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5/05 20:42:09
Name 마스터충달
Subject [일반] 어디야 지금 뭐해? 별 보러 가자 (수정됨)


찬 바람이 조금씩 불어오면은
밤 하늘이 반짝이더라

긴 하루를 보내고 집에 들어가는 길에
네 생각이 문득 나더라

어디야 지금 뭐 해

나랑 별 보러 가지 않을래
너희 집 앞으로 잠깐 나올래

가볍게 겉옷 하나 걸치고서 나오면 돼

너무 멀리 가지 않을게
그렇지만 네 손을 꼭 잡을래

멋진 별자리 이름은 모르지만
나와 같이 가줄래

찬 바람이 조금씩 불어 오면은
네 생각이 난 그렇게 나더라

긴 하루 끝 고요해진 밤거리를 걷다
밤 하늘이 너무 좋더라

어디야 지금 뭐해

나랑 별 보러 가지 않을래
어디든 좋으니 나와 가줄래

네게 하고 싶었던 말이 너무도 많지만

너무 서두르지 않을게
그치만 네 손을 꼭 잡을래

멋진 별자리 이름은 모르지만
나와 같이 가줄래

너와 나의 걸음이
향해 가는 그곳이
어디 일진 모르겠지만

혼자였던 밤 하늘
너와 함께 걸으면
그거면 돼

------------------------------

설득과 유혹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요소가 하나 있다. 바로 변명이다. 좋은 유혹은 단지 구미가 당기는 데 그치지 않는다. 적당한 변명 거리도 함께 제공한다.

영화 <트랜스포머>에는 이런 장면이 나온다. 주인공이 차에 타면서 메간 폭스에게 이렇게 말한다.

"내 무릎에 앉을래?"

이 말을 듣고 곧이 곧대로 따를 사람은 없다. 심지어 상대방이 마음에 들어도 따르지 않는다. 그 말을 그대로 따르는 순간 상대를 좋아한다는 속내가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적절한 변명 거리가 있어야 한다.

"시트가 고장 나서 가끔 스프링이 튀어나와 찌르거든. 위험해서..."

그럼 상대는 마지 못해, 어쩔 수 없어서 그랬다는 표정으로 무릎에 앉는다.

사실상 모든 유혹은 이 구도를 바탕으로 돌아간다. "밥 먹을래? 영화 볼래? 산책 갈래?"라는 식으로 말하지 않던가? "내가 보고 싶어서 그런데 나 보러 나올래?"라고 말하는 사람은 없다.

그래서 맘에 드는 사람의 취향과 욕망을 알면 유혹하기가 쉽다. 너무 보고 싶었던 전시회, 개봉만 기다리던 영화, 10년 넘게 팬질 중인 가수의 콘서트 티켓, 특히 구하기 힘든 해외 가수의 내한 공연 티켓... 이런 걸 흔들면서 "같이 보러 가지 않을래?"라고 말하면 없던 호감도 생길 수밖에 없다. 물론 겉으로는 "난 콘서트를 가는 거지 널 보러 가는 게 아니야."라는 티를 내겠지만, 어쨌든 당신도 보게 되어 있다.

게다가 호감의 원천 중 하나는 공감이다. 그리고 공감은 '경험의 공유'다. 기대하던 콘서트를 함께 본 사람에게 호감이 생기는 건 당연한 일이고, 맛있는 걸 함께 먹었던 사람에게 호감이 생기는 건 인간이라면 거부할 수 없는 지극히 당연한 반응이다.

------------------------------

조금 더 무섭게 말하자면 "인간은 변명 거리만 있으면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다." 이를 잘 보여준 심리학 실험이 바로 스탠리 밀그램의 복종 실험이다.

밀그램은 "징벌에 의한 학습 효과"를 실험한다며 참가자를 교사와 학생 2그룹으로 나누었다. 학생은 의자에 묶인 채 전기 충격 장치가 연결되었고, 교사는 학생이 틀릴 때마다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학생도, 전기 충격 장치도 가짜였다. 이 실험의 진짜 목적은 인간의 도덕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밀그램은 아무리 명령이 있어도 사람들이 자신의 도덕심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 생각했다. 수치로 말하자면, 피실험자들이 450V까지 전압을 올리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65%의 피실험자가 450V까지 전압을 올렸다. 심지어 그동안 학생을 연기한 사람들이 비명을 질러도 전기 충격은 계속되었다. 실험 진행자가 "괜찮아요. 실험을 계속하십시오."라고 명령했기 때문이다.

나치 전범 아돌프 아이히만은 재판에서 자신의 무죄를 주장했다. 이유는? 그저 상관이 시키는 대로만 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아이히만은 수많은 학살을 저지른 악마라기보다는 지극히 평범한 사람에 가까웠다. 한나 아렌트는 그런 아이히만을 관찰한 뒤 '악의 평범성'이라는 개념을 끌어내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라는 책을 썼다.

밀그램의 실험과 아이히만의 사례는 책임없는 자유가 얼마나 무서운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 잘 보여준다. 책임이 없다는 것은 적당한 변명 거리가 있다는 말이다. 그런 게 있을 때 인간은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다.

------------------------------

그렇다. 인간은 변명 거리만 있다면 무슨 짓이든, 즉 당신과 데이트를 나갈 수도 있다. <대부>에서 돈 콜리오네는 '거부할 수 없는 제안'을 하라고 말한다. 이것이 설득과 유혹의 1등 전략이라면, '적절한 변명 거리'는 2등 전략 쯤 된다. 거부할 수 없는 정도는 아니지만, 거부할 필요가 없게 만드는 셈이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니 "잠깐 나올래?"라고 하지 말고 "별 보러 가자."라고 말해보자. 그런 되도 않는 변명 거리라도 있는 것과 없는 것은 큰 차이를 만든다.

덧. 만약 이 전략이 통하지 않는다면, 내가 제시한 변명 거리가 충분히 적당하지 않았는지 돌아보도록 하자. 나는 아주 아주 그럴 듯한 변명 거리가 필요하더라... 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샤오미
21/05/05 20: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잘 읽었습니다. 저도 적당한 변명거리를 찾는 중이었어요. XD
김연아
21/05/05 20:57
수정 아이콘
존잘이면 그냥 나 보러 나올래로 끝.
마스터충달
21/05/05 20:58
수정 아이콘
존잘 = 거부할 수 없는 제안

그러니 존잘이 아니라면 적당한 변명 거리를 준비하심씨오 휴먼!
재가입
21/05/05 21:46
수정 아이콘
존잘이명 보고싶어 아닐까요? 나올래 할 필요도 없음
김연아
21/05/05 21:56
수정 아이콘
제가 하고 싶은 말은 보고 싶어 할 필요도 없이 나오라면 나온다는 뜻이었어요
21/05/05 21:01
수정 아이콘
하 최준 내 머릿속에서 나가
호야만세
21/05/05 21:05
수정 아이콘
피글렛 꼬리 밟힌 표정이랑 소리가 떠오름...아아아아~~~아아~~~~~
-PgR-매니아
21/05/05 21:37
수정 아이콘
저도...유투브 알고리즘이 알려준 그 영상을 보지 말았어야 ㅠㅠ
재가입
21/05/05 21:46
수정 아이콘
저도 이 노래는 사실 최준버전 밖에 몰라요…
21/05/05 21:04
수정 아이콘
아레가
데네브
알타이르
베가

암튼 별보러 가봅시다
술라 펠릭스
21/05/05 21:53
수정 아이콘
아레가 행성 아시는구나!

역시 베우신 분.
아이고배야
21/05/05 22:04
수정 아이콘
아버지: 학생 수작 부리지 말고 Star Walk 2 어플 깔아~
판을흔들어라
21/05/05 22:32
수정 아이콘
그래서 별 잘 보이는 포인트는 어딘가요??? 중요한 걸 말해 주셔야죠!
상어이빨
21/05/05 23:22
수정 아이콘
중년인데 별 보러 가도 되나요?
미나리를사나마나
21/05/05 23:50
수정 아이콘
작년에 다른 변명들은 이상하게도 다 먹혔는데 제일 중요한 별 보러 가자만 까였습니다...
미세먼지도 없고 구름도 없고 달도 없고 코로나도 소강상태라서 천문대에서 별 보기 진짜진짜 딱이었는데, 너까지 없으면 어떡하니 ㅠ
들깨수제비
21/05/06 08:28
수정 아이콘
밤 늦게 만나서 어쩌면 밤을 새고 와야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별이 보고 싶어도 쉽게 갈 순 없을 것 같습니다. 특히나 상대방 차를 타고 가는 건 위험하지 않나요. 적재는 그냥 동네 산책하며 별 보자는 거지 천문대까지 차타고 가자는 건 아니었으니까요. 흐흐
미나리를사나마나
21/05/06 20:24
수정 아이콘
물론 흑심 500%였지만, 이래서 눈치 빠른 꼬맹이는!! 근데 안 가기에는 시기가 너무 아까워서 다른 너님들도 생각해봤는데, '별 보러 가자'는 첫 번째 꼬맹이한테 말고는 차마 말할 수가 없더라구요. 아무리 생각해도 일단 별 보러 가면 자의로든 타의로든 어...
제랄드
21/05/05 23:51
수정 아이콘
존잘러 :
나랑 별 보러 갈래?
네!

피잘러 :
나랑 별 보러 갈래?
네??????
와신상담
21/05/06 00:22
수정 아이콘
뻘댓글인데 적재 노래는 취향 찾아 삼만리 떠날 가치가 있습니다. 음색이 부드럽고 포근해서 귀가 아프지 않습니다. 가성만 어떤식으로라도 처리한다면 노래방곡으로도 추천드립니다. 적재야... 가성이 너무 어렵다...
21/05/06 10:17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RK0t9JAelZU
개인적으론 이 버전이 제일 좋더라고요
설탕가루인형
21/05/06 11:10
수정 아이콘
좋은 글이네요. 추천합니다.
타인에게 하는 설득은 모두 명분이 있어야 하는 법이죠.
21/05/06 11:26
수정 아이콘
키드갱이 생각나네요
죽을까? 사귈까?
마스터충달
21/05/06 11:27
수정 아이콘
거부할 수 없는 제안 크크크크크크
메디락스
21/05/06 21:47
수정 아이콘
밀그램의 이 유명한 실험이... 조작이랍니다...

https://youtu.be/6sUjot4tbY8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2162 [일반] 이건 좀 아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58] 烏鳳21161 21/06/19 21161 46
91633 [일반] 어디야 지금 뭐해? 별 보러 가자 [24] 마스터충달15668 21/05/05 15668 20
91503 [일반] 페미니즘에 대한 생각들 [111] 휘군16268 21/04/24 16268 81
91452 [일반] 인과관계란 무엇인가(feat, 예방접종 피해 보상제도) [32] lightstone10180 21/04/21 10180 11
91342 [일반] 숙명여고 쌍둥이 "무죄 확신"…취재진엔 '손가락 욕' 날렸다 [47] insane12594 21/04/15 12594 0
91086 [일반] 피해자 진술만으로 유죄의 인정이 가능할까 [27] Lewis13047 21/03/26 13047 28
91070 [일반] 대법 "기레기, 모욕적 표현이지만 모욕죄 성립 안돼" [69] 맥스훼인13975 21/03/25 13975 4
90978 [일반] 무위험(zero-risk)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사회 [25] elaborate13058 21/03/19 13058 20
90977 [일반] 95억 보험금' 만삭 아내 사망 사건, 졸음운전 결론 [86] insane17756 21/03/19 17756 10
90841 [일반] 국산 장거리 레이더 개발이 9년 늦어진 이유 [34] 가라한9551 21/03/12 9551 1
90011 [일반] 엄벌주의에 동의할 수 없습니다. [141] 토루14674 21/01/14 14674 62
89769 [일반] 불합리의 부메랑은 뒤늦게 온다. [140] 끄엑꾸엑14043 21/01/01 14043 26
89536 [일반] [성경이야기]기회를 놓친 요셉 [10] BK_Zju9731 20/12/23 9731 25
89375 [일반] 무엇을 위한 피해자 중심주의인가 [100] 烏鳳13510 20/12/18 13510 42
89060 [일반] 강간상황극' 실행 남성, 1심 무죄→2심 징역 5년 [125] 맥스훼인14002 20/12/04 14002 2
88858 [일반] 동의없는 녹음과 처벌 [396] 烏鳳20604 20/11/20 20604 81
88822 [일반] 고등법원에서 처음으로 자동차 급발진이 인정되었답니다 [18] VictoryFood9340 20/11/18 9340 2
88461 [일반] “죽으면 책임지겠다”며 구급차 막은 택시기사 1심서 징역 2년 [19] VictoryFood9807 20/10/21 9807 0
88388 [일반] 성범죄에 관하여 수사기관과 법원에 물음표를 붙이는 이유 [132] 烏鳳17229 20/10/13 17229 78
88336 [일반] [야구] 허민과 이장석에 관한 추측 - 손혁은 경질될 운명이었나? [14] 쿠노10468 20/10/09 10468 12
88044 [일반] 영창이야기 [32] khia9200 20/09/10 9200 21
87924 [일반] 군대에서 사병이 소대장에게 따지듯이 대꾸했다면 이른바 '하극상'에 해당할까?? [66] 잘가라장동건10851 20/09/01 10851 0
87209 [일반] "성폭행 당하지 않았다"는 딸의 탄원서..대법원은 고개를 저었다 [41] 키토15513 20/07/12 1551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