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3/26 09:25:58
Name 맥스훼인
File #1 2021032600149_1_20210326030520858.png (114.3 KB), Download : 50
File #2 1616649533.jpg (109.5 KB), Download : 9
Subject [일반] 나이키 H&M 중국내 불매운동 확산 (수정됨)




짤의 번역은 대략 기사를 통해 인용하자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2285153

스웨덴에 본사를 둔 세계 2위 패션 업체 H&M은 지난해 3월 발표한 성명에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강제 노동과 소수 민족 차별이 이뤄지고 있다는 인권 단체와 언론의 주장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며 “우리는 국가와 상관없이 어떤 형태의 강제 노동에도 반대하며 납품 과정에서 그런 사실이 확인되면 즉각 거래를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H&M은 또 “신장 면화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신장은 의류 소재가 되는 면화의 중국 최대 생산지다.

나이키가 신장 지역의 강제 노동과 관련한 보도에 우려를 표하고, “나이키는 이 지역에서 제품을 공급받지 않는다”고 언급

입니다.

이사건은  최근 EU와 미국,캐나다가
신장위구르 강제 노동 등에 비판하며 주요인사에 대해 제재를 가하자
불똥이 신장위구르와 관련된 언급을 한 H&M과 나이키로 튄 사안입니다.

근데 두 회사 다 신장위구르의 현실이나 강제노동을 비판한게 아니라
저 사안이 문제가 되니 우린 그쪽이랑 아무 관련이 없어요 정도의 성명일 뿐이고
관련 문제때문에 해당 지역 상품을 사용할 수 없으니 양해바랍니다 정도이죠
(거기다 H&M 성명은 작년에 나왔던 성명이라는거..)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트리거 중 하나인 신장위구르를 건드렸다! 라고
중국네티즌들이 급발진하며 불매운동을 시작했습니다.
(뭐 이것도 배후에 당이 있을것으로 확신합니다만)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55&aid=0000883322
나이키 신발들이 불에 활활 타고 있습니다.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에 올라온 영상으로, "이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지만 안 사면 된다"며 제품 불매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스웨덴 의류업체 H&M은 상황이 더 심각합니다. 한 쇼핑몰은 아예 광고 간판을 철거했고, 인터넷 쇼핑몰과 지도 앱에서는 검색조차 되지 않습니다.


덕분에 나이키 주가는 컨택주 회복에도 불구하고 어제 -3.44퍼가 나왔네요.
미중분쟁이 격화되며 중국정부가 비공식 무역장벽의 한 수단으로
중국네티즌을 동원(선동)하는게 아닌가 생각도 듭니다.

p.s 이왕 이렇게 된거 엔비디아의 젠슨황 회장님이 대만독립을 지지해서
중국 채굴 노동자들을 다시 세상으로 끌어내오시는 선언을 해주시는것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urelius
21/03/26 09:28
수정 아이콘
나이키와 H&M에 대한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고, 또 기타 서구기업에 대한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불과 한 시간 전에 중국 당국은 신장 위구르 인권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던 영국 의회 의원 10명과 유관 단체 4개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습니다. 현재 중국은 유럽, 나아가 서방세계에 대해 결정적인 승기를 잡았다고 판단하고 있는 모양입니다
죽력고
21/03/26 09:30
수정 아이콘
유사국가
김연아
21/03/26 09:32
수정 아이콘
나이키 한정판 제품들 그럼 국내에 좀 더 많이 풀리려나요??

어림없지. 한국 것도 중국업자들이 다 쓸어감이 되려나요??

크크크.

그런 의미에서 오늘 조던1 낫포리셀 좀...
별거아닌데어려움
21/03/26 09:40
수정 아이콘
중국 일반대중은 신장위구르에 대해 탄압이 없거나 미미한데 서구에서 과장 왜곡하고 있다고 해서 분노하는 건지 아니면 신장위구르에 인권침해나 착취가 있는 것은 알지만 중국에 대해 뭐라고 하니 분노하는 건지 궁금하긴 하네요.
맥스훼인
21/03/26 09:44
수정 아이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2285153
인민일보는 '나는 신장 면화를 지지한다'는 문구가 적힌 그래픽을 만들어 웨이보에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관련 주제는 조회수가 18억5천만건에 달했으며 220만명이 이 그래픽에 '좋아요'를 눌렀다.
신장 위구르 문제는 서구가 조작한 거다. 라고 믿고 싶은게 아닐까 싶네요
별거아닌데어려움
21/03/26 09:54
수정 아이콘
서구의 가짜 정보로 중국이 폄훼당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거라면 불매운동이 이해가네요. 현재 이 삶이 매트릭스속 아닐까 싶은 요즘입니다..
맥스훼인
21/03/26 10:01
수정 아이콘
정부의 국가주의적 선전에 전 인민이 선동당하는거죠.
체제가 불안하니 저러는가 싶다가도 북한을 보면 또 잘 유지될거 같기도 합니다
aurelius
21/03/26 09:59
수정 아이콘
중국 일반대중은 진심으로 서구가 다 조작하고 꾸민거라고 생각합니다. 외부 정보를 차단하고 정부 입맛에 맞는 교육만 시키면 이런 일이 발생하는거죠.
라이언 덕후
21/03/26 10: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른 분들 말씀으로는 중국이 한한령이나 수입에 대한 검역 엄격하게 하고 통관 지연시키는 건 상대가 중국시장에 대한 존중이 없어서 당연히
가능한 일이지만 서구나 외국이 중국제품에 대한 기준을 올리는 건 중국제품의 경쟁력을 두려워 하고 중국을 시기하여 그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듣긴 했습니다. 물론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다르긴 한데 말 자체로는 틀린 말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움하하
21/03/26 13:42
수정 아이콘
모르긴 몰라도 믿고 싶은대로 믿는것일 겁니다. 불편한 진실이니.
크레토스
21/03/26 09: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 짤 마지막 문장보면 H&M은 지금까지 신장면화 쓰던 거 중지하겠다 입니다.. 강제노동 얘기하면서 신장면화 기존에 쓰던걸 중지했으니 급발진하는 거죠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2285153

본문에 링크된 연합뉴스 기사만 해도 번역 잘해놨는데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china/2021/03/26/R35YKQ4UANH7XEKQN6KWO3S25U/

정작 본문 내용은 이 조선일보 기사..
맥스훼인
21/03/26 09:53
수정 아이콘
여러기사 보던중 링크하다보니 내용이 섞였네요
근데 본문 번역과 연합번역의 내용에 차이가 있나요?
본문번역도 강제노동 얘길하면서 안 쓴다는건데요
크레토스
21/03/26 09:55
수정 아이콘
뭔가 본문내용은 원래 신장면화 안쓰고 있었다는 늬앙스로 보여서요.
맥스훼인
21/03/26 09:57
수정 아이콘
번역문 따오다보니 저 기사가 더 온전해보여서 그걸딴건데 늬앙스가 그렇게 느껴질수도 있겠네요
근데 원래부터 사용하지 않았던 나이키도 불타는걸 보면 그게 급발진의 사유가 되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크레토스
21/03/26 10:01
수정 아이콘
뭐 당연히 합리적으로 생각해보면 그런데 크크
그리고 지금 H&M이 대표격으로 제일 세게 맞고 있는것도 맞으니까요. 무슨 쇼핑몰에서 상품이 내려가고 지도에서 매장 위치가 안보이고 그러는 중이니..
맥스훼인
21/03/26 10:03
수정 아이콘
사실 저런 선동에 합리성이 찾는게 더 이상한게 아닐까요 크크
그냥 유럽을 대표하는 H&M 미국을 대표하는 나이키를 공격하는데 있어
유럽을 좀 더 찌를 필요가 있을거 같다고 생각한 중국 정부가 저쪽을 더 세게 치는게 아닐까...하는 음모론이 생기네요
21/03/26 10:29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조선일보의 저 사용하지 않고 있다는 오류번역(고의같음 크크)과
원래 번역인 사용을 중단하겠다는 정말 큰 차이라고 생각해요

조선일보의 말은 가만히 있는데 억울하게 맞았다는 의미로 비춰지고
원래 번역은 상대에게 빌미를 제공했다는 의미로 비춰져서요 (물론 빌미의 정당성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건 아닙니다)
플라톤
21/03/26 09:55
수정 아이콘
시작은 중국 공산당이 부추킨 광기지만 통제가 불가능할 정도로 커가는 것 같네요. 나중에라도 수뇌부가 지지치고 싶어져도 광기 때문에 못칠 것 같아서 걱정입니다. 그러면 결국 전쟁 뿐이라..
크레토스
21/03/26 09:58
수정 아이콘
핵의 전쟁억제력이 어디까지인가 테스트가 될거 같습니다. 핵 보유국들이 늘어난뒤로 핵보유국 서로 간에 전면전은 일체 없고 국지전조차 국경 마주한 나라 아니면 안 일어나는 판이니..
라이언 덕후
21/03/26 10:03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센가쿠(조어도) 관련으로 반일시위 하다가 공산당이 자제하라고 했을때 인터넷 여론이 [공산당은 너무 무르다. 힘을 제대로 보여 줄 것도 아니면서 여기서 멈추냐, 공산당 내부는 자기들 스스로 강하다고 하면서 세계의 눈치가 두려워 끝까지 갔을때 너무 약하게 결론을 내린다. 외부에 큰소리로 외칠 힘도 없으면서 자기네 국민에게는 세게 나오는 공산당이 우습다]라는 여론도 본 적 있었는데 이번에도 그렇게 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21/03/26 10:01
수정 아이콘
오우야 리셀러좀 줄어드나
고등어3마리
21/03/26 10:05
수정 아이콘
불매운동은 소비자가 하는건데 국가가 하네요;;
이런 경우도 불매운동 이란 단어를 쓰는게 맞나 싶습니다.
모쿠카카
21/03/26 10:09
수정 아이콘
불매명령이라고 해야 할듯 합니다.
내맘대로만듦
21/03/26 10:12
수정 아이콘
나이키가 중국한테 맞고 죽게 놔두진 않겠죠
Cazellnu
21/03/26 10:23
수정 아이콘
보통 네티즌이라면 깨어있는 (혹은 그런척)하기위해 자국의 비리를 비판하는거 같은데

애플폰도 불매해보지
21/03/26 10:28
수정 아이콘
당이 주도했지만 감당 못하면 예전 문혁 홍위병 꼴 날것 같은데 컨트롤이 될지 모르겠네요.
미켈슨
21/03/26 10: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H&M'이 '황당무계'의 줄임말이라는 유사 국가 관영 언론의 논평 클라스...
러브어clock
21/03/26 10:32
수정 아이콘
참고로 한국기업인 필라는 신장에서 생산하는 면화를 계속 사용하겠다고 발표...
맥스훼인
21/03/26 10:38
수정 아이콘
중국의 따뜻한 xx를 빨기 위해서..라기보다는
필라야 어차피 미국 판매량보다 중국판매량이 압도적이니 당연한 선택이겠죠
러브어clock
21/03/26 10:44
수정 아이콘
아니 당연히 경쟁사가 타격 입을 때 열심히 중국꿀을 빨아야죠. 제가 사장이라고 해도 같은 결정을 내렸을 겁니다.
만사여의
21/03/26 10:41
수정 아이콘
중국에서의 휠라는 한국에서의 휠라 포지션으로 생각하심 안되요.
그들은 이태리 브랜드로 인식하고 있고 가격, 소재가 나이키 급으로 팔린다네요.
D.레오
21/03/26 10:56
수정 아이콘
적들에게... 알리지 말라..
forangel
21/03/26 13:59
수정 아이콘
헐 중국에서 그런 이미지인가요? 신기하네요.
카피 디자인이 너무 많아서 좀 양심 없어보이긴 했지만 이쁘긴 하던데..
antidote
21/03/26 10:55
수정 아이콘
미국의 동맹중에 가장 약한 고리는 역시 한국이네요.
크레토스
21/03/26 11:00
수정 아이콘
https://cmobile.g-enews.com/view.php?ud=202001021018232680b5d048c6f3_1&ssk=newmain_0_2&md=20200102110207_R

휠라 차이나는 중국기업인 안타가 인수한 상태입니다
만사여의
21/03/26 12:39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 휠라홀딩스와 안타 가 JV를 설립해서 중국에서의 매출이 늘어나면 휠라홀딩스의 이익이 늘어나게 되어 있어요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01222001196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911130100024460001528&lcode=00
크레토스
21/03/26 12:47
수정 아이콘
합작법인이긴 한데 지분 85%를 안타가 소유하고 있고 중국 내 결정은 전적으로 안타가 합니다. 휠라가 하는 건 디자인 해주고 매출 3% 정도를 받는거 뿐이에요.
링크하신 더 벨 기사에도 잘 나와있네요.
타카이
21/03/26 12:49
수정 아이콘
상표권 계약으로 엮여 있고 운영권을 넘겼는데 수입 일부가 이전되는게 당연한거 아닌가요?
리자몽
21/03/26 10:58
수정 아이콘
나이키가 추구하는 정신을 보면 중국의 이념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어서

언젠가 중국에서 불매운동 심하게 나올꺼라는 생각은 들었는데 이렇게 점화될 줄은 몰랐네요
깃털달린뱀
21/03/26 11:02
수정 아이콘
참... 마침 어제 공산당에서 뿌린 '우리는 탄압받지 않는다, 중국 치하의 소수민족으로 조화롭게 살고있다.'라는 스크립트를 읽는 프로파간다를 봤는데 씁쓸하네요.
민주주의의 위기니 극단주의의 대두니 하지만 미얀마나 중국을 보면서 참 느끼는게 많아요.
취준공룡죠르디
21/03/26 11:07
수정 아이콘
5호 16국 그립읍니다
Faker Senpai
21/03/26 11:11
수정 아이콘
다른것도 아니고 조던1 하이를 태워버리네요 짝퉁의심해봄니다. 수십에서 백만원도 넘는애들을 돈이되면 뭐든하는애들이 자발적으로 태울리가
딱총새우
21/03/26 11:11
수정 아이콘
조던 태우면 인정
부질없는닉네임
21/03/26 11:14
수정 아이콘
신발 불태우는 거 다음 나이키 광고로 쓰면 되겠는데요
'너의 열정을 불태워라', '억압에 맞서라' 이런 거 넣으면서...
위구르족 난민 운동선수가 나오면 best
다리기
21/03/26 11:16
수정 아이콘
답도 없다 정말...
주변이 저렇게 미쳐돌아가니 우리는 덜 미친 게 다행이라고 해야할지.
나중엔 미친놈들 사이에서 혹시 나만 미친 게 아닐까 혼란스러울까봐 걱정이네요
21/03/26 11:30
수정 아이콘
나이키 신발이나 하나 사야겠네요.
21/03/26 11:34
수정 아이콘
중국이면 태우기용 제품 제조 쉽지 않나요
뚝딱 만들수 있을것 같아요
21/03/26 11:40
수정 아이콘
조던4 하나 사고 싶었는데 잘 됐네요 짜바리 장사도 접길
-안군-
21/03/26 11:59
수정 아이콘
공산당이 주도적으로 선동해서 일어난 블매운동이라는 건 잘 알겠는데, 문제는 이게 필요이상으로 불타오르는 걸 공산당이 막을 수 있겠냐는 거네요.
예를들어서 불매운동 정도로 끝나면 다행이지만, 오버해서 나이키, H&M 매장에 불을 지른다던지, 나이키 신발을 신고 가던 행인이 린치를 당한다던지 하는 그런거요...
강가딘
21/03/26 12:13
수정 아이콘
그럼 홍위병 시즌 2...
21/03/26 12:32
수정 아이콘
받고 문혁 시즌 2...
CapitalismHO
21/03/26 12:31
수정 아이콘
공산당이 어느정도 조장이야 하겠지만 명령식으로 불매운동을 일으켰다는건 좀 판타지적인 생각 같습니다. 그게 가능했으면 사드보복때도 한한령을 하는게 아니라 그냥 한국산 불매운동 조치를 했겠죠. 중국공산당은 그렇게 전능한 존재가 아니고, 중국인민들도 그렇게 수동적이고 획일적으로 연결된 존재가 아닙니다.
맥스훼인
21/03/26 12:41
수정 아이콘
기사 보시면 아시겠지만
H&M의 1년전 공지가 화제가 된 이유는 공청단에서 웨이보에 저 게시물을 올렸기 때문입니다
사드보복때도 롯데에 대해서는 공청단을 동원해서 불매운동을 했었구요.
CapitalismHO
21/03/26 16:31
수정 아이콘
불매운동하면 누가 상주는것도 아닌지라 일반 중국인들은 명령이고 자시고도 없죠. 그냥 중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민족주의 정서에 공산당이 펌프질을 하니 타오른거라 봐야한다 생각합니다.
맥스훼인
21/03/26 16:40
수정 아이콘
저도 명령형식까지는 오버라고 생각하는데, 실제 이런 운동의 배후에는 모두 당이 있다고 봅니다.
젊은 세대의 국가주의(민족주의라기엔 중국은 좀 복잡하죠)를 형성하고 고취시켜온 것도 중국정부이구요.
맛있는새우
21/03/26 12:39
수정 아이콘
시위대가 불 태우는 저 제품들 짝퉁이라는 소문이 있던데요.
-안군-
21/03/26 12:48
수정 아이콘
짝퉁인지 아닌지 검증할 방법이 없죠. 제품보증서 까는거 말고는요. 저 제품들 자체가 그냥 나이키 중국 공장에서 제조된 제품인데, 제대로 납품해서 매장까지 갔느냐, 불량이라 못갔느냐 차이일 뿐이라...
사비알론소
21/03/26 14:05
수정 아이콘
짝퉁과 QC 떨어져서 암시장에서 팔리는것과는 아예 다른 제품입니다.
맛있는새우
21/03/26 19:01
수정 아이콘
제가 봤던 글도 반농담 식으로 얘기했던거라.. 크크크크
Lord Be Goja
21/03/26 12:48
수정 아이콘
한국에 보복할때도 삼성메모리는 불매못했는데 브가도 마찬가지겠죠..황회장님 한마디하셈
21/03/26 13:02
수정 아이콘
리셀 물건나오면 이제 안사갈려나요...
GNSM1367
21/03/26 13:19
수정 아이콘
그래픽카드 좀 저렇게 했으면
누군가입니다
21/03/26 13:26
수정 아이콘
중국이 나서서 손절 타이밍을 주는데 이제 조금씩 발빼야하지 않나 싶네요.
밑에 미중 택일 강요하지 않겠다는 소리는 아무리 봐도 퇴로 열어는 드릴게로 밖에 안보여서
늅늅이
21/03/26 13:31
수정 아이콘
짝퉁이나 그만 만들어라 ...
백년후 당신에게
21/03/26 15:17
수정 아이콘
느네 조단좀 고만사라
봄날엔
21/03/26 15:37
수정 아이콘
북한 다음으로 역겨운 국가..
하마아저씨
21/03/26 16:48
수정 아이콘
나이키 짭일듯
메가트롤
21/03/27 16:39
수정 아이콘
대국 그 자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081 [일반] 바야흐로 마라톤 개막 시즌 입니다. [30] likepa4163 24/03/06 4163 19
100395 [일반] 달리기 복귀 7개월 러닝화 7켤레 산겸 뛰어본 러닝화 후기.JPG [36]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8437 23/12/04 8437 5
99834 [일반] 로또 아쉬운 당첨 후기.jpg [34]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1175 23/09/16 11175 20
99207 [일반] 아주 사소한 개인 음악사. [7] aDayInTheLife6579 23/07/14 6579 6
98371 [일반] <에어> - ’위대함‘과 성취 [15] aDayInTheLife7131 23/04/05 7131 2
98016 [일반] 수영을 다시 시작하고, 55일간의 후기 [44] v.Serum10124 23/02/26 10124 10
97978 [일반] 드디어 국대 홈 유니폼이 배송 되었습니다 [1] 광개토태왕7503 23/02/24 7503 3
97674 [일반] 헬스하는 즐거움 [40] LuckyPop10699 23/01/11 10699 15
96594 [일반] 스게 파퀴아오 영상보고 쓰는 복싱러 이야기 [13] seotaiji9323 22/09/19 9323 7
96261 [일반] [리뷰] 피식대학 05학번 시리즈 - 추억팔이에서 공감 다큐로 [20] 라울리스타8431 22/08/08 8431 15
96130 [일반] 당근을 이용한 다이어트 운동법 [6] B와D사이의C5421 22/07/27 5421 1
95634 [일반] 달리고들 계신가요? [34] likepa10899 22/05/17 10899 14
95199 [일반] 만원 신발의 기억 [20] 시드마이어8299 22/03/06 8299 39
94792 [일반] 우량주식 장투가 어려운 이유 (2) - 코카콜라, 나이키, 맥도널드, LG 생활건강 [35] 사업드래군16585 22/01/11 16585 28
93698 [일반] 5대 종합상사를 통해 알아보는 건물주 국가 일본의 돈 버는 방법 [84] 이그나티우스24505 21/10/09 24505 136
92274 [일반] 낙오된 유럽은 지위를 회복할수 있을것인가? [116] 아리쑤리랑25362 21/06/27 25362 65
91776 [일반] [역사] 내가 신고있는 운동화, 나름 역사와 전통이 있다구! / 스니커즈의 역사 [23] Its_all_light26828 21/05/21 26828 6
91412 [일반] 달리기 좋아하세요? [67] likepa12295 21/04/19 12295 22
91127 [일반] [NBA] 슈퍼팀 이야기 [55] 라울리스타10750 21/03/30 10750 11
91080 [일반] 나이키 H&M 중국내 불매운동 확산 [68] 맥스훼인15467 21/03/26 15467 4
90772 [일반] 직간접적으로 위구르인 강제 노동으로터 이익을 얻는 대기업들 (번역) [23] 아난11231 21/03/09 11231 1
90148 [일반] 지금까지 해본 알바 경험담 [9] 죽력고8925 21/01/24 8925 11
89381 [일반] 남편이 왜 좋아? [37] 예쁘게 자라다오11569 20/12/18 11569 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