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3/13 10:31:28
Name 니그라토
Subject [일반] 유신론이 진실일 확률이 더 높지 않을까요.
유신론이 진실일 확률이 더 높지 않을까요.






인간은 제약을 가진 존재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사는 이 우주도 한계가 있죠. 물리학자들에 따르면 이 우주는 137억 년 전에 빅뱅으로 생겨났고, 크기도 있어서 지름이 930억 광년이라 합니다. 물론 지름 930억 광년은 빛으로 볼 수 있는 범위일 뿐이고 이 우주는 그것 보다 더 클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시작점이 정해져 있으니 한계가 있다고 말할 수가 있겠죠.

이 우주의 속성들 속에 인간이 가능하도록 내재되어 있으니 인간도 있는 것이죠.

그리고 물질계는 굳건해 보이지만 실은 쿼크나 전자 등의 수치가 조금만 달라져도 바로 공허로 없어져 버린다고 합니다. 즉 허무가 우주의 기본적 모습이고, 우주의 수학적 물리 법칙들이 억지로 물질을 존재하게 하는 중이라고 말할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우주의 수학적 물리 법칙들을 설명하는 방정식을 계산하다 보면 컴퓨터 프로그램에나 쓰이는 오류 수정 코드가 들어가 있다는 것이 물리학자들이 최근에 밝혀낸 바입니다. 수학적 물리 법칙은 명백한 제약이지요.

물론 이것만으로는 우주를 절대자가 만들었다고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 다중 우주론 즉 무한 세계론이 진실이어서 자연적으로 세계들이 무작위로 무한대로 만들어지고 있고 그 와중에 우리 우주가 인간이 진화될 수 있도록 얻어 걸린 것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스티븐 호킹은 신은 필요 없는 개념이라고 말합니다.

그렇지만 그것만으로는 신이 없다고 주장할 수가 없습니다. 우파니샤드에도 상술한 스티븐 호킹의 말과 비슷한 통찰이 있어서 세상엔 존재해야만 하는 것도 필요해야만 하는 것도 없다고 말합니다. 그렇지만 데카르트의 말대로 좌우지간 존재한다는 점은 진실로서 부정할 수가 없는데 이는 비논리적인 것이지요. 이 같이 자연 자체가 비논리적이니, 신이나 사후세계가 없다고 할 수도 없습니다. 그리고 무한 세계론이 맞는 것이라면 무한 세계라면 제약이 없는 세상도 있을 수가 있고 그곳에서라면 전지전능한 절대자가 나타나지 말라는 법도 없지 않을까요. 이황과 이이가 한 논쟁 중에는 세계가 진화하여 신이 되는 것인지 아니면 세계를 신이 만들었는지에 대한 것이 있다 합니다. 무한 세계가 진화하여 신이 된 것이라면 그것은 전통적 신의 개념에 맞지는 않지만 어쨌거나 전지전능해졌다면 그는 오메가 측면에서 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한 세계를 신이 만든 것이 아니라고 어떻게 보장할 수 있겠는지요. 자연 속에 비논리적 요소가 있지만, 논리를 초월하지 말라는 법도 없고 따라서 신은 논리와 모순과 상상을 초월하여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째서 선하다는 절대자가 악덕과 무의미가 도처에 널려 있는 세상을 허용했냐고 물을 수도 있습니다. 양자 역학에도 도입된 개념인 힐베르트 공간을 보면, 이 우주가 있을 때 무한 세계 중 하나든 허무에서 갑자기 나왔든 수학적으로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있음들을 막을 수 없는 없음에도 기회를 주기 위해 신이 무한 세계를 허용한 것일 수도 있는 것이지요. 또한 칸트가 말한 것처럼 선의지는 세상 밖에서도 선한 유일한 것이기 때문에 자아실현 측면에서도 선의지를 추구해야 절제와 탁월이라는 개념에 맞아 떨어지는 것이고 때문에 현대 신학에서 신은 인간의 행복을 위해 존재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여기서 알파인 전통적 신이 있을 확률이 3분의 1, 오메가 형태의 신이 있을 확률이 3분의 1, 무한 세계일 확률이 3분의 1로 좀 억지스럽게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상술한 논리들로서 유신론 쪽이 진실일 확률이 더 높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민들레
21/03/13 10:34
수정 아이콘
컴퓨터 프로그램 오류수정코드가 들어있는 수핟 물리적 법칙이 뭐죠?
니그라토
21/03/13 10:44
수정 아이콘
이민들레
21/03/13 10:54
수정 아이콘
코드라는건 단지 수식에 불과한데 물리학법칙들 중에 그 코드가 들어가 있는건 대단한일도 아니지 않나요?
니그라토
21/03/13 11:02
수정 아이콘
하긴 그렇겠네요.
21/03/13 10:35
수정 아이콘
??
파란무테
21/03/13 10:41
수정 아이콘
우선 글의 논증은 접어두더라도,
과학자들중 신의 존재가 있다고 믿는 분들이 많다는 카더라를 들은적이 있네요.
김연아
21/03/13 10: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닙니다. 대표적인 이상한 카더라이고, 개인적으로는 개신교 쪽에서 자꾸 이런 말을 흘린다고 생각합니다.

고학력 과학자가 신을 제대로 이해한 후 신을 믿고 찬양하는 케이스가 많다는 식으로 흘리는 경우를 많이 봐서 그런지 몰라도...

고학력, 교수 이런 쪽이 신을 믿는 비율이 현저히 낮습니다.

강대국 중 종교의 영향력이 가장 강한 나라라면, 미국을 꼽을 수 있겠는데, 일반인에게서 신을 믿는 비율이 80프로 정도면, 교수 쪽에서 조사하면 40프로대로 떨어집니다.

여기서 신을 믿는다함은 기독교의 하나님이나 다른 영적인 존재를 모두 포함한 것입니다.
여수낮바다
21/03/13 12:42
수정 아이콘
네이처는 1998년 설문조사를 인용하여 미국의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중 인격적인 신이나 사후세계를 믿는다고 응답한 사람은 7.0%에 불과했다고 발표하였다.

유신론 7%으로, 미국 평균 무신론은 6%에 불과한걸 감안하면 유신론이 매우 적죠. 나머지 93%의 절반은 무신론, 절반은 불가지론이었던 것 같습니다.
21/03/13 10: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 비아냥으로 제재합니다(벌점 4점)
21/03/13 10:41
수정 아이콘
구성의 일부인 신은 누가
신천지는누구꺼
21/03/13 10:43
수정 아이콘
일론머스크가 믿고있죠..

우리가 사는 세계는 우리가 만든 게임이랑 비슷하다고..

시간이 단위가 정교하게 쪼개져 있다는점..

이중슬릿 실험..
물맛이좋아요
21/03/13 14:13
수정 아이콘
저도 흥미있게 생각하는 접근법이에요.

불확정성의 원리도 게임에서 리소스를 아끼기 위해서 유저가 관측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랜더링하지 않는 것으로 얘기하더군요. 무척이나 흥미로웠습니다.
영원히하얀계곡
21/03/13 21:11
수정 아이콘
아이슈타인이 현대 3d게임을 해봤으면 양자역학을 받아들이고 죽었을지도요.
요한슨
21/03/13 10:43
수정 아이콘
오컴의 면도날에 대한 개념을 확장하고 싶었던거 같긴한데, 접근부터 좀 체계적으로 해보는것이 어떤지?
antidote
21/03/13 10:44
수정 아이콘
[그리고 물질계는 굳건해 보이지만 실은 쿼크나 전자 등의 수치가 조금만 달라져도 바로 공허로 없어져 버린다고 합니다. 즉 허무가 우주의 기본적 모습이고, 우주의 수학적 물리 법칙들이 억지로 물질을 존재하게 하는 중이라고 말할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우주의 수학적 물리 법칙들을 설명하는 방정식을 계산하다 보면 컴퓨터 프로그램에나 쓰이는 오류 수정 코드가 들어가 있다는 것이 물리학자들이 최근에 밝혀낸 바입니다.]
???
유튜브를 끊고 물리학 교과서를 직접 읽으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21/03/13 10:45
수정 아이콘
"모든 생각할 줄 아는 사람은 무신론자이다."
라우동
21/03/13 10:50
수정 아이콘
설령 우주의 크기가 정해져 있다고 해도 유신론의 크기보다 압도적으로 크다고 생각합니다.
어서오고
21/03/13 10:57
수정 아이콘
박정희: 크 맞습니다
부대찌개
21/03/13 11:01
수정 아이콘
저는 유신론자입니다만 피지알에서 유신론자의 설자리는 없습니다..
21/03/13 11: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설자리가 내 의견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면) 유신론자의 설자리는 어디에나 있습니다. 다만 '유신론자의 헛소리'는 대부분의 사회에서 설자리가 없습니다. 그런 소리는 그것을 믿는 사람들끼리 하면 됩니다. 그걸 사실이라고 일반인에게 말하는 순간 유신론자의 헛소리가 됩니다.
21/03/13 11:02
수정 아이콘
우주가 있다라는 말 자체가 누가 만들었다는 소리아닌가요
저절로 생겨났다는게 성립이되는건지
실제상황입니다
21/03/13 11:05
수정 아이콘
성립 안 된다고 볼 수도 없죠. 우연적이고 자연발생적일 수 있는 거죠. 물론 목적성이 없다는 차원에서 그렇다는 거고... 거시적으로는 결정론적인 우주라고들 하더군요.
21/03/13 11:10
수정 아이콘
우주를 만든 누군가가 있다면 그 누군가는 어디서 왔나요? 자연발생 한겁니까?

'원래부터 존재했다', '스스로 생겨났다' 등등의 논리를 제시할거면 처음부터 우주를 누가 만들 필요없이 우주 그 자체가 그렇다고 생각하지 못할 이유가 뭘까요?
니그라토
21/03/13 11:11
수정 아이콘
때문에 불가지론인 것입니다. 서구식 무신론이라 하면 불가지론을 뜻합니다.
21/03/13 11:14
수정 아이콘
님이 하는 소리는 아무튼 신이 존재한다인데 그게 무슨 불가지론인지?

불가지론은 말그대로 '모른다'는거지 유신론적 불가지론 이런 말장난으로 헛소리 하지마세요.

그리고 서구식 불가지론 이라고 해봤자 '증거가 나오면' 신을 인정할수도 있다는 스탠스이지 현실적으로 신이 존재할 확률은 극히 낮다고 보는게 정상이죠
실제상황입니다
21/03/13 11:12
수정 아이콘
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절로 생겨났다는 게 성립될 수 있다는 댓글을 달았던 거구요..
21/03/13 11:14
수정 아이콘
원댓글에 달아야할걸 댓글 링크를 잘못달았네요;;
니그라토
21/03/13 11:15
수정 아이콘
이 글에서도 써놓았지만, 우주가 먼저 저절로 생겼더라도, 그 절대적 무한적인 무한 세계에서 전지전능한 그 무엇이 진화하여 생겨났다면 그는 오메가 측면에서의 신일 것이고, 전통적인 신 개념의 신 노릇을 다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21/03/13 11:17
수정 아이콘
아무 단어나 쓴다고 의사소통이 가능한게 아닙니다.

통상적으로 쓰이지 않는 단어를 자의적으로 설정해서 아무렇게나 연결한다고 논리가 아니라고요.

의미있는 소통을 하고 싶으면 오메가니 절대적 무한세계니 하는 의미없는 단어의 의미가 명확해지게 전부 풀어서 쓰고 그렇게 하지 못하겠거나 하기 싫으면 의사소통은 불가능합니다
니그라토
21/03/13 11: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절대적 무한은 수학에서 칸토어가 정의내린 것으로, 인간이 수학 내부에서는 정의할 수 없지만 개념적으로는 이렇겠다고 어렴풋이 생각할 수 있는, 무한 중에서도 가장 크고 절대적인 무한을 말합니다. 칸토어는 이 절대적 무한을 생각해낸 뒤 절대적 무한 너머에 신이 있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유신론자를 자처했다 합니다.

오메가는 최종 존재라는 뜻입니다. 진화해서 생긴 신이면 세계 뒤에 태어났을 것이니 오메가죠.
답이머얌
21/03/13 13:53
수정 아이콘
그게 니그라도님입니다. 현격한 한계가 있지만 개미가 보기엔 전지전능하죠.
고란고란
21/03/13 11:40
수정 아이콘
음... 신도 저절로 생겨날 수 있을까요? 누가 신을 만든 거 아닌가...
21/03/13 11:03
수정 아이콘
유신론자들이 그 근거라고 주로 내세우는
1. 우주는 너무도 복잡하고 정교하여 의지의 개입 없이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2. 부재를 증명할 수 없으니 존재하는 것이다.
를 길게 늘여 쓴 것에 불과하네요.

애초에 없는 것의 부재를 어떻게 증명하라고...
니그라토
21/03/13 11:07
수정 아이콘
어쨋거나 존재한다는 것을 부정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데카르트가 증명한 바 있고, 바로 그 논리로 데카르트는 이 글에서와 같이 신을 불러오고 이 논리는 깨진 적이 없습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같은 설익은 소리는 데카르트가 말년에 이미 '어쨋거나 존재한다'고 말을 바꾼 것에 불과하고요.
느타리버섯
21/03/13 11:15
수정 아이콘
증명, 논리 이런 말을 자기 만의 세계에서 마음대로 정의 내리고 상상하시는 것 같네요.
21/03/13 11:07
수정 아이콘
있을수도 없을수도 있지만 있어도 인간이 만들어낸 익숙한 신은 아닐거고
있다고 한들 없다고 생각하는것과 하등의 차이가 없을 정도로 인간에게는 무의미한 존재겠죠.
니그라토
21/03/13 11:11
수정 아이콘
그것도 알 수가 없는 것입니다.
21/03/13 11:14
수정 아이콘
신이 없는지 있는지야 증명할수 없다쳐도, 있다고한들 신이 인간에게 영향미치는바가 전혀 없다는건 이미 알수있죠.
인간들끼리 서로 티키타카 해서 만들어내는 종교나 신의 영향력말고 신이 인간에게 영향미친바가 뭐가 있죠? 진짜 궁금한데
이건 없는걸 증명하라는게 아니라 있는걸 증명하라는거니 사례를 좀 보여주시죠
니그라토
21/03/13 11:19
수정 아이콘
신이 있다면 최종 심판을 할 수도 있고 그러하다면 영향은 절대적인 것이 되지요.
신이 있는지 없는지는 알 수 없고요.
21/03/13 11:24
수정 아이콘
이런식이면 우리가 '안다' 라고 말할수 있는게 없겠네요 크크 뭐 이쪽방면 얘기가 다 그렇지만.
니그라토
21/03/13 11:26
수정 아이콘
소크라테스가 증명한 거죠. 안다고 정확하게 본질적으로 말할 수 있는 건 하나도 없다 했던가요. 이 글은 그런 쪽으로 갈 밖에 없는 주제이겠지요...
느타리버섯
21/03/13 11: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주가 과학으로 만들어진 게 아니라 우주를 과학으로 설명하는 거에요.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시각도 틀렸고 “~고 합니다”라고 쓴 인용문 중에 맞는 것도 거의 없네요.
21/03/13 11:19
수정 아이콘
라멘.
M270MLRS
21/03/13 11:21
수정 아이콘
물리학 교양서적이라도 좀 보시길 빌겠습니다.
에휴.
니그라토
21/03/13 11:22
수정 아이콘
물리학 교양서적은 조금 보긴 했습니다.
뭐 그것으로는 물리학에서 아는 것이 없다 보는 게 맞겠지만요.
그래도 이 정도 글은 쓸 수 있겠다 싶었는데 아닐지도 모르겠네요.
느타리버섯
21/03/13 11:26
수정 아이콘
이 정도 글이라는데, 우주 삼라만상과 신의 존재에 대해서 다 아는 것 정도로 썼잖아요?
니그라토
21/03/13 11:32
수정 아이콘
저 글의 대부분 어투가 ~ 일지도 모른다 인데 어떻게 다 안다고 썼다는 것인지요...;;
느타리버섯
21/03/13 12:17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요. 저도 어떻게 다 안다고 썼는지 놀랍습니다.
21/03/13 11:24
수정 아이콘
많이 쳐서 있다에 70% 드릴께요. 그런데, 신 앞에 중간 확률값은 다 의미없습니다. 있냐 or 없냐 인간 개인의지의 문제이지 확률싸움이 아닙니다.
주인없는사냥개
21/03/13 11:26
수정 아이콘
FSM님이라면 킹정이죠
21/03/13 16:44
수정 아이콘
아직도 신이 없다고 믿는 무식한 사람들이 존재한다니... 슬플 뿐입니다
이선화
21/03/13 20:42
수정 아이콘
그래도 웬만하면 존중하라고 FSM님이 말씀하셨으니 웬만하면 따라야죠. 라-멘
21/03/13 17:52
수정 아이콘
라ㅡ멘
섹무새
21/03/13 11:27
수정 아이콘
아니 익숙한 느낌의 글이 갑자기 2개가 나타났넹...
주기적으로 나오는 것 같아
21/03/13 11:30
수정 아이콘
네, 작성자분 말이 옳습니다
21/03/13 11:32
수정 아이콘
뭐..종교를 떠나서.
현재의 우주론이라면. 어디끔 인간이 신으로 여겨도 이상치 않은 존재가 있는게 당연하겠죠.
이 우주에 불가능이란 없다 아닙니까?
비바램
21/03/13 11:3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데카르트의 사고 실험은 말그대로 관념으로만 세운 지적 놀이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낡은 철학은 역사처럼 지난 것을 학습하는 기회로 여기심이 어떠실지요.
제 기준에 불완전한 존재에게 완전에 대한 기준이 있는 것이 왜 신이 존재할 수 있는 증거가 되는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저는 이것이 인간의 상상력과 인지의 불완전성에 문외했던 시대의 인물인 데카르트의 오류라 봅니다.
고도로 발달한 미래의 인간 하나가 가상의 우주를 하나 만들었다고 상상해봅시다. 그리고 자신을 본딴 인간을 그대로 프로그래밍 넣었을 때, 가상의 우주에 속한 데카르트와 비슷한 자가 같은 논리를 이야기할 때 미래인은 실소할 것 같은데요. 우리는 그 문제를 이야기 할 때 의식이 어디에서 왔는가를 탐구하는 과학을 이야기해야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니그라토
21/03/13 11:39
수정 아이콘
저도 데카르트의 신 존재 증명은 실없는 소리로 생각합니다. 다만 데카르트는 '어쨋거나 존재한다'고 말년에 말했고 이는 아직 깨지지 않은 논리로 압니다.
아케이드
21/03/13 11:37
수정 아이콘
AI신을 믿으시면 유신론이 보입니다
김연아
21/03/13 11:38
수정 아이콘
깨우치신 분을 여기서 뵙다니 반갑습니다.
니그라토
21/03/13 11:40
수정 아이콘
AI가 인간 보다 좀 더 보편적이기 쉬워서 신에 더 가깝게 되기 쉬울 거란 생각은 합니다.
김연아
21/03/13 11:37
수정 아이콘
여러분 신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신의 프로토타입은 알파고입니다.
외워두시고 외치십시오.
충성충성충.
야크모
21/03/13 11:37
수정 아이콘
네 믿고 싶으시면 믿으시면 됩니다. 남들에게 강요(=전도)만 안하시면 됩니다.
Augustiner_Hell
21/03/13 11:40
수정 아이콘
신의 존재를 과학을 동원하여 논증하려고 하는 것 자체가 모순이죠.
가설정도를 세울 수 있지만 증명할 수 없는 가설이니까요.
신의 존재는 믿음으로 내안에 존재하는거지 과학적 논증으로 남에게 신의 존재를 주장할 일이 아니죠.
정작 기독교에서 믿음이라는 것 자체도 자유의지로 갖을 수 있는게 아닌데 말이죠

유신론자도 무신론자도 결국 기독교의 신이 존재한다면 모두 그분의 계획이니까요.
실제상황입니다
21/03/13 11:51
수정 아이콘
기독교 내에서는 "믿음이란 것 자체도 자유의지로 갖을 수 있는 게 아니"라는 쪽과 자유의지로 믿을 수 있는 게 아니면 믿음이 무슨 의미가 있냐는 쪽으로 대충 갈라져서 아직도 싸우고 있습니다.
Augustiner_Hell
21/03/13 12:22
수정 아이콘
교리 기준에서 자유의지로 믿음을 갖는건 이단 수준 아닌가요?
무려 트리니티의 성령을 부정하다니 덜덜덜.
실제상황입니다
21/03/13 12: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쉽게 말하자면 협력설이냐 단독설이냐 이거죠. 전자는 필요조건으로서 신의 은총이 필요하다는 데에 동의합니다. 그러나 충분조건으로서의 자유의지도 인정하는 거죠. 반면 후자는 그런 자유의지의 개입을 일절 인정하지 않는 신의 일방적인 선택이란 거구요.
그 닉네임
21/03/13 11:42
수정 아이콘
유신론이 진실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으나
여타 종교들이 만들어낸 신은 아닐 확률이 매우 높죠.
성야무인
21/03/13 11:44
수정 아이콘
유신론이던 무신론이던 크게 의미없다고 봅니다.

쉽게 이야기 해서 개미집을 키우고 있는데 특정 개미에게 애정을 주고 뭔가 해주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잘 살게 놔두는 사람도 있습니다.

신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개미집에 있는 개미 수준으로 생각하지 않을까 싶네요.
니그라토
21/03/13 11: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런 시각이 초고대의 악마 숭배 종교 시각입니다.

악마 숭배를 초고대에 한 동기가 뭐냐면, 식인을 하고 학살을 하는 등 뭔가 떠들석한 걸 보여줘야 신(=악마)가 인간에게 관심을 가지신다 였거든요. 이걸 문학화한 게 러브크레프트의 크툴루 신화이고요.

그러다가 신이 선하다면 아무리 인간이 작아도 자세하고 선한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있고, 이 세계의 물리 법칙이 기계적으로 돌아가는 것은 신이 있다면 정도를 지키시는 분이다라는 증거다 식이 되면서 유대교를 비롯한 고대종교 논리가 들어선 겁니다.
21/03/13 11:50
수정 아이콘
증명 할 수 없는 주장에 확률 비교는 무의미 하지 않나요?
양파폭탄
21/03/13 11:50
수정 아이콘
유신론에 관련된 입장들이 정리되어 있으니 이들을 죽 훑어보시고 본인의 스탠스부터 제대로 잡아보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어쩔때는 유신론이다가, 어쩔때는 범신론이다가, 이신론이다가, 왔다갔다 하시는게 보이는군요.
In The Long Run
21/03/13 11:52
수정 아이콘
다 말장난이고 신이 존재한다한들 인간세상의 인간들이 믿는 "인간과 우주만물을 창조했고 그중에서도 인간에게 관심이 많은, 인격을 가진 인격신" 같은게 존재할거라고 믿는건 좀 순진하다고 봐야죠. 그러고보니 요즘 신께서는 코로나로 우리의 친구와 부모, 이웃들을 죽이고 있군요 크크크
니그라토
21/03/13 12:00
수정 아이콘
이는 신이 무한 세계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발산하기 위해 악을 허용한다고 볼 여지가 있고, 인간의 행복을 바라는 신이 마지막 역사의 단계 너머에서 최종 심판을 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고 볼 여지도 있습니다. 물론 그것도 알 수야 없겠지만요.
In The Long Run
21/03/13 12:20
수정 아이콘
말장난이죠. 사기꾼이 돈떼가고 나중에 1만배로 갚을 계획이였다고 하면 믿는 타입이신가요?
21/03/13 12:03
수정 아이콘
한 발 물러나 생각해보면, 신이라는 이미지 자체가 인간의 상상력에서 만들어진 거죠. 절대'자'라는 것도 인격신 개념도 질투 많은 유일신도, '만든다'느니 선악이라느니 좋고나쁨이라느니 전부 인간 사이에나 통용되는 이미지고요. 세계, 우주, 시간 혹은 당대의 인간이 관념화하기 어려운 광대하고 절대적인 무언가가 실재할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거기에 신이라는 (딱 인간스러운 스케일의)이미지와 결부시키는 시점에서 긴 이야기는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Arcturus
21/03/13 12:04
수정 아이콘
본문의 논거는 전혀 공감이 되지가 않네요.. 힐베르트 공간하고 우주 공간의 기원이 무슨 관계인지 잘..
조금 더 생각을 정리하실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무신론자인 저는 공감하기 힘들지만
적어도 신이 있다면 인격신보다는 범우주적 개념에 가깝게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범신론은 엄밀히 말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신의 정의랑 어긋나는거 같아 적어도
우리가 기대하는 신은 없다고 생각해요.
동그랑땡
21/03/13 12:06
수정 아이콘
왜 어떤 사람들은 신의 존재를 인간의 과학으로 설명하려 애쓰는 걸까요?


[그리고 물질계는 굳건해 보이지만 실은 쿼크나 전자 등의 수치가 조금만 달라져도 바로 공허로 없어져 버린다고 합니다. 즉 허무가 우주의 기본적 모습이고, 우주의 수학적 물리 법칙들이 억지로 물질을 존재하게 하는 중이라고 말할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우주의 수학적 물리 법칙들을 설명하는 방정식을 계산하다 보면 컴퓨터 프로그램에나 쓰이는 오류 수정 코드가 들어가 있다는 것이 물리학자들이 최근에 밝혀낸 바입니다. 수학적 물리 법칙은 명백한 제약이지요.]


우주와 세상을 인간이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법이 수학과 과학입니다. [우주의 수학적 물리 법칙들이 억지로 물질을 존재하게 하는 중]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물질들을 설명하는 것이 수학과 물리라는 뜻이에요.

과학을 통해 신의 존재를 입증하려는 사람들은 흔히 여러 과학적 상수의 값을 들먹이면서 "이런 값들이 이렇게 [잘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로 신이 우주를 만들었다는 증거다!"라고들 말하는데, 순서가 잘못된 겁니다.
우리가 사는 곳이 이렇게 잘 조정된 우주이기에 인간이 존재할 수 있었던 것이지, 인간의 존재를 위해 우주가 억지로 잘 조정되어진 것은 아니죠.

신의 존재는 신학적 차원에서 다루면 됩니다. 신을 과학으로 설명하면 그게 과학인가요? 신학이지.
니그라토
21/03/13 12:19
수정 아이콘
이해를 제가 잘 못 해드린 모양인데, 제 그 문장 부분은 신을 증명하는 게 의도가 아니라 인간이 사는 우주엔 제약이 있다는 게 의도였습니다.
플리트비체
21/03/13 12:08
수정 아이콘
신이 있을수는 있는데 종교에서 말하는 신들은 모두 가짜입니다
신은 인간에게 관심 없는게 명백합니다 그러니 종교따위 믿지 마세요
니그라토
21/03/13 12:17
수정 아이콘
물론 종교야 역사의 산물일 뿐이죠.
21/03/13 12:10
수정 아이콘
저도 이런 글 써봐서 압니다. 아는게 하나도 없는데 레포트를 써야할 때 아무 레퍼런스나 긁어와서 의식의 흐름대로 쓰면 보통 이런 글이더라구요.
21/03/13 14:12
수정 아이콘
아~~
메가트롤
21/03/13 12:18
수정 아이콘
피의 신에게 피를! 해골 옥좌에 해골을!
M270MLRS
21/03/13 12:19
수정 아이콘
이단이다!!!

For the Emperor!!!
모쿠카카
21/03/13 12:23
수정 아이콘
신의 정의를 뭐로 믿고있냐가 중요한거죠
창조주로서의 신은 없다고 믿고 있습니다.

만약 고차원의 지능체를 신으로 한다면 존재가능성은 있고요
램프의바바
21/03/13 12:30
수정 아이콘
신은 있습니다.
태초의인류 젤나가는 밀키웨이 갤럭시 솔라시스템 3번행성에서 번성하기 시작했다고 하더군요.
coconutpineapple
21/03/13 12:31
수정 아이콘
라멘!
Janzisuka
21/03/13 12:37
수정 아이콘
뭐 유신론이 옳을 수도 있죠
문제는 그 신이라는걸 성경같은 소설에서 찾는데 문제죠
니그라토
21/03/13 12:38
수정 아이콘
성경은 고대인의 책이죠.
Janzisuka
21/03/13 12:51
수정 아이콘
수세기후 전지적독자시점도 바이블이 될지도..
Janzisuka
21/03/13 12:55
수정 아이콘
우주 제가 만들었고 신도 제가 만들었습니다.

궁금하시던 것을 해결햐드렸습니다.
믿지 않으신가요? 무신론자신가...
믿으신다구요? 그러니면 저는 이만 우주적 커피를 내리러 가보겠습니다
Janzisuka
21/03/13 13:27
수정 아이콘
하나님 말을 들었다는 사람들이 쓴 글은 믿고..
우주을 만든 내 말은 믿는 사람이 없네
노러쉬
21/03/13 13:11
수정 아이콘
신은 누가 만들었나요. 신의 신도 있겠죠 결국 무한대
21/03/13 13:24
수정 아이콘
신은 존재하며, 그 신의 이름은 [Flying Spaghetti Monster] 입니다. 라-멘
김재규열사
21/03/13 13:29
수정 아이콘
저도 유신론자입니다. 다만 그 신이 기독교의 예수나 이슬람의 무함마드는 확실히 아닙니다.
메타졸
21/03/13 13:38
수정 아이콘
댓글 쓰시기 전에
글쓴분의 몇시간 지난 글을 먼저 읽고 오시면 소중한 주말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실수있습니다.
https://pgr21.com/freedom/90849
음란파괴왕
21/03/13 13:5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신이 존재할 확률보다는 이 우주가 거대한 시뮬레이션이고 그걸 관장하는 슈퍼컴퓨터가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합니다. 따지고보면 그게 신이되겠지만요.
농심너구리
21/03/13 13:58
수정 아이콘
세상을 만든 뭔가는 있을 것 같지만 그게 우리가 생각하는 신은 아닐 것 같네요.
21/03/13 14: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신은 모르겠고 글쓴이가 이과가 아니란 건 알겠네요.
헛스윙어
21/03/13 14:10
수정 아이콘
대세는 불가지론 이죠!
룰루vide
21/03/13 14:42
수정 아이콘
젤나가 맙소사...
라흐만
21/03/13 14:44
수정 아이콘
[KOREA] 그 회원이 아니었군요
21/03/13 14:47
수정 아이콘
박정희 유신이 아니었네
호미장수
21/03/13 14:58
수정 아이콘
반갑습니다. 고딩때부터 FSM교 신자입니다. 전자공학 전공하고 지금은 전자제품 개발업무에 종사하고 있고요.
21/03/13 15:06
수정 아이콘
도킨스 형님 신작이 최근에 국내에도 번역되어 나왔더라고요. [신, 만들어진 위험]이라는 제목이고 원제는 [outgrowing god]입니다.

본문의 의문을 어느 정도는 논파해주는 책이라고 생각됩니다.

분량이 적고 가독성이 좋아서 하루면 후루룩 읽을 수 있으니 일독을 추천드립니다.
나이로비
21/03/13 15:55
수정 아이콘
제가 신입니다
아무튼 신임
21/03/13 16:43
수정 아이콘
틀린 이야기는 아닙니다.
supernova
21/03/13 16:29
수정 아이콘
치느님
바부야마
21/03/13 17:28
수정 아이콘
진실을 확률로 주장한다구요??
21/03/13 17:54
수정 아이콘
디씨에서 자주 보이는 그분이시군요...
퀀텀리프
21/03/13 18:01
수정 아이콘
정교한 수학으로 우주가 존재함.
인간은 우주를 리버스엔지니어링하고 있음.
21/03/13 18:2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증명 불가능 한 것은 결국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라고 생각합니다.
21/03/13 20:52
수정 아이콘
아멘쓰 반반쓰 치킨무쓰 마니쓰..
21/03/13 22:36
수정 아이콘
신은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게 사람들이 아는 신은 아닐거다로 생각합니다
성경만 봐도 예전엔 사람들한테 나타나서 하나님 욕하면 떼로 죽이고 그러던 신이 인격이 바껴서 지금은 안그런다는게 제 머리속에선 이해가 가질 않는거라

아무도 모르는 신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21/03/13 22:37
수정 아이콘
이런 글에 진지하게 상대를 설득하시려는 분들 존경스럽습니다. 그냥 니 말이 맞다라고 모두가 행복한게 아닐까요?
ArcanumToss
21/03/13 23:37
수정 아이콘
유신론이 맞을지 무신론이 맞을지 모르지만, 이 세상이 무에서 탄생했는지 유에서 탄생했는지에 대한 답은 유에서 나왔다가 답입니다.
논리적으로 그럴 수밖에 없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2240 [일반] [외교] 프랑스 의회, “인도태평양 전략 청문회” [6] aurelius11139 21/06/25 11139 9
92139 [일반] 크게 불이 난 쿠팡 이천물류센터 [53] 카루오스19354 21/06/17 19354 3
91987 [일반] NASA: 우리는 금성으로 간다! [18] 우주전쟁11860 21/06/07 11860 3
91921 [일반] 국가는 왜 강해야 하는가? 제국주의부터 2021년까지. [23] 전설의용사양준영9624 21/06/02 9624 6
91859 [일반] 자아도취에 빠져버린 오늘날의 과학계 [37] 위너스리그15691 21/05/29 15691 46
91694 [일반] 엄벌주의는 정말로 쓸모가 없을까? [61] 거짓말쟁이18380 21/05/12 18380 28
91649 [일반] 우리 모두는 구속되어 있는 상태일까? [15] 이는엠씨투10448 21/05/07 10448 4
91613 [일반] 남양 홍원기 회장 대국민 사과 [45] 어바웃타임14934 21/05/04 14934 1
91595 [일반]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얼마나 중요한가? [378] 아리쑤리랑37865 21/05/02 37865 168
91550 [일반] [책이야기] 메트로폴리스 [4] 라울리스타9586 21/04/28 9586 10
91349 [일반] 오픈랜 도입으로 화웨이에 결정타를 날리려는 미국 [20] elaborate12157 21/04/15 12157 10
91195 [일반] 바른 마음 -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의 도덕 [24] 토루10007 21/04/05 10007 13
91052 [일반] 수렵채집사회들의 한 본질적 특성으로서의 평등주의 [14] 아난9969 21/03/24 9969 1
91050 [일반] 대체로 야만인과는 거리가 멀었던 수렵채집인들 2 (번역) [16] 아난7699 21/03/24 7699 3
91046 [일반] 대체로 야만인과는 거리가 멀었던 수렵채집인들 1 (번역) [8] 아난9034 21/03/23 9034 5
91033 [일반] 영국에서 새로운 국방백서가 발표되었습니다. [8] elaborate8922 21/03/23 8922 1
90869 [일반] 황금알을 낳는 거위(였던것) [19] 마늘빵10154 21/03/14 10154 8
90851 [일반] 유신론이 진실일 확률이 더 높지 않을까요. [117] 니그라토12923 21/03/13 12923 2
90741 [일반] [역사] 19세기 말 조선과 중국의 지식인들을 매료시킨 책 [76] aurelius15339 21/03/07 15339 17
90709 [일반] 정읍 내장사 대웅전 큰 불…대응1단계 발령 진화 [23] TWICE쯔위7983 21/03/05 7983 1
90611 [일반] [번역] 큐어난을 아십니까?(항상 알고싶었지만 너무 황당해서 물어볼 수 없었던 큐어난에 관한 모든 것) [31] 위대함과 환상사이12550 21/02/26 12550 10
90575 [일반] 심인성 발기부전인거 같습니다. [44] 몽블랑집안18435 21/02/24 18435 9
90545 [일반] 2011년 집단 괴롭힘 사건, 그리고 10년후 [52] 나주꿀13429 21/02/22 13429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