 25/05/13 6304 5
104179 [일반]  '주호민 아들 아동학대 혐의' 특수교사 항소심서 무죄 [205] 퍼그20699 25/05/13 20699 13
104178 [일반] 도재욱선수의 결승진출을 보면서... [37] 이영수`11893 25/05/13 11893 21
104174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6)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5 [6] 계층방정4596 25/05/12 4596 4
104173 [일반] 이제와서 데스노트(애니) 정주행을? [20] 김삼관5695 25/05/12 5695 1
104172 [일반] 미국이 대중 관세를 90일 간 연기하였습니다. [82] 김유라12413 25/05/12 12413 4
104171 [일반] 중드 추천 [오복임문] 소개 글 (스포 최소화) [15] 마음속의빛5556 25/05/12 5556 0
104170 [일반] [번역] 무역 포커에서 이기는 패: 미-영 경제 번영 협정 검토 [3] Q-tip9209 25/05/10 9209 2
104169 [일반] 당분간 skt 이용자는 각종 인증 문자서비스 이용을 하지 않으시는게 좋겠습니다. [34] 키토15654 25/05/10 15654 10
104168 [일반] [창작] 논픽션적 픽션 (습작..?) [2] aDayInTheLife5879 25/05/10 5879 0
104167 [일반] 1달넘게 무한 폭락만 하는 미스테리한 나스닥 종목 [12] 독서상품권10319 25/05/10 1031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