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2/19 09:43:39
Name elaborate
Subject [일반] 별을 향하여: CANZUK 우주국
By Joseph Hammond, Daniel Mackisack / City A.M. / September 3, 2020

영국 정부가 우주에 대해 확실히 알고 있는 것은 세 가지다. 거대함. 추움. 그리고 매우 비쌈.

작은 나라에게 우주를 향한 도전의 규모는 어마무시하다. — 그리고 쓸쓸하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영국은 갈릴레오 프로그램(2016년에 시작된 글로벌 항법 위성 시스템) 같은 EU 차원의 공동 우주 이니셔티브를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브렉시트 이후 현재 독자적인 길을 추구하게 됨에 따라 추가적인 우주 기술 개발을 하는 데 있어서 매우 높은 비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되살아난 우주 경쟁에서 뒤쳐질 가능성은 매우 현실적이다. 그러나, 최근에 점점 많이 고려되고 있는, 이해 관계로 묶인 또 다른 잠재적 연합의 형태가 대안이 될 수 있다: CANZUK.

CANZUK는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영국 간의 유력한 자유 무역과 자유 이동 조약으로서 논의되어져 왔다. 이 제안은 4개국에서 대체로 긍정적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영어권 국가들의 클럽이라던지, 문화나 이해 관계가 점점 변하는 점을 감안하여 더이상 연결점이 없는, 보기 드문 지정학적 복합체라는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하다. 또 다른 이들은 갑자기 다른 사항보다 무역 관계에 대한 열의를 보이고 있다고 분개하기도 한다.

옛 친구들과의 무역과 인력 이동의 미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확히 우주는 모든 이들이 참가하는 협력 프로젝트의 일종이 될 가능성이 있다.

공동의 CANZUK 우주국은 4개의 서로 다른 기구들이 공동으로 각자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다. 4개국은 각자의 우주 프로그램에 서로 다른 단계에 있다: 캐나다 우주국의 설립은 198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4개국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반면, 호주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늦은 2018년에 우주국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모두들 최후의 미개척 분야의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

이유는 분명하다. 예를 들어, 뉴질랜드 우주국은 겨우 연 700만 달러 이하의 예산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적은 규모의 투자로도 경제를 자극시키는 영향은 1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도 우주 경제에서 비슷한 수준의 배당금을 내어 왔는데, 2010년 이후로 60%가 증가했고 지금은 3,000억 파운드의 가치를 내고 있다. 이 정도의 지출은 지구에 매우 실질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영국 우주국은 최근 말라리아 억제에서 현대 노예제를 끝내려는 노예제 폐지론자들의 노력까지 개발 문제에 대한 우주 기반 솔루션에 340만 파운드를 지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모든 CANZUK 국가들이 유사한 상관관계를 깨닫고 최근 몇 년 사이에 우주 예산을 증강시켜 왔다. 공동 우주국의 연간 예산은 7억 5,000만 달러에 이르고 이는 세계에서 10번째로 큰 수준이 될 것이다.

사실, 이 예산은 ESA, NASA,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에 비교하면 일부에 지나지 않는 수준이지만, 어차피 달에다가 CANZUK 깃발을 꽂기 위한 경쟁을 하라는 건 아니다. 대신 자유롭게 고영향(high impact), 고가치(high value)의 프로젝트에, 이를테면 인공위성 네트워크를 보장하면서 범위를 확장시키는 통신이라던지 우주 관련 스타트업과 연구를 지원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다. 이러한 합의는 영국의 2025년 연결성 목표나 CANZUK의 전반적인 유사한 목표들을 달성하는 데 확실히 도움이 될 것이다.

CANZUK 우주국은 우주의 대전략 측면에서 보면 규모가 작을 것이라고 하는데, 무엇이 대전략이 아니란 말인가? 정확히 현재 영국 정부의 새로운 국립우주위원회가 추구하는 유형의 정책이 대전략이다. 영리하고, 효율적으로 행동하고 훌륭한 목적을 추구함으로써 이런 국가적인 정체성을 하나로 묶는 정신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우주는 거대하고 추운 곳이다. — 그러나 동시에 미래다.



https://www.cityam.com/shooting-for-the-stars-the-case-for-a-canzuk-space-agency/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2/19 11:18
수정 아이콘
그래도 예전에는 각 국가가 개별적으로 인공위성도 만들고 로켓도 만들어서 쏴야했다면 지금은 민간 회사에서 주문제작해서 SpaceX로 쏘면 되니깐 돈만 잘 모으면 예전보다는 쉽지 않을까요?
내설수
21/02/19 13:15
수정 아이콘
영국 과학계는 브렉시트 반대하는 분위기로 아는
핫자바
21/02/19 15: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브렉시트 이후 영국 기관 소속 연구자들이 EU 펀딩 못 받으면 엄청 불리해질 듯 하네요...
그렇다고 미국 펀딩을 미국 내 연구소 수준으로 받을 수도 없을테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4309 [일반] 합계출산율 0.84 ... 문제가 돈이라고? [454] 스토리북23836 21/12/10 23836 100
94307 [일반] 해방 후 한국과 일본의 출생아 추이와 격차 (feat. 베트남) [42] 마르세유11296 21/12/09 11296 5
94119 [정치] 오늘 국민과의 대화 어떻게 보셨나요? [117] 박세웅20840 21/11/21 20840 0
94086 [정치] 영세 자영업 퇴출 : 대성공 [94] Gottfried18077 21/11/18 18077 0
93513 [정치] 청와대 "부동산 정책 가장 아쉬워… 다음 정부는 이런 일 없어야" [114] 미뉴잇16864 21/09/27 16864 0
93127 [정치] 靑 "한국 집값 상승률 5.4%에 불과..... 국민들 설명해줘도 납득 못해" [175] 미뉴잇22462 21/08/26 22462 0
93125 [정치] 한국은 중부담 중복지 국가가 되어가는가? [35] 데브레첸14002 21/08/26 14002 0
93057 [일반] KB은행 불완전판매~무위험으로 예금금리보다 높은 수익률을 얻는 건에 관하여~ [11] 모찌피치모찌피치14996 21/08/22 14996 13
92610 [정치] 문재인 정부 대한민국에 대한 외국의 평가 /주제별 정리 [150] 대추나무21299 21/07/21 21299 0
92274 [일반] 낙오된 유럽은 지위를 회복할수 있을것인가? [116] 아리쑤리랑25369 21/06/27 25369 65
91805 [정치]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 전문 및 감상 [55] 대파19356 21/05/23 19356 0
91721 [정치] 소득주도 경제성장 과연 죽었니 살았니? [40] metaljet15028 21/05/15 15028 0
91699 [일반] 한가지 시각으로만 바라보기 애매한 이스라엘 [37] 나주꿀16393 21/05/12 16393 4
91673 [정치] 오늘 문재인대통령 취임 4주년 특별연설 전문입니다. [187] 오늘처럼만23965 21/05/10 23965 0
91662 [일반] 일본 백신 접종상황에 대해서 [68] 여기19579 21/05/09 19579 7
90897 [일반] 2021년 3월달 oecd 보고서 [18] 아리쑤리랑15910 21/03/15 15910 41
90745 [정치] 문재인 대통령의 거짓말? [97] 노하와이16401 21/03/07 16401 0
90496 [일반] 별을 향하여: CANZUK 우주국 [3] elaborate5803 21/02/19 5803 3
90410 [일반] 한 반의 학생 수가 줄어든 게 저출산 때문인가? [수정: 자료 추가] [36] 데브레첸10794 21/02/13 10794 3
90288 [정치] 양육비 안주면 면허정지, 신상공개 [112] 추천15463 21/02/03 15463 0
90193 [정치] 복지부, 건강증진계획 "담뱃값·술값 인상 추진 예정" [159] 닭강정14480 21/01/27 14480 0
90096 [일반] 한국과 일본의 긍정적인 식습관과 건강 지표 [13] 데브레첸10132 21/01/20 10132 4
90022 [일반] 엄벌주의에 대해 동의할 수 없다는 글에 대한 반론 [87] 거짓말쟁이11759 21/01/14 11759 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