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2/20 13:48:44
Name 백년후 당신에게
Subject [일반] 삶의 변곡점
1. 대학교 시절 꽤나 잘 어울렸던 친구가 있었다. 큰키에 말끔한 외모를 가지고 술먹고 노는 것도 좋아했지만 대학생활 내내 아르바이트를 하고 좋은 성적으로 졸업 한 누가봐도 성실한 친구 였다. 
졸업 후 구직활동 후 누구나 아는 금융권에 들어가 순탄한 삶을 살며 살아갈 것 같았다. 물론 학교 다니는 시기가 꼬이면서 예전처럼 연락을 자주하지는 못했지만 멀리서나마 소식을 들으며 "잘 살고 있구나." 라고 생각했던 친구였다. 몇년전 이었던가 멀리서 들려오는 소식이 안정적인 직장을 그만두고 아나운서를 준비한다는 소식이었다. 서른줄이 되었던 시기에 개인적으로는 부정적인 생각이 들었다. 도전하기에는 점점 나이가 차고 있고, 불확실성이 너무 강한 직업이라고 생각해서 조금은 바보같다는 생각도 했다. 
내 기억에 점점 잊혀질 때 쯤 오랫만에 본 NBA 경기에서 익숙한 목소리가 들렸다. 그렇다. 바로 그 친구였다. 대학교 시절의 목소리는 많이 없어졌지만 그래도 그 친구만의 특유의 목소리가 남아있긴 했다. 그래도 얼마나 많은 노력을 통해 발성을 고쳤을 생각하니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30대 중반이 들 무렵 그 친구는 자신이 원했던 꿈을 향에 한 발자국 내딛었다.

2. 대학교 시절 꽤나 잘 어울렸던 친구가 있었다. 큰키에 잘생긴 외모를 가지고 술먹고 노는 것도 좋아했지만 성실히 학교를 다닌 친구였다. 이 친구와는 꾸준히 연락을 하며 주기적으로 만남을 하며 현재까지 인연을 이어가고 있는 친구이다. 
보통의 삶을 살며 누구나 아는 회사의 영업직으로 입사하여 평범하게 살 것 같았지만, 얼마전 다니던 회사에 사표를 낸 상태이다. 퇴사후 주6일 11시간의 강도 높은 주방보조로 들어간다고 한다. 자신의 쌍둥이 형제와 예전부터 꿈꾸던 파스타 집을 하기 위해서이다. 
사실 서른중반의 나이에 큰 도전이 필요하고, 실패하면 뒤를 보기가 어렵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자신의 곤조가 쎈 친구이기에 부정적인 말 보다는 잘하라는 말만 할 수 밖에 없었다. 사람 인생은 어찌 될지 모르니까.

3. 34살. 새해에 이 나이를 되세기면서 정말로 삶의 변곡점이 온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년에는 그런 생각이 안들었는데 올해는 미래에 대한 고민이 끊임없이 생기고 있다. 현재 다니고있는 회사는 평생 다닐 수 있을까? 결혼은 할 수 있을까? 과연 평범한 가정을 꾸려서 살 수 있을까? 4년차 회사를 다니면서 이직 준비도 꾸준히 하지만 결과물은 없으니 불안한 건 사실이다. 신입으로 쓰기에는 나이가 너무 많고 회사-집-회사-집 스케쥴로 인해 이직을 위한 개인개발이 어렵다고 자기위안을 계속 하고 있다. 사실 도전하기에는 겁도 많고 무언가를 바라볼 때 너무 현실적으로 생각하는 나의 성격또한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4. 과연 나도 위의 친구들 처럼 지금의 삶을 박차고 나올 수 있을까? 어릴 때 부터 하고 싶은 것은 많았다. 하지만 결국엔 누구나 사는 삶으로 물 흘러가듯이 살게 되었다. 소시민은 도전하는 사람을 비웃는다는 말이 너무 와닿고 있다.(물론 이 말은 출처가 불분명하긴 하다.)

5. 요즘은 평범한 삶이 가장 어려운 것 같다. 대내외적으로 너무 힘든 시기이고 점점 경쟁은 심해지고 내가 도태된다고 해서 잡아주는 이는 없기 때문이다. 만약에 도전을 하게 된다면 올해가 정말 마지막 인 것 같다. 인생의 겨우 1/3이 지난 지금 남은 2/3을 살기 위해 무언가를 진행해야 할 시기라는 것이 직접적으로 느껴지기 시작했다.

6. 무언가를 시작하려 한다. 지금 하고 있는 1달에 100km씩 런닝하기(이번달은 실패 ㅜㅜ)나 취미로 하고 있는 요리, 칵테일 만들기. 엑셀이나 파워포인트 잘하기 등 조금씩 하고 있다. 물론 지금 하고 있는 것, 하게 될 것이 내 삶의 변곡점을 크게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목표를 거창하게 세우는 것 보다 그 안에서 삶의 활력소를 넣고 자존감을 올려서 한치 앞을 바라볼 수 없는 내 인생에 다른방향의 길도 있다는 것을 알려주지 않을까 생각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2/20 15:17
수정 아이콘
뭔가 해야겠다를 생각만 했는데.
1달 100km 동참해보겠습니다.
21/02/20 15:17
수정 아이콘
34살.. 고민이 많은 나이 입니다.
여수낮바다
21/02/20 15:19
수정 아이콘
멋져요. 이런 고민을 하며 스스로를 생각해 본단 것 자체가 이미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화팅요!!
Dowhatyoucan't
21/02/20 16:23
수정 아이콘
보통 괄목할만한 성공은 40대에 일어난다고 합니다.

모든 30대분들 화이팅 입니다.
라흐만
21/02/20 22:03
수정 아이콘
좋은 댓글에 힘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내맘대로만듦
21/02/20 16: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흐흐흐 저는 참으로 바람잘날없이 모진 유소청년기를 보내고 삼십에 이르러서야 겨우 손에넣은 보통의 삶이 너무 행복해서 도전이고 뭐고 생각도 안나네요. 목표가 현상유지인...

그런의미에서 30대의 도전과제는 남들 다 하고 산다는 바로 '연애'입니다....큭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
21/02/20 17:37
수정 아이콘
화이팅입니다
onDemand
21/02/20 17:43
수정 아이콘
서른에 첫발을 내딛고 마음이 싱숭생숭했는데 와닫는 글입니다. 새로운 도전이 잘 풀리면 좋겠네요.
-안군-
21/02/20 19:09
수정 아이콘
다 장단이 있는것 같습니다. 덕업일치가 최고의 행복이라 해서 게임 프로그래머의 외길만 보면서 달렸는데, 나이들고 보니까 적당히(?) 대기업이나 외국계 들어간 친구들에 부럽기도...
서린언니
21/02/20 19:27
수정 아이콘
전 33쯤 일본에 가면서 목표를 이뤘는데 그 후에 허무함 때문에 인생의 변곡점이 생기더군요.
가득 채우는 거 보다는 약간 모자란게 좋다는 말이 맞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21/02/20 23:31
수정 아이콘
34살때 학생! 대학원에 있었네요. 결혼은 이미 했고, 1년후 첫 아이가 나오니까 정말 중요한 [변곡점]이 생기더군요.
본인 주위에 큰 변화가 있을때, 진짜 변곡점이 옵니다. 원글님은 이미 자세를 잡았으니, 큰 변화를 이끌어낼 작은 변화에 올해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507 [일반] [성경이야기]기드온의 2% 부족한 행동 [5] BK_Zju9831 22/04/28 9831 19
95410 [일반] 나는 소시오패스인가 [19] 나쁜부동산9386 22/04/12 9386 8
95305 [일반] 치킨 적정 가격에 대한 친구와의 일전 [191] NT_rANDom15321 22/03/24 15321 6
95301 [일반] 서울에 갑니다. [230] Heidsieck19833 22/03/23 19833 53
95297 [일반]  코로나시대 배달도시락 창업 알아보셨나요? [62] 소시14929 22/03/22 14929 84
95165 [일반] (스포주의) 더 배트맨 감상 후기 [39] 4월8981 22/03/01 8981 0
95085 [일반] "욥기": 이해할 수 없지만 충분히 우리에게 자비로운 우주 [131] Farce13708 22/02/21 13708 53
94816 [일반] 김구는 과연 ' 까야 제맛 ' 인 인물인가? [187] 아스라이18517 22/01/13 18517 15
94669 [일반]  2021년 시청한 넷플릭스 작품들 리뷰와 별점 [60] 카트만두에서만두14691 22/01/02 14691 12
94662 [일반] 대한민국 방산 무기 수출 현황 [47] 가라한16270 22/01/02 16270 90
94544 [일반] 국익관점에서 바라본 시사 평론 [10] singularian11221 21/12/26 11221 0
93854 수정잠금 댓글잠금 [일반] 베트남전에서 이겼던 여성들 (번역) [16] 아난9440 21/10/26 9440 1
93633 [일반] [오징어게임][스포] 깐부의 진짜 의미에 대해서 [26] 두 배런13246 21/10/04 13246 34
93470 [일반] 왜 내가, 그리고 젊은 남성들이 출산율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254] sionatlasia15700 21/09/24 15700 17
93243 [일반] 개인적인 일본 애니메이션 top 10 소개 [36] 깨끗한선율14451 21/09/03 14451 5
92347 [일반]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 기념식 [181] 맥스훼인19447 21/07/01 19447 4
91735 [일반] 웹소설 추천이요. [58] wlsak15853 21/05/16 15853 5
91311 [일반] [13]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 [19] 소시8917 21/04/13 8917 8
91049 [일반] 관심법으로 접근한 중국 지도부의 속내 [61] 아스라이12269 21/03/23 12269 0
90661 [정치] 중수청, 검찰, 그리고 민주당의 검찰개혁 [43] 烏鳳10529 21/03/03 10529 0
90518 [일반] 삶의 변곡점 [11] 백년후 당신에게8998 21/02/20 8998 26
90452 [일반] 2016년에 자막없이 봤던 영화들 [9] 나주꿀8560 21/02/16 8560 1
90391 [일반] 지친 여러분의 심신을 힐링해드립니다. 일상물 애니 노래 모음 [19] 라쇼12499 21/02/11 1249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