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3/17 09:02:42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외교] 영국, 새 국가전략백서(Integrated Review) 발간 (수정됨)

영국이 어제 글로벌 브리튼의 슬로건 아래 영국의 역할이 무엇이고, 국방/외교 전략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명시하는 새로운 "국가전략백서"를 발간했습니다. 무려 114페이지에 달하는 문건으로 영국의 우선순위와 영국의 전략개요 및 방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이 백서의 총괄책임자는 John Bew라는 역사학자인데 그는 현재 영국 정부의 정책기획 관련 자문위원이기도 하며 또 외교가에서 상당한 명성이 있는 인물이라고 합니다. 재미있게도 "실크로드 세계사(The Silkroads: A new history of the world)"의 저자인 피터 프랭코판(Peter Frankopan)도 이 문건 작성에 참여했다고 하네요. 물론 다양한 현장 전문가들도 이 문건 작성에 관여했습니다. 


본 문건의 핵심 목표는 크게 4가지입니다. 

(1) 과학과 기술 역량 발전에 중점 (특히 AI, 5G, 우주 등)
(2) 변화하는 세계질서에서 주도적 역할 차지 (미국과 EU와의 협력 및 인도태평양 중심 전략)
(3) 안보/국방 역량 강화 (국방예산 증가, 핵전력 증강 등)
(4) 다양한 위협에 대한 대응능력 강화 (기후변화, 사이버안보, 가짜뉴스 대처 등) 

여기서 개인적으로 인상적으로 본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인도태평양 중심 전략
- 일본과의 전략 관계 강화
- CPTPP 가입 및 ASEAN과의 협력 상설화 
- 호주/인도/뉴질랜드와의 무역협정 조기 타결 
- 일본/호주/인도와의 문화적 교류 심화 
- ODA 프로젝트의 전략적 활용 

2. 핵전력 증강 (사실 이게 가장 놀라운 부분이고 영국 내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입니다)
- 냉전 종식 이래 영국은 핵무기 보유개수를 180기로 제한
- 새 국가전략에 따르면 영국은 최대 핵무기 260기로 증강하기로 결정
- 핵무기 사용 방침: 비핵국가에게 사용 X, 다만 상대국이 핵무기에 준하는 대량살상무기를 보유할 시 조정될 수 있음 

핵전력 증강은 냉전이래 처음 있는 일로, 영국이 현재의 안보정국을 얼마나 엄중하게 보고 있는지 보여주는 징표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한편 과학과 기술투자에 아주 큰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데, 우주사령부도 설치할 계획이며 정부 차원의 디지털 데이터 관리 부서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와 관련된 인재 육성에도 큰 비중을 두고 있고요. 역시 영국도 미래는 과학기술에 있다는 점을 강력히 인식하고 있는 모양입니다. 한편 영국이 다른 유럽국가보다 상대적으로 디지털화가 잘 되어 있고, 관련 인재도 많아 정부가 각 잡고 이를 집중 육성하면, 프랑스나 독일보다 더 가시적 성과를 낼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그리고 해당 문건은 2025년까지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우선순위와 예산을 명시하고 있고, 2030년 이후의 영국의 역할에 대한 나침반을 제공하고 있는데, 우수한 역사학자들을 다수 배출한 영국이 변화하고 있는 세계질서에서 자국의 역할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바라보는 것도 흥미로운 일일 것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이지스
21/03/17 09:36
수정 아이콘
공교롭게도 영국의 차세대 전략원잠 이름이 드레드노트죠
21/03/17 09:44
수정 아이콘
핵전력 증강은 굉장히 우려되네요. 세계가 핵종말의 위협에 떠는 미래로 또다시 되돌아가게 되는 것이 걱정됩니다.
모리건 앤슬랜드
21/03/17 09:58
수정 아이콘
대놓고 중국에게 겨냥하는 시그널 아닌가요?
Energy Poor
21/03/17 10:01
수정 아이콘
대서양 국가가 인도 태평양 전략을 언급하니 좀 생소하긴 하네요
핫자바
21/03/17 10:03
수정 아이콘
대영 제국뽕이 부활했나 봅니다. EU 나온 것도 비슷한 맥락이겠지요.
21/03/17 10:22
수정 아이콘
근데 저걸 보다보니, 이제 세계의 관심이 인도태평양지역으로 모이는건 확실한거같네요.
aurelius
21/03/17 10:28
수정 아이콘
사실 프랑스의 경우 이미 2019년에 인도태평양 전략 백서를 발간한 적 있습니다 :)
아케이드
21/03/17 11:02
수정 아이콘
인도에 대한 영향력이라는측면에서 보면 영국의 역할이 있을 듯 하네요
CapitalismHO
21/03/17 11:11
수정 아이콘
내용자체도 흥미롭지만, 역사학자가 국가전략방향에 대해 영향을 준다는게 가장 신기하네요. 이게 타 선진국에서도 제법 일반적인 일인지, 혹은 한국에서도 이러한 경우가 있는지 궁금해집니다.
훈수둘팔자
21/03/17 11:19
수정 아이콘
얼마전 영국 정부는 중국과의 외교관계를 재조정한다는 말도 있었죠.
러브어clock
21/03/17 11:25
수정 아이콘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1-03-16/johnson-s-global-britain-blueprint-is-hit-by-human-rights-row 중국에 문제가 많지만 중국 꿀은 계속 빨도록 노력하겠다는게 영국 정권의 입장인 것 같습니다만
aurelius
21/03/17 12:05
수정 아이콘
당초 강경한 메시지에서 tone down해서 두가지 메시지를 포함했는데, 영국의 실질적 행동과 like minded countries를 강조하는 것을 보면 방점이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기 어렵지 않죠.
21/03/17 12: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영국이랑 프랑스는 태평양 지역에 식민지 시절 영토가 남아있어서 아예 무관계하지도 않죠
핫자바
21/03/17 13:31
수정 아이콘
영국도 태평양에 남은 땅이 있었나요?
21/03/17 13: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ko.m.wikipedia.org/wiki/%ED%95%8F%EC%BC%80%EC%96%B8_%EC%A0%9C%EB%8F%84

일단은 태평양 이네요(...)

영연방으로 묶이는 호주도 있고요
핫자바
21/03/17 14:15
수정 아이콘
핏캐언!
호주나 뉴질랜드는 논외로...
antidote
21/03/17 13:02
수정 아이콘
핵탄두를 44% 늘린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굉장히 놀라운 뉴스이긴 합니다.
이것이 미-중 대결에서 영국으로 가해지는 중국의 핵 압박을 줄이기 위한 이기적인 전략의 일환인지
아니면 미국의 중국에 대한 핵압박을 더 심화하기 위한 동맹으로서의 협조인지가 궁금해지네요.
핫자바
21/03/17 13:30
수정 아이콘
놀라운데 핵이 는다는 것은 좋지 않은 뉴스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1001 [일반] [팝송] 푸 파이터스 새 앨범 "Medicine At Midnight" [14] 김치찌개8584 21/03/21 8584 6
91000 [일반] 자살 유서들을 읽고 [23] 티타늄17466 21/03/20 17466 26
90999 [일반] 저스티스 리그 스나이더 컷 감상기 [61] 주먹쥐고휘둘러13216 21/03/20 13216 2
90998 [일반] 자유의지주의-아인 랜드와 이영도 [8] kien11710 21/03/20 11710 1
90996 [일반] 1969년 이후로 우리에게 벌어진 일들... [12] 우주전쟁9676 21/03/20 9676 4
90995 [일반] 봄비 속에 매화를 바라보며 [14] 及時雨6457 21/03/20 6457 13
90992 [일반] 서양철학은 나르시시즘인가? [24] 아난12070 21/03/20 12070 4
90991 [일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발생하는 매우 드문 혈전 관련 질환 최신정보_2021. 03.20. [13] 여왕의심복14019 21/03/20 14019 30
90989 [일반] 에고와 욘두, 그리고 배트맨이 함께 싸우다 [6] 올라이크11914 21/03/20 11914 4
90988 [일반] 기초/기본 [12] toheaven8835 21/03/20 8835 0
90987 [일반] 기도, 미안해요. 그리고 사랑합니다. [6] toheaven9946 21/03/20 9946 0
90986 [일반] 카센터쪽 눈탱이는 여전히 심하군요.. [58] 움하하20983 21/03/19 20983 6
90985 [일반] 주 프랑스 중국대사관의 국격 클라스 [74] aurelius19270 21/03/19 19270 17
90984 [일반] 유럽의약품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혈전관련 발표 요약 및 의견 [26] 여왕의심복15299 21/03/19 15299 39
90982 [일반] 애틀란타 총격 사건 이후 확산세를 보이는 #StopAsianHate [29] 레디12645 21/03/19 12645 8
90981 [일반] [13] 사라진 문명이 이끈 만남 (부제:배낭여행의 로망) [9] Jedi Woon8275 21/03/19 8275 10
90979 [일반] 교통딱지 끊다가 2.7억원 물어준 경찰관 [73] 로켓17549 21/03/19 17549 0
90978 [일반] 무위험(zero-risk)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사회 [25] elaborate15332 21/03/19 15332 20
90977 [일반] 95억 보험금' 만삭 아내 사망 사건, 졸음운전 결론 [86] insane20097 21/03/19 20097 10
90976 [일반] [기사] 북한, 말레이시아와 외교관계 단절 선언 [15] aurelius11592 21/03/19 11592 4
90975 [일반] 미중 분쟁시 미국과 같이 중국 때리기에 동참하면서도 중국에게 보상할 방법 [103] 양말발효학석사15123 21/03/19 15123 0
90973 [일반] '게임하는 중장년 웰빙지수 높아' 뉴스가 나왔네요. [38] will10077 21/03/19 10077 4
90972 [일반] 화가 많으면 [4] toheaven8545 21/03/19 8545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