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3/24 01:22:08
Name 아난
Subject [일반] 수렵채집사회들의 한 본질적 특성으로서의 평등주의
저는 수렵채집인들이 대체로 별로 폭력적이지 않다/않았다고 주장했을 뿐만 아니라 평등주의적 생활을 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이번 번역글은 그 평등주의에 대한 것입니다. 물론 제 자신은 인류학자/선사학자/고고학자가 아니니 제 주장이 아니라 그 전문가들 사이의 지배적 견해로 보이는 것을 소개한 것입니다.  
---

Our egalitarian Eden (By Elizabeth Pennisi)
우리의 평등주의적 에덴 (엘리자베스 페니시)

* 출처: 사이언스 매거진 / 2014년 5월 23일 344권 6186호
http://www.sciencemag.org/content/344/6186.toc

Seek the richest family in a traditional camp of the Ju/’hoansi/!Kung people of the Kalahari Desert in Africa, and you will almost surely fail. There is no such thing. These huntergatherers traditionally moved periodically and had few possessions. What they had, they shared—food, weapons, property, even territory. The poorest looking hut in a camp likely belonged to the leader, explains anthropologist Richard Lee, a professor emeritus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in Canada, because leaders try to avoid looking superior.

아프리카 칼라하리 사막의 주/호안시/쿵 족 전통 야영지에서 가장 부유한 가구를 찾아보면 당신은 거의 확실히 찾지 못할 것이다. 그런 것은 없다. 이 수렵채집민들은 전통적으로 주기적으로 이동하며 소유물들이 극히 적다. 그들은 소유물을 공유한다 - 음식, 무기, 도구, 심지어는 영토까지도. 야영지에서 가장 초라해 보이는 오두막은 대개 족장의 것인데,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의 명예교수인 인류학자 리처드 리는 지도자들이 우월해 보이는 것을 피하려고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Many anthropologists think this egalitarian lifestyle was an essential feature of hunting and gathering societies. In contrast with both today’s titans of Wall Street and the alpha males of the great apes, people in these societies “had an ethic of sharing that was central to their way of life,” Lee says. “No one takes precedence over anyone else.”

많은 인류학자들은 이 평등주의적 생활양식이 수렵채집 사회들의 한 본질적 특징이라고 생각한다. 오늘날의 월 스트리트 거인들과 대형 유인원의 으뜸 수컷 양자 모두와 대조적으로, 이 사회에서 사람들은 “그들의 생활방식에 중요한 공유윤리를 갖고 있다”고 리는 말한다. “어느 누구도 다른 이들보다 더 높은 자리에 있지 않다.”

Our species has lived as hunter-gatherers for more than 90% of our history, Lee notes. Today’s economic inequality goes back thousands of years but in evolutionary time it is relatively recent. Although some of our great ape cousins and arguably our ape ancestors lived in sometimes brutal hierarchies, humans adopted an egalitarian way of life for all but the last 10,000 years.

우리 종이 우리 역사의 90% 이상 동안 수렵채집자들로 살아 왔다는 것에 리는 주목한다. 오늘날의 경제적 불평등은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진화 연대표상에서는 상대적으로 최근의 일이다. 비록 우리의 대형 유인원 사촌들 몇몇, 그리고 필경 우리의 유인원 조상들은 때때로 노골적인 위계들 속에서 살았지만, 인류는 지난 10,000년을 제외하고는 평등주의적 생활방식을 채택했다.        

Achieving and sustaining such egalitarianism is not easy, anthropologists say. “The only way you can avoid hierarchies is that you work very hard to head [them] off,” says Christopher Boehm, a cultural anthropologist at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in Los Angeles. Like all animals, humans are born unequal—some run faster, plan better, or make friends more easily than others. And we instinctively want the best for ourselves, even at the expense of others. That sets the stage for some to dominate.

그러한 평등주의를 성취하고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인류학자들은 말한다. “위계들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도는 [그것들을] 저지하기 위해 매우 열심히 일하는 것이다”라고 로스 앤젤레스 남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문화인류학자 크리스토퍼 뵘은 말한다. 모든 동물들처럼, 인간들은 불평등하게 태어났다 - 어떤 이들은 다른 이들보다 더 빨리 달리고, 계획을 더 잘 세우고, 또는 친구들을 더 쉽게 만든다. 그리고 우리는 본능적으로 다른 이들을 희생하고서라도 우리 자신에게 최상인 것을 원한다. 그것이 어떤 이들이 지배자가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To find out why humans shunned hierarchies for most of our history, anthropologists have studied living huntergatherers around the world, including Native Americans and the Ju/’hoansi/!Kung. Iconic studies of these societies show
that boasting and other selfaggrandizing behaviors are not allowed. Offenders are teased, ignored, banned from camp, or, in extreme cases, killed. Humility, humor, and strict protocols about distributing meat helped keep people on an even footing, says Boehm, who has surveyed the ethnographic literature. For example, !Kung people traditionally downplay their accomplishments: A hunter will say he’s caught only a small skinny animal, even if it’s big and meaty, and his comrades will agree. “You have to demean yourself,” Boehm says.

인류가 역사의 대부분 동안 위계들을 멀리 한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인류학자들은 아메리카 원주민들과 주/호안시/쿵족을 포함해 세계 여러 곳의 현생 수렵채집민들을 연구해 왔다. 이 사회들에 대한 주요 연구들은 자랑과 나머지 자기과시 행동들이 허용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위반자들은 괴롭힘 당하고 무시당하고 야영지에서 추방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살해당한다. 겸손, 유머, 그리고 엄격한 육류 분배 규약이 사람들이 대등한 관계를 맺고 생활하도록 거든다고 민속지학 문헌을 개괄한 뵘은 말한다. 예를 들어, 쿵족은 전통적으로 그들의 성취를 깎아 내린다: 사냥꾼은 크고 고기가 많은 동물을 잡아도 작고 가느다란 동물을 잡았다고 말하며 그의 동료들은 동의한다. “겸손하게 처신해야한다”고 뵘은 말한다.          

Lee and his colleagues, who observed the Ju/’hoansi/!Kung for years, found that to counter differences in hunting prowess, men exchange arrows before they hunt. The owner of the arrow, not the bowman himself, gets the credit and decides how
to distribute the meat while everyone looks on.

주/호안시/쿵족을 여러 해 관찰했던 리와 그의 동료들은 사냥 솜씨의 차이를 무효화하기 위해 남자들이 사냥을 떠나기 전에 화살들을 교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활잡이 자신이 아니라 화살의 소유자가 공로자로 인정되며 모든 이들이 지켜보는 동안 고기를 어떻게 분배할 지를 결정한다.      

Other traditional societies have similar customs, Boehm found in an unpublished analysis. Of today’s 330 foraging societies, he examined 56 that live in conditions resembling those of Paleolithic hunter-gatherers. Among these groups, having someone other than the successful hunter distribute the meat “is universal,” he says.

뵘이 미출간된 분석에서 밝힌 것에 따르면, 다른 전통사회들에도 비슷한 관습들이 있다. 오늘날의 330개의 수렵사회들 중에서 그는 구석기 시대 수렵채집민들과 비슷한 조건에서 생활하고 있는 56개를 검토했다. 이 집단들에서 성공한 사냥꾼이 아닌 이가 고기를 분배하게 하는 것은 “보편적이다”고 그는 말한다.      

Several factors prevented the concentration  of  wealth  and reinforced cooperation in these groups. Scattered, unpredictable food resources encouraged nomadism, a lifestyle that ensured no one accumulated many material goods. Cooperative hunting, in turn, yields more than enough meat to go around, and groups that shared equitably were at an evolutionary advantage because all of their members were strong enough to be good hunters or fighters says economist Samuel Bowles of the Santa Fe Institute. And cooperation is self-reinforcing: Sharing the spoils promotes further cooperation and self-sacrifice (Science, 4 September 2009, p. 1196). “Inequality may be the enemy of cooperation,” Bowles says.

몇 가지 요인들이 이 집단들에서 부의 집중을 방해했고 협동을 강화했다. 산재되어 있는, 예측이 불가능한 식량 자원은 주기적 이동을 조장했는데, 이것은 아무도 많은 물품을 축적하지 못하게 하는 생활양식이다. 협동 사냥은 모두에게 골고루 돌아가고도 남을 만큼의 고기를 생산하며, 공평하게 공유하는 집단들은 그들의 성원들 모두가 훌륭한 사냥꾼이나 전사가 되기에 충분할 만큼 강하기 때문에 진화적 이점을 갖는다고 산타페 연구소의 경제학자 사무엘 보울스는 말한다. 게다가 협동은 협동을 강화하는 효과를 낸다: 성과를 공유하는 것은 협동과 자기희생을 더욱 촉진한다(사이언스, 2009년 9월 4일, p. 1196). “불평등은 협동의 적일 것이다”고 보울스는 말한다.        

Boehm also stresses that the behavior of the lower ranks can help quell dominant individuals. In a seminal paper back in 1993, he proposed that several low-ranking men could band together to oust a toogreedy or violent alpha male. He confirmed this idea based on a survey of behaviors of 48 seemingly egalitarian groups. This isn’t a lack of dominance but a reversal of it, he says: “An apparent absence of hierarchy was the result of followers’ dominating their leaders rather than vice versa,” he wrote.

뵘은 또한 더 낮은 지위에 있는 이들의 행동이 지배적 개인들을 억누르는 효과를 낼 수 있음을 강조한다. 1993년에 발표한 중요한 논문에서, 그는 낮은 지위에 있는 몇 명의 남성들이 탐욕스럽거나 폭력적인 으뜸 남성을 내쫓기 위해 뭉칠 수 있음을 주장했다. 그는 48개의 평등주의적이어 보이는 집단들의 행동을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해서 이 아이디어를 확증했다. 이것은 지배의 결여가 아니라 지배의 역전이라고 그는 말한다: “위계의 명백한 부재는 추종자들이 그들의 지도자들을 지배한 결과였으며 그 역이 아니었다”고 썼다.

Over the millennia, as societies began accumulating surplus food and goods, the inequality held in check for thousands of years re-emerged. Yet humans “have experienced an extraordinary amount of equality,” Bowles says. “The question is whether conditions now will allow us to experience the egalitarianism of the past.”

사회들이 잉여식량과 물품들을 축적하기 시작했던 지난 수천 년 사이 오랜 세월 동안 억제되었던 불평등이 재출현했다. 그러나 인류는 “대단한 정도의 평등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고 보울스는 말한다. “의문은 조건들이 오늘날 우리가 과거의 평등주의를 경험하는 것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내맘대로만듦
21/03/24 01:42
수정 아이콘
글 하나로 뭉치시죠... 도배하시는것도 아니고;;
toheaven
21/03/24 05:15
수정 아이콘
'사랑이란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 가진 것을 나누며
서로에 대해 무엇인가를 배우는 것이다 '

사랑을 베풀어주세요

혹시 저의 지나침을 용서해주세요.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내맘대로만듦
21/03/24 08:23
수정 아이콘
왜 님이 대답하시는지....
21/03/24 03:24
수정 아이콘
원래 다독에 다필하시는 분이셔서...
toheaven
21/03/24 05:17
수정 아이콘
아 그러시구나. 아직 신입이어서 몰랐는데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21/03/24 03:31
수정 아이콘
왕천군이 동양철학이랑 고양이 웬디 스킨 끼고 등장한 느낌...
toheaven
21/03/24 05:31
수정 아이콘
가진 게 적다는 점에서 수렵채집인들은 아마도 계절에 따라 먹을 것을 구해야 했을테니 한 곳에 정착하지 않고 유목민과도 같을까 생각이 들었어요.
그리고 공유윤리를 가진 데서 나온 “어느 누구도 다른 이들보다 더 높은 자리에 있지 않다.” 와 좋은 말이고, 배워야 할 것 같아요. 배워야 할 점이구, 배웠으면 좋겠죠.
그리고 여기'우리의 유인원 조상들은 때때로 노골적인 위계들 속에서 살았지만, 인류는 지난 10,000년을 제외하고는 평등주의적 생활방식을 채택했다.' 책에서 본 바대로 지금도 존재하는 원주민들은 그렇게 천화적이라고 하네요. 사냥해서 얻은 고기도 나눠먹고. 현존하는 아메리카 인디언들을 본다면 평등주의적인 생활방식을 했던 수렵채집인들과 비슷할 것 같네요. 음 다시 책을 봤는데 돼 야만인만을 생각했는지..이게 또 다른 책들로 감정적인 부분에 반응하는 야만인의 습성을 버리지 못했다고 책에서 그렇게 봤기에 그랬나봐요. 먼저 인디언 얘기를 읽을 땐 와-따뜻했었는데요. '인디언 사회에서 중요한 가치는 둘이다. 하나는 평화이고 다른 하나는 영적성장이다. 따라서 남자들이 가족과 사회를 위해 봉사하고 헌신했을 때, 칭찬하고 격려하는 의미로 평화의 깃털 하나씩 꽂아주는 것이다. 평화가 없으면 사회는 혼란스러워지고, 사회가 혼란스러우면 영적 성장이 어렵다. 평화 속에서 모든 생녕이 서로를 존중하고 균형과 조화를 이루며 하나 되고 더불어 행복해지는 것. 그것이야말로 인디언들이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다. 인디언들은 모든 존재는 평등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남녀 사이에, 부부 사이에 우열은 없다. 서로를 존중하되 역할이 다를 뿐이다.' 더 많지만, 이 정도로 줄일게요 *참고한 책은 [우리가 이 세상에 온 이유],서정록이고 와 아난님 덕분에 이 책을 다시 읽어보고 싶어졌네요. 좋은 내용 많아요. 그래서 혹시 추천드려볼게요^^

감사합니다.
쪼아저씨
21/03/24 09:54
수정 아이콘
[전문가들 사이의 지배적 견해] 가 맞는건가요? 딴지는 아니고 이쪽에 전혀 문외한이라 질문드리는 겁니다.
뭔가 알고있던 고정관념과는 좀 달라서요.
21/03/24 09:57
수정 아이콘
이 분한테 전문가 = 내 입맛에 맞는 말을 하는 평론가입니다.
21/03/24 10:02
수정 아이콘
관심있으시면 제러드 다이아몬드 어제까지의 세계 한번 읽어 보세요.

그 책에서 부족사회를 무슨 야만의 도가니탕이라고 하진 않는데 그래도 본문에서 말하는 내용과는 상당히 다르더군요.

실제 오지의 부족사회를 인류학자들이 연구한 사례가 많이 실려있으니 신뢰성은 충분하다고 봅니다
이른취침
21/03/24 14:33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그냥 이 분이 올린 사례만 봐도
평등을 유지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안배와 합의가 필요한지, 또 그 긴장감이 얼마나 큰지 역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에 관심없어요 하는 사람은 ~~에 미친 사람입니다"
딱 이렇죠. 폭력적이지 않고 평등한 질서, 그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어떤 역사를 거쳤을지가 뻔히 보이죠.
마치 조폭들이 의리를 강조하는 것 마냥...
이라세오날
21/03/24 11:12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Janzisuka
21/03/24 13:00
수정 아이콘
댓글화 부탁드려요
21/03/24 16:17
수정 아이콘
그냥 번역문 계속 긁어오시는 것 보다 본인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직접 정리해서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2240 [일반] [외교] 프랑스 의회, “인도태평양 전략 청문회” [6] aurelius11141 21/06/25 11141 9
92139 [일반] 크게 불이 난 쿠팡 이천물류센터 [53] 카루오스19354 21/06/17 19354 3
91987 [일반] NASA: 우리는 금성으로 간다! [18] 우주전쟁11860 21/06/07 11860 3
91921 [일반] 국가는 왜 강해야 하는가? 제국주의부터 2021년까지. [23] 전설의용사양준영9624 21/06/02 9624 6
91859 [일반] 자아도취에 빠져버린 오늘날의 과학계 [37] 위너스리그15691 21/05/29 15691 46
91694 [일반] 엄벌주의는 정말로 쓸모가 없을까? [61] 거짓말쟁이18381 21/05/12 18381 28
91649 [일반] 우리 모두는 구속되어 있는 상태일까? [15] 이는엠씨투10449 21/05/07 10449 4
91613 [일반] 남양 홍원기 회장 대국민 사과 [45] 어바웃타임14934 21/05/04 14934 1
91595 [일반]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얼마나 중요한가? [378] 아리쑤리랑37866 21/05/02 37866 168
91550 [일반] [책이야기] 메트로폴리스 [4] 라울리스타9586 21/04/28 9586 10
91349 [일반] 오픈랜 도입으로 화웨이에 결정타를 날리려는 미국 [20] elaborate12157 21/04/15 12157 10
91195 [일반] 바른 마음 -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의 도덕 [24] 토루10007 21/04/05 10007 13
91052 [일반] 수렵채집사회들의 한 본질적 특성으로서의 평등주의 [14] 아난9970 21/03/24 9970 1
91050 [일반] 대체로 야만인과는 거리가 멀었던 수렵채집인들 2 (번역) [16] 아난7699 21/03/24 7699 3
91046 [일반] 대체로 야만인과는 거리가 멀었던 수렵채집인들 1 (번역) [8] 아난9034 21/03/23 9034 5
91033 [일반] 영국에서 새로운 국방백서가 발표되었습니다. [8] elaborate8922 21/03/23 8922 1
90869 [일반] 황금알을 낳는 거위(였던것) [19] 마늘빵10154 21/03/14 10154 8
90851 [일반] 유신론이 진실일 확률이 더 높지 않을까요. [117] 니그라토12923 21/03/13 12923 2
90741 [일반] [역사] 19세기 말 조선과 중국의 지식인들을 매료시킨 책 [76] aurelius15339 21/03/07 15339 17
90709 [일반] 정읍 내장사 대웅전 큰 불…대응1단계 발령 진화 [23] TWICE쯔위7984 21/03/05 7984 1
90611 [일반] [번역] 큐어난을 아십니까?(항상 알고싶었지만 너무 황당해서 물어볼 수 없었던 큐어난에 관한 모든 것) [31] 위대함과 환상사이12550 21/02/26 12550 10
90575 [일반] 심인성 발기부전인거 같습니다. [44] 몽블랑집안18436 21/02/24 18436 9
90545 [일반] 2011년 집단 괴롭힘 사건, 그리고 10년후 [52] 나주꿀13431 21/02/22 13431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