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3/03 19:54:38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263342552
Subject [일반] <미나리> - 살아남기, 뿌리내리기. <스포> (수정됨)
미나리는 80년대 미국 아칸소 주로 건너간 한국인 가족을 배경으로 한 영화입니다. 그런 지점에서 이 영화의 상당 부분은 아메리칸 드림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정착과 생존에 뿌리를 둔 이 영화는 병아리 감별사를 넘어서 농장주가 되기 위해 몸부림 치는 '제이콥'의 모습으로 이러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시도는 감정적으로 저항받고 물리적으로 고통받습니다. 영화 상에서는 원래 있었던 캘리포니아 주를 떠나서 이 도시로 옮겨옴에 따라서 또 다시 갈등하고 충돌하는 장면으로, 떨어진 물로 인해 작물이 말라가는 것으로, 그리고 결국 불로써 잿더미가 되면서 나타납니다.


그 상황 속에서 아이들의 삶도 쉽지 않습니다. 직접적으로 묘사되진 않지만 교회에서 또래 아이들과의 만남에서 몇 가지의 덜컹거림이 존재합니다. 교회 장면의 또 다른 재밌는 점은 영화가 역설적인 지점을 몇 군데 찌른다는 점에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칸소 주에 한인 커뮤니티가 작게 나마 존재하지만 교회가 생기지 않은 이유는 그들이 교회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떠나왔기 때문이고, 모든 것이 구원 받았나, 서로가 끝끝내 서로를 구원했는가 싶은 지점에서 갈등이 폭발하며, 결국 화재로 인해 모든 것이 무너져내릴때 다시 서로를 구원해내는 결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제목의 미나리는 어떤 측면에서는 휩쓸려 갈것 같은 무력한 상황 속에서 결국은 끝끝내 살아나가는 것을 의미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영화의 전반적인 관점은 관조에 가깝습니다. 한국어와 영어의 비율이 대충 7:3 정도 되는 느낌인데, 한국인 관객에게는 중간 중간 끼어드는 영어 대사가, 그 반대의 경우에는 대다수를 차지하는 한국어 대사가 이런 느낌을 심화시키지 않나 싶습니다. 결국 영화는 어느 순간에도 가까이 오는 것을 막습니다.감정적으로 친숙하거나 가까운 영화는 아닌 것 같다고 말씀 드릴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런 점에서 할머니의 인물상은 독특합니다. 영화 상에서 한국어와 영어를 섞어쓰는(부모 세대는 한국어가 유창하지만, 상대적으로 한국어보다 영어가 편리한 자식 세대의 차이를 차지하고도) 가족들 중에서 대다수의 말이 한국어인데다 - 그래서 역설적으로 '외국'관객인 한국인에게 익숙하지만- 중반 넘어서는 쓰러지면서 대화 자체가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할머니는 일반적인 할머니상과는 전혀 다릅니다. 특히나 '진짜 할머니가 아닌거 같다'며 오해하는 장면에서는 더더욱요. 그 할머니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가족의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합니다. 가지 말라는 곳에서 물을 떠오고, (의도하진 않았지만) 결국 서로가 서로를 구원하게 되는 엔딩으로 까지 연결해주니까요.


각종 영화제에서 윤여정 배우의 노미네이트나 수상이 많이 점쳐지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한예리 배우의 연기가 인상적이었습니다. 단단하고, 어느 순간 폭발해버릴듯 하지만 안으로 삼켜지는 연기라고 해야할까요.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물론 윤여정 배우의 연기도 좋았습니다만.


정이삭 감독은 미나리는 '가족간의 사랑'을 의미한다고 말했습니다. 어느 정도는 자전적인 이야기임을 여러번 밝히기도 했구요. 어디서든 잘 자라는 풀뿌리같은 가족의 정착기를 다룬 영화, <미나리>였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3/03 20:17
수정 아이콘
영화를 보기전과 보고나서 메인포스터에 대한 감상이 달라지는 그런 영화였습니다
aDayInTheLife
21/03/03 20:21
수정 아이콘
저는 포스터를 뒤늦게 봤는데 확실히, 느낌이 달라보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921 [일반] 만남이 있어야 [12] toheaven9093 21/03/16 9093 2
90672 [일반] <미나리> - 살아남기, 뿌리내리기. <스포> [2] aDayInTheLife7516 21/03/03 7516 6
90653 [정치] 그래도 당신은 용이 되고 싶겠죠 [152] 토루18550 21/03/02 18550 0
90590 [일반] 40대 대기업 퇴사 이후 사회적 사망 사례 [47] 양말발효학석사22578 21/02/25 22578 53
90364 [일반] 왜 교회가 방역의 타겟이 되는가에 대한 답변 [71] 미스터콩밥왕10262 21/02/10 10262 31
90338 [일반] 여의도순복음교회 '안티 코로나 바이러스 카드'지급 논란 [210] 강가딘16154 21/02/08 16154 6
90289 [정치] 안티질을 넘어서지 못하는 한국 보수의 문제 [104] 데브레첸17716 21/02/03 17716 0
90267 [일반] 대충 교회발 코로나 확산으로 짜증났다는 글 [51] 나주꿀14877 21/02/01 14877 6
90261 [정치] 직계가족이라도 거주지 다르면 5인 이상 모임금지를 보면서 [31] 판을흔들어라15612 21/01/31 15612 0
90186 [일반] 한교연, 한국교회 향한 악의적 '여론몰이' 중단 요청 [205] 푸비딕18538 21/01/27 18538 10
90170 [일반] 이번에 확진자 다수 나온 IM선교회가 전에 있던 숙소 5m거리네요. [31] 성야무인13182 21/01/25 13182 3
90158 [일반] [코로나] 대전 교회 관련 단체 집단감염 125명 발생 [179] Rorschach17594 21/01/24 17594 6
89926 [일반] 왜 부끄러움은 개신교인들의 몫인가 - <뉴스앤조이> 기사 [82] bifrost10525 21/01/08 10525 12
89893 [일반] 장로회신학대학교 명성교회 세습 반대문 다시 썼네요 [52] SAS Tony Parker 11530 21/01/07 11530 8
89828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 : 교회의 절기 (사순절) [24] SAS Tony Parker 7810 21/01/04 7810 0
89725 [일반] 아카펠라는 왜 '교회식으로'일까? - 악기를 쓰지 않는 기독교 예배에 관한 이야기 [17] 계층방정7916 20/12/30 7916 2
89709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 : 교회음악(+반주) [61] SAS Tony Parker 7968 20/12/30 7968 5
89683 [일반] 교회 2년 다니고 후기 [80] 드러나다11927 20/12/29 11927 37
89679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 : 헌금과 지출 [83] SAS Tony Parker 9867 20/12/29 9867 3
89664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 : 집사 ,권사, 장로 [89] SAS Tony Parker 17016 20/12/28 17016 4
89650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 : 목회자 [49] SAS Tony Parker 9756 20/12/28 9756 2
89532 [일반] 그래도 크리스마스 [8] 及時雨5726 20/12/23 5726 7
89398 [정치] 유승준(스티브 유) 민주당정권 규탄 [171] 나디아 연대기19673 20/12/19 1967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