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6/02 12:08:37
Name carbell
File #1 짤방1.png (411.7 KB), Download : 90
Subject [일반] 2020년 가계 소득/지출 통계 자료


어제 2020년 가계 순자산에 이어 글하나 더 써봅니다. 

원래는 한번에 쓰려고 했는데 글쓰는데 메뉴 중 Html / 에디터 둘다 눌러봐도 그림을 원하는 곳에 넣거나 3개이상 넣는법을 몰라서 그냥 추가로 글써봅니다


역시 통계청 2020년 자료입니다.

2020년 한해 모두자료입니다.




1분위 소득평균 월 164만원 / 지출 월 188만원

2분위 소득평균 월 330만원 / 지출 월 270만원

3분위 소득평균 월 460만원 / 지출 월 360만원

4분위 소득평균 월 620만원 / 지출 월 460만원

5분위 소득평균 월 1000만원 / 지출 월 660만원


소득은 근로소득 + 사업소득 + 나라보조금 등 모두 포함입니다. 일해서 번 돈 뿐 아니라 나라에서 받은돈 포함이라는게 중요합니다.




통계자료는 변할수 없어도 의도에 따라 해석은 여러 방향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래도 대충 해석을 해보면..



1.   소득은 전체적으로 약간이나마 늘기는 했습니다. 다만 1,2분위 즉 가장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은 근로소득이 폭망했고 소득의 대부분을 공적이전 즉 나라 보조금으로 충당했습니다.   


아무래도 이 소득계층은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정규직이 적고, 대부분 자영업에서 고용된 사람과 일용직 등이 많아서  일자리가 폭망해서 근로소득이 박살 난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무리 회사 매출이 줄었어도 해고가 힘들지만 5인 미만 자영업의 경우는 비교적 자유롭죠. 또 폐업도 많았을거고요.


2.  중간계층 이상은 근로소득은 선방했습니다. 거의 감소가 없네요. 이 계층은 자영업에 고용된 사람이 적고 회사는 좋던 안좋던 임금은 비슷하게 나오니 그렇겠죠.



3. 고소득과 중간계층 사업소득은 박살났습니다.  고소득 자영업자, 즉 주로 병의원 의사들이나 큰 규모로 자영업하시는분들이 큰 타격을 입지 않았나 추측해봅니다.  특히 5분위(최고소득층)은 근로소득은 늘었는데 사업은 박살난게 특징



4. 지출은 위에 표대로 보면되는데 소비지출+ 비소비지출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비소비지출은 세금이나 이자 등을 말합니다.  5분위(최고소득층) 만 크게 늘었네요.  부유층 대상으로 세금이 늘고, 또 고소득층의 경우 레버리지를 이용하면서 자산매입(주식,부동산)하면서 이자가 늘은 것으로 보입니다.



5. 이 표에는 없지만 소비지출중 식료품 지출이 전 구간에서 매우 크게 증가했습니다. 무려 15%가 증가했는데 그만큼 식료품 물가가 오르고 배달영향도 커보입니다(배달음식이 여기 포함되는지는 모르겠네요)  가장크게 감소한 소비는  오락,교육인데 무려 -20% 폭락했습니다. 문화공연쪽과 학원 선생님들이 정말 힘든 한해였을걸로 보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ihlcnkr
21/06/02 12:36
수정 아이콘
좋은 통계 및 분석 감사합니다.

소득에 지출을 빼면 월 평균 저축이라면
1분위는 월 -24만원
2분위는 월 60만원
3분위는 월 100만원
4분위는 월 160만원
5분위는 월 340만원

대부분 서민입장에서 저축으로 서울 아파트 사기가 하늘별따기네요.
4분위로 예를 들면 1년에 평균 1920만원 저축하기에 10억 모으려면 52년 걸려야... @@
Cazellnu
21/06/02 12:41
수정 아이콘
현재 가계소득이 2배가 되어도 서울 아파트 구입은 쉽지 않네요.
김홍기
21/06/02 12:47
수정 아이콘
4분위도 연봉으로 치면 거의 1억되는데.. 참 살기가 팍팍하네요
21/06/02 13:18
수정 아이콘
사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국 아파트가격 5분위 내에 들꺼라서 5분위는 5분위끼리 비교해야 맞긴 할겁니다
푸헐헐
21/06/02 13:37
수정 아이콘
서울 아파트 구입할 수 있다면 이미 서민이 아닌 거죠
더파이팅
21/06/02 14:24
수정 아이콘
서민이 문제가 아니라 근로소득으로 서울에 집 살 수 있는 경우가 사실상 없죠. 대출도 다 막혔으니까요. 성공한 연예인, 운동선수, 사업가 아닌 이상에야.... 가장 현실적인게 쌍끌이 전문직 정도 일까요? 이것도 소비를 극히 줄이고 은퇴 직전까지 끌어 모아야 2,3 급지 한채 가능 하겠네요..
트럼프
21/06/02 12:43
수정 아이콘
뭔가 체감했던 그대로군요.. 21년도 거진 비슷하게 갈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데브레첸
21/06/02 12:45
수정 아이콘
저소득층 소득이 생각만큼 크게 줄지 않았네요.
재난지원금이 말도 많고 탈도 많지만 저소득층 소득보전엔 무시못할 기여를 한 것 같습니다.
21/06/02 12: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1분위 소득이 거의 이전소득(정부지원금)으로 보충되었죠. 그것외에도 재난지원금은 분명 효과는 있습니다. 아마 자영업 하는 분들도 작년 5월에는 체감경기가 확 좋아지는걸 느꼈을겁니다.

쟁점이 되는 부분은 선별지원이냐 전국민 지원이냐 입니다. 작년 결과에서 중산층 이상은 재난지원금을 받고 소비를 한뒤 재난지원금 정도의 금액을 저축했거든요.

또 고소득층에게도 똑같이 돈을 주고 심지어 고소득 가구가 일반적으로 아이가 많아 가구인원이 더 많기 때문에 저소득층보다 더 많은 금액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경기살리는데 의미가 없다, 차라리 1분위에 집중적으로 선별지원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고 의견이 나왔습니다.

다만 정치적으로는 다르겠죠. 안그래도 오늘 여당에서 전국민재난지원금을 군불떼던데 어떤식으로 갈지봐야겠네요. 개인적으로는 저소득층 선별지원이 맞다고 봅니다.
VictoryFood
21/06/02 13:06
수정 아이콘
1분위를 빼고는 하위 분위 소득이 상위 분위 지출과 비슷하네요.
2분위 소득과 3분위 지출이 비슷하고 3분위 소득이 4분위 지출과 비슷한 식으로요.
오늘만 사는 심정으로 버는 돈을 저축없이 모두 다 쓰면 상위 분위와 비슷한 수준으로 살 수 있겠습니다.
21/06/02 13:11
수정 아이콘
엇 몰랐는데 진짜 그러네요. 신기하네요. 서로 담합한것도 아닐텐데... 이게 2020년만 그런게 아니라 다른해에도 이랬다면 뭔가 이유가 있겠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1/06/02 14:53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생활유지를 위한 소비는 어느 층위나 크게 다르지 않을거고...그러면 차이라면 교육비나 개인 취미 그리고 말그대로 사치정도에서의 차이일거같으니까요...
VictoryFood
21/06/02 13:10
수정 아이콘
그리고 공적이전소득 증감 비율을 보면 1분위는 낮고 상위 분위가 높습니다.
1분위는 예년에도 정부지원을 받았지만 작년엔 전국민에게 모두 지원해서 그런 듯 싶어요.
전국민재난지원금은 실질적으로는 역진적인 지원이 되어버렸네요.
21/06/02 13:13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기재부 장관 등 경제관료들은 전국민지급을 반대했고 현재도 반대하고 선별지급으로 가야한다고 말하고있죠. 그런데 이거는 정치적 영향력이 너무 커서...
닉네임을바꾸다
21/06/02 14:56
수정 아이콘
뭐 절대금액이면 5분위빼면 2분위만 1분위보단 좀 더 이전되었나 싶지만 이건 아무래도 2분위 하위라인에도 들어간거일테니까...
21/06/02 13:50
수정 아이콘
개인 소득이 아니라 가계 소득인거죠?
1인가구나 맞벌이나 모두 가구로 치는.
21/06/02 13:51
수정 아이콘
네 가구 기준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200 [일반] SKT 해킹사태 2차 조사결과 IMEI 유출 가능성 발견 [81] 윈터13174 25/05/19 13174 7
104199 [일반] 책 후기 - <1973년의 핀볼> [9] aDayInTheLife6604 25/05/18 6604 5
104198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7)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6) [3] 계층방정5508 25/05/18 5508 4
104197 [일반] 태양광 산업 기사회생? [113] 如是我聞15564 25/05/18 15564 8
104195 [일반]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스트 액션 히어로. (노스포) [93] aDayInTheLife12305 25/05/17 12305 7
104194 [일반] 미신에 대한 생각 [25] 여기8899 25/05/17 8899 14
104193 [일반] AI 음악 딸깍! 도전해보기 [11] 여행의기술8083 25/05/16 8083 8
104192 [일반] 닭비디아 주가 [43] 퀀텀리프15021 25/05/15 15021 0
104191 [일반] <해벅> - 장점과 단점이 동시에 보인다는 것. (노스포) [7] aDayInTheLife7381 25/05/16 7381 1
104190 [일반] 북한은 과연 김주애가 권력을 승계받는게 가능할까요? [69] 독서상품권13921 25/05/15 13921 2
104189 [일반] 어쩌면 PGR의 미래? [45] bifrost10067 25/05/15 10067 4
104188 [일반] 중동외교의 대전환을 꾀하는 듯한 트럼프 [30] 크레토스9016 25/05/15 9016 1
104187 [일반] 유나이티드 헬스그룹의 행보가 매우 심상치 않습니다 [24] 독서상품권13734 25/05/15 13734 6
104186 [일반] 더 적게... 더 적게! 46키 키보드 [63] Kaestro8042 25/05/15 8042 12
104185 [일반] AI Agent와 MCP [12] 모찌피치모찌피치5307 25/05/14 5307 5
104184 [일반] 일본 여행중 지갑 잃어버렸다 찾은 썰.ssul [27] 오징어개임7579 25/05/14 7579 9
104183 [일반] 본조비... [38] a-ha10025 25/05/13 10025 5
104182 [일반] 걸레빤 물.. 평양냉면을 먹고 오다. [107] 김삼관12394 25/05/13 12394 4
104181 [일반] 고양국제꽃박람회에 다녀왔습니다 [11] 及時雨6085 25/05/13 6085 5
104179 [일반]  '주호민 아들 아동학대 혐의' 특수교사 항소심서 무죄 [205] 퍼그20467 25/05/13 20467 13
104178 [일반] 도재욱선수의 결승진출을 보면서... [37] 이영수`11659 25/05/13 11659 21
104174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6)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5 [6] 계층방정4361 25/05/12 4361 4
104173 [일반] 이제와서 데스노트(애니) 정주행을? [20] 김삼관5480 25/05/12 548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